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테크노-코드로서 전자책 구조 연구

Title
테크노-코드로서 전자책 구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ructure of E-books as Technical Images
Authors
유지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전자책은 국제표준도서번호를 부여받은 전자 문서이자 스크린이 부착된 전용 단말기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기계 기술의 발달과 네트워크의 확장을 기반으로 정보의 저장 및 보관, 유통이 용이하다는 특징을 통해 종이책과의 차별점이 부각된다. 본 연구는 전자책의 문화적 위상이 종이책의 전자적 재구성에 지나지 않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고, 테크노-코드(Technical Images)로서의 전자책 구조화에 주목한다. 전자책의 구조적 복합성은 인쇄 매체 기반의 구성과 스크린 인터페이스적 구현의 불일치에서 발생한다. 기존의 전자책이 서사 장르인 문학 작품과 그림책, 동화책에 집중한 형태라면, 테크노-코드로서 전자책은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y)를 구현하는 플랫폼을 지향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콘텐츠가 재매개(Remediation)되는 양상을 분석하여 테크노-코드로서 전자책에 적합한 내용과 형식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스크린 인터페이스 기반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는 원리와 형식을 전반적으로 검토한다. 2장에서는 전자책의 재매개 양상과 커뮤니케이션 구조 층위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 콘텐츠로서 전자책의 기능을 체계화한다. 디지털 문화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는 물리적·논리적·내용적 층위가 중첩되어 나타난다. 인쇄 매체 시대에는 세 가지 층위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었던 반면, 테크노-코드의 시대는 층위의 분리와 반전을 통해 콘텐츠의 재매개 양상이 다양해지고 콘텐츠 범주 역시 확장되었다. 이와 같은 매체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전자책은 서사성에 집중한 원전 콘텐츠로서 제한된 기능을 수행하는 양상을 보인다. 전자책 뷰어의 레이아웃 역시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는 동시에 페이지 인터페이스 구성을 고수한다. 이와 같은 내용과 형식의 불일치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환경에서 콘텐츠가 재매개 되는 전반적인 양상을 분석하여 전자책의 재매개와 상호작용 구현 방식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근거를 도출한다. 3장에서는 멀티리터러시 개념을 통해 ‘읽기’ 행위가 이해와 수용을 넘어 재구성을 중심으로 재현되고 있는 상황에 주목한다. 전기·전자 매체가 콘텐츠 층위를 분리하며 정보의 콜라주적 구성이 새로운 문화 원리로서 등장한다. 렉시아(Lexia)의 모자이크적 구성은 방향의 무의미성과 시각적 형상화를 강조하며 적극적인 형태로 사용자와 콘텐츠를 연결한다. 이때 플랫폼은 정보 환류 과정, 즉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기능적 가상의 공간을 제공한다. 이로써 전자책은 플랫폼으로서 수용자인 동시에 사용자가 되고자 하는 동시대 독자의 욕망을 수용한다. 4장에서는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전자책의 기획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 및 구성 방식을 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테크노-코드로서 전자책의 실제 구현 예시를 제안한다. 테크노-코드는 커뮤니케이션을 주도하는 이미지 정보로, 독자는 전자책의 렉시아를 테크노-코드로써 수용하고 이해하며 재구성한다. 전자책의 텍스트 확장성은 종이책과는 달리 스크린 인터페이스 기반의 촉각적 기능을 통해 구현된다. 이로써 전자책은 콘텐츠 층위를 벗어나 네트워크 노드로서 문화적 위상을 강화하고 정보의 정제와 확산을 수행하는 플랫폼으로서 자리매김한다. 전자책은 ‘책’이라는 정보 체계를 가상공간에서 재현한 플랫폼인 동시에 스크린 인터페이스적 기능과 상상을 구현한다. 네트워크와 디바이스의 보편화로 일체화되어 있던 책의 층위가 분리되면서, 전자책은 독자의 멀티리터러시 추구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전자책의 유형 분류 및 사례 분석에 있어 일부 범주화의 문제와 전자책 인터페이스의 구체적인 구조를 구축하지 못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전자책의 다양한 유형화 및 형태에 대한 고찰은 후속 연구를 통해 반드시 보완되어야 할 지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기존 전자책의 구현 방식을 형식적 속성과 내용적 속성으로 분류하여 체계화하고, 인터페이스 기획에 필요한 요소를 제시하여 플랫폼으로 전자책을 논의하는 출발점으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앞으로 전자책 구조와 인터페이스 구현에 관련된 연구의 기반이 되기를 바란다.;E-books are electronic documents with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s, and the concept is to include a dedicated terminal with a screen. It is characterized by easy storage and distribu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the network. In this way, the difference between e-books and paper books is highlighted.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that the cultural status of e-books is nothing more than a mechanical reconstruction of paper books and focuses on the potential of e-books as technical images. The structural complexity of e-books arises from the discrepancy between the composition of print media-based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screen interface. Whereas current e-books focus on narrative genres such as literary works, picture books, and children's books, e-books, as technical images, aim for a platform that embodies multiliteracy.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content remedi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derive the content and format suitable for e-books as technical images. Furthermore, the principles and forms that maximize interaction based on the screen interface are reviewed in general. Chapter 2 analyzes the remediation aspects of e-books and the layers of communication and systematizes the functions of e-books as database contents.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digital culture appears with overlapping physical, logical, and content layers. In the era of print media, these three layers were combined, whereas in the era of technical images, the remediation of content diversified, and the content category expanded through the separation and reversal of the layers. Despite such changes in media, e-books show limited functions as original content focused on narrative. The layout of the e-book viewer is aimed at activating the functions of the screen interface, but still, there is a tendency to stick to the page interface configuration. Thus, the overall aspect of content remedi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is analyzed to derive a basis for improving the limitations of the remediation and interaction implementation of e-books. Chapter 3 focuses 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act of “reading” is being implemented, centering on reconstruction beyond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through the concept of multiliteracy. Electrical and electronic media separate Lexia, which is an information unit of content, and through this segmentation, the structure of multi-linear communication is expanding. The mosaic composition of Lexia emphasizes the meaningless of direction and visual representation and intuitively connects users and content. In this regard, the platform provides a functional virtual space in which new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information reflux process, a feedback loop. As a result, e-books, as a platform, accept the contemporary desire of readers to be both an acceptor and a user. Based on the preceding discussion, Chapter 4 establishes the elements and composition methods to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process of e-books, and, on this basis, proposes the actual implementation example of e-books as technical images. The technical images are image information that leads to communication, and readers accept, understand, and reconstruct Lexia in e-books as technical images. Unlike paper books, the text expandability of e-books is implemented through tactile functions based on the screen interface. In this way, e-books go beyo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a and reinforce their cultural status as a network node, and seek meaning in the refinement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As a platform to reproduce the concept of "books" in a virtual space, e-books implement functions and imaginations of the screen interface. As the generalization of networks and devices separates the integrated layers of books, e-books are facing an inflection point as a platform that can satisfy the desire of readers to pursue multiliteralit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ome categorization issues in classifying the types of e-books and analyzing cases and a lack of specific structure of the e-book interface.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types and formats of e-books must be supplemented by further research. Neverthel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ng e-books as a platform by classifying and systematizing the implementation of current e-books into formal and content properties and presenting elements necessary for interface plann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e-book structure and interface implemen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