View : 710 Download: 0

디지털 오디오 서사의 기호학적 분석

Title
디지털 오디오 서사의 기호학적 분석
Other Titles
A Semiotic Analysis of Digital Audio Narrative
Authors
박한하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Digital audio narrative is a digital content that tells a story using voice on smart devices. Specifically, it refers to a narrative in which realistic or fictional content is contained in the text of voice and delivered through the rhetorical method of storytell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phenomenon that narratives using only hearing are in the spotlight on smart devices with increased interactivit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historical research by analyzing media and contents through semiotics. This study assumes that digital audio narrative reflects the communication model of semiotic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0 applications currently being serviced at home and abroad. In particular, it analyzes communication components and their dimensions, focusing on Audible, Storytel, Audio clip, and Millie’s librar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ill typify digital audio narrative according to endless semiosis and prove that digital audio narrative fulfilling essential conditions of narrative generates intrinsic value in communication dimensions. For this purpose, Chapter 2 selects the semiotic communication model, which was structured by Charles Sanders Peirce. This study applies this model to extract the communication components and dimensions of digital audio narrative. Readers, narrators, DJs correspond to speakers of voice messages and are signs consisting of a representamen, an object, and an interpretant. Voice messages delivered by the speaker correspond to digital audio narrative as a message, which are also based on the three-pronged relationship of signs. Interpreters listening to messages from speakers in digital audio narrative correspond to users of the application. In the digital audio narrative, the communication dimens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interpreter is discriminated against depending on which element of the sign is emphasized. Chapter 3 typifies digital audio narrative through analyzing specific text. Since digital audio narrative is a sign generated based on semiosis, it is a research subject that can identify the pattern of semio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s. Thus, the semio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 can be a framework for categorizing digital audio narrative. Depending on the dynamics of semiosis, digital audio narrative has three main characteristics: the existential, representational, and interpretive characters. The existential type of digital audio narrative is the one in which the message's representamen is emphasized and relates to what the narrator chooses as the object of the adaptation, and how it is adapted. The representational type of digital audio narrative is the emphasis on the subject of the speaker and relates to how the speaker's image relates to what the message means. The interpretive type of digital audio narrative is highlighted by user’s interpretant and features the discriminative nature of user participation through voice messages. In chapter 4,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three types of digital audio narrative generate unique value as a narrative in each dimension of communication. The existential type of digital audio narrative is communicated at the syntactical dimension of semiosis which emphasizes the story itself. When primary experience in determining the appearance of the text is accumulated, this type of digital audio narrative results in realistic value. In addition, the representational type of digital audio narrative is communicated through the text "spoken words" at the semantical dimension of semiosis where the object of the symbol is emphasized. When the secondary experience happens in which the speaker and the user who are the main agents of the communication share the foundation of the meaning, this type of digital audio narrative creates conventional value. Lastly, the interpretive type of digital audio narrative influences the way in which the story is told and create practical value by generating communication at the pragmatical dimension. When the third experience based on primary and secondary experience happens, the interpreter is emphasized and functions and effects of digital audio narraitve are evoked. Digital audio narrative is not only a sign that can identify semiosis, but also a digital content that meets the three conditions of narrative and creates the unique value. The digital audio narrative, which is in the spotlight around the world, is building up the possibility of being an aesthetic sign by strengthening human communication through sound and subdividing the type through semiosis.;디지털 오디오 서사(digital audio narrative)란 스마트 기기에서 음성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전달하는 디지털 콘텐츠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실적이거나 허구적인 내용이 음성이라는 텍스트에 담겨 스토리텔링이라는 수사적 방법을 통해 전달되는 서사체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상호작용성이 강화된 스마트 기기에서 청각만을 활용하는 서사체가 각광받는 현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호학을 통해 매체와 콘텐츠를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사적 의의를 가지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서사가 기호학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반영한다고 전제하고 현재 국내외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20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다. 특히 오더블(audible), 스토리텔(storytel), 오디오클립, 밀리의 서재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구성 요소와 그 차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기호 작용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 서사를 유형화하고 디지털 오디오 서사가 스토리와 텍스트, 스토리텔링이라는 서사의 세 가지 조건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서사체로서 고유한 가치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기호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가 구조화한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토대로, 디지털 오디오 서비스에 맞게 적용된 커뮤니케이션의 구성 요소와 차원을 추출한다. 디지털 오디오 서사의 낭독자, 성우, DJ 등은 음성 메시지를 말하는 발화자에 대응되며 표상체, 대상체, 해석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기호이다. 발화자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과 메시지로서 디지털 오디오 서사에 해당하며 이 또한 기호의 삼원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디지털 오디오에서 발화자가 전달하는 메시지를 듣는 해석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대응된다. 디지털 오디오 서사에서 발화자와 해석자의 커뮤니케이션은 기호의 어떤 요소가 강조되느냐에 따라 각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이 변별적으로 나타난다. 3장에서는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서사를 유형화한다. 디지털 오디오 서사는 기호 작용을 바탕으로 생성되는 기호이기 때문에 기호 작용의 양상과 그에 따른 기호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 대상이다. 따라서 기호 작용과 기호의 성격은 디지털 오디오 서사를 유형화하는 틀이 될 수 있다. 기호 작용의 역학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서사는 현존적, 표상적, 해석적 성격 중에서 대두되는 성격을 주요 특성으로 가지며 세 가지로 유형화된다. 디지털 오디오 서사의 현존적 유형은 메시지의 표상체가 강조된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 서사가 무엇을 각색의 대상으로 선택하고, 그것을 어떻게 각색하는지와 관련된 유형이다. 디지털 오디오 서사의 표상적 유형은 발화자의 대상체가 강조된 것으로 발화자의 이미지가 메시지가 의미하는 바와 어떤 관계를 맺는지와 관련된다. 디지털 오디오 서사의 해석적 유형은 사용자의 해석체가 강조된 것으로 음성 메시지를 통한 사용자 참여의 변별적인 성격을 특징으로 한다. 4장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서사의 세 가지 유형이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을 기준으로 서사의 세 가지 조건을 충족시키며 각 차원에서 서사체로서 고유한 가치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한다. 디지털 오디오 서사의 현존적 유형은 기호의 표상체, 즉 스토리 자체가 강조되는 통사론적 차원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이때 텍스트의 외형을 결정해나가는 일차적 경험이 축적되어 사실적 가치가 발생한다. 또한 디지털 오디오 서사의 표상적 유형은 기호의 대상체가 강조되는 의미론적 차원에서 목소리로 된 말(spoken word)이라는 텍스트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커뮤니케이션의 주체인 발화자와 사용자가 의미의 토대를 공유하는 이차적인 경험을 통해 관습적 가치가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해석적 유형은 사용자가 이야기가 전달되는 방식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해석체가 강조되는 화용론적 차원에서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고 일차적, 이차적 경험을 바탕으로 디지털 오디오 서사의 기능과 파급력이 환기됨으로써 실용적 가치를 만들어낸다. 이처럼 디지털 오디오 서사는 기호 작용을 확인할 수 있는 기호일 뿐만 아니라 통사론적, 의미론적, 화용론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차원에서 서사의 세 가지 조건을 충족시키며 서사체로서 고유한 가치를 발생시키는 디지털 콘텐츠이다.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디지털 오디오 서사는 소리를 통해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기호 작용을 통해 그 유형을 세분화하면서 미적 기호로서의 가능성을 구축해나가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