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0 Download: 0

고등학교 미술사 교육 개선을 위한 미술교과서 감상 영역 분석

Title
고등학교 미술사 교육 개선을 위한 미술교과서 감상 영역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Appreciation Unit in Art Textbooks to Improve High School Art History Education
Authors
하선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오늘날, 미술사 교육은 시대의 흐름에 맞춰 미술과 미술사와 함께 그 관점이 변화되었다. 모더니즘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으로의 생산방식이 변화함에 따라 선형적 미술사적 지식 습득, 오브제 중심의 양식과 특징 분석, 연대기 순 미술사조 암기와 평가에서 나아가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시각체험의 기회를 경험하고 시대별 전반적인 조형 세계의 양식적 특징, 대표 작가의 작품 세계, 그리고 작가의 생애와 특정 양식이 대두되게 된 그 시대적 배경과 문화·사상·맥락에 중점을 두어 미술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미술사 교육은 1960년대 중반 바칸(Manual Barkan)의 학문 중심 교육과정(discipline-centered curriculum)에 관한 논의에 함께 영역기초 미술교육(DBAE, Disciplin-Based Art Education)의 접근방식에 따라 2009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미술사’과목으로 도입된 이후, 현재 2015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술사는‘이해’의 핵심 개념으로 포함되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작품을 감상하고 특징과 내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처럼 시대의 변화에 따른 미술사 교육의 관점의 변화가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안에 반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고등학교 미술교육은 체험, 표현 영역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감상 수업안에서 원활한 미술사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미술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을 미술사 교육의 사회·문화 맥락주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전반적인 경향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현직 고등학교 미술교사 인터뷰 내용을 종합하여 개선 방향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 첫째, 문헌 조사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미술사와 미술사 교육의 정의와 필요성, 전개 및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이해하였다. 둘째, 미술 감상의 개념과 목적, 필요성 및 의의를 파악하였다. 셋째,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감상 영역의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을 탐색하고 고등학교 감상 수업에서 미술사 교육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넷째, 미술사 교육 개선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감상 단원 분석기준을 구성, 단원, 내용으로 선정하고 각 기준 별 세부 틀을 개발·구상하였다. 다섯째, 미술사 교육 개선을 위한 최종 틀을 적용하여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여섯째, 현직 고등학교 미술교사 인터뷰를 통해 미술사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내용,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문제점 및 개선점에 관한 의견을 종합하였다. 일곱째,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분석결과와 미술교사 인터뷰를 토대로 미술사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감상 단원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내에서 미술사의 비중이 다소 적은 편이였으며, 서양 미술사의 비중은 평균 39.4%인 반면, 한국 미술사의 경우 평균 29.8%, 동양미술사의 경우 평균 13.75%의 상이한 비율을 보여주었다. 둘째, 감상 단원에서 미술사 영역을 독립단원으로 편성한 교과서는 10종 중 4종으로「교학도서」,「금성출판사」,「미래엔」,「미진사」가 이에 해당하고 있어 다소 적은 비중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상 단원 명과 학습 목표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교류’,‘맥락’의 키워드와 함께 미술사를 연계하고 있었으나 그 중「교학도서」,「미래엔」,「미진사」,「비상교육」교과서 소단원 명과 학습 목표를 자세히 살펴본 결과,‘양식’과‘특징’에 집중되어 시대별 요약 및 암기 위주의 한계점이 유지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내용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미술사 내용 서술에 있어 특정 미술 장르인 회화와 조각에 국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형식의 세부기준인 양식과 특징, 문화교류와 관련성, 내용의 세부기준인 이미지의 해석, 내재적 의미와 상징성을 반영한 교과서의 단원은 미술사 교육의 현 동향인 맥락주의적 관점이 반영되지 않고 있었으며, 반면 배경의 세부기준인 종교·정치·경제·사회 문화를 반영한 교과서의 단원은 맥락에 입각하여 작품을 감상하도록 하고 그 안에 담긴 다양한 조형 요소, 내용, 작가의 생애와 배경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미술사적 지식을 함양하도록 하였으나 현재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현직 고등학교 미술교사 인터뷰 의견을 종합한 결과, 미술사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체험, 표현 영역에 비중을 두고 있어 감상 수업 안에서 미술사 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삶과 연관된 미술사 교육 내용을 위해 타 영역에 비해 빈약한 미술사 비중, 시대별 미술 사조 요약, 회화 장르에 국한된 감상 단원 내용에서 나아가 미술사 비중을 높이고, 맥락에 입각하여 작가, 작품, 학습자의 일상이 서로 연계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유발을 위해 회화 장르 뿐만 다양한 시각문화와 매체를 반영한 내용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파악하였다.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분석결과와 고등학교 미술교사 인터뷰 의견을 종합하여 미술사 교육 개선을 위한 감상 단원의 개선 방향을 요약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상 단원 내에서 미술사 영역의 확보와 함께 분야별 적정화가 필요하다. 현재 고등학교 미술교육이 체험, 표현 영역에 치우쳐져 있는 상황 속에서 감상 단원의 미술사 영역을 확보하고 서양 미술사, 동양 미술사, 한국 미술사의 분야별 적정화를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각 지역에 반영된 가치관과 정신성을 학습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미술사조 나열과 양식 및 특징 탐색에 집중되어 있는 단원 명과 학습 목표의 개선이 필요하다. 작품의 구도, 기법, 양식 등 미술의 내적 요인과 시대적 배경 및 사회·문화적 맥락 등 외적 요소들을 함께 조망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하여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미술사적 교과 지식 습득, 암기와 논술형 시험을 위한 사조 나열과 연표 제시의 한계점을 극복해야 한다. 셋째, 작품의 맥락을 통해 당시의 사회상을 발견하고 과거와 현재의 일상을 연결할 수 있는 학습 내용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작품 안에는 시대적 상황과 다양한 사회적 의미를 담고 있어 이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과거를 이해하고 현재 우리의 삶과 사회의 모습, 구성원으로서 개인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맥락을 중심으로 현재와의 연결성을 탐색할 수 있는 내용구성을 통해 미술 문화와 세계를 폭넓게 이해할 뿐 아니라 그 속에서 과거를 통해 현재의 삶과 사회, 자신을 돌아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미술 장르를 반영하여 미술사 내용을 구성하고 이를 표현 영역과 유기적으로 연계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회화와 조각 뿐만 아니라 공예, 디자인, 건축, 비디오, 영상, 설치, 영화, 광고 등 다양한 대중매체와 시각문화를 포함한 내용구성을 통해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살펴보고 미적 형태로 재현한 미술가를 이해해보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미적 체험과 표현을 느끼도록 해야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미술사 교육을 위해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의 전반적인 특성과 경향성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차기 2022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을 앞두고 있는 현 상황에서 미술교과서 감상 단원 미술사 영역의 기초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술교육 전반에 걸쳐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oday, art history education has changed its perspective with art and art history in line with the stream of times. As the production method changed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the education changed from the process of acquiring linear art history knowledge, analyzing object-centered styles and characteristic, and memorizing and evaluating art history in chronological order, to experiencing the opportunity of visua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various artworks. It also changed to help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art and culture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formative world by period, works of the representative artists, and the background, culture, ideology, and context of the period that focuses on the artists’ life and specific style emerged. Art history education in Korean high school art education was introduced as 'art history' in the revised art curriculum in 2009 based on the approach method of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and the discussion of Manual Barkan's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in the mid-1960s. Today, in the revised art curriculum in 2015, art history is included as a core concept of 'understanding', aimed to appreciate artworks in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Despite the changes in the perspective of art history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imes are reflected in high school art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current high school art education is mainly weighed in the areas of experiences and expressions. Thus art history education is not provided smoothly during the appreciation classes. Therefore, to revitalize art history education, this thesis aims evaluate the appreciation unit in the high school art textbook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ualism perspective to identify overall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and synthesize interviews from current high school teachers. As a procedur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of all, the definition, necessity, and paradigm shift of art history and art history education were comprehend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vious research analysis. Second, the concept, purpose, and significance of art appreciation were identified and studied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art history education in art appreciation class. Third, the revised high school art curriculum in 2015, content system of the art appreci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Fourth,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appreciation unit of high school art textbook were selected by composition, section, and contents; the detailed outline for each standard was developed and conceived. Fifth, the final outline to improve art history education was applied and analyzed the appreciation unit in high school art textbook in detail. Sixth, through interviews with high school art teachers, opinions on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art history education, contents, and problems and improvements on the appreciation unit in art textbook were synthesized. Sevent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n the appreciation unit in art textbook and the interview with high school art teachers, the guidance to improve the appreciation unit for revitalizing art history education was inquir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proportion of art history within the appreciation unit in art textbooks was small; the average ratio of Western art history was 29.4%, whereas the average rate of Korean history was 29.8% and Eastern art history was 13.75%.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four out of ten textbooks compartmentalized the art history from the appreciation unit as an independent unit; Gyohaksa, Geumseong Publishing, Mirae-N, and Mijinsa corresponded, which confirms a relatively small portion. Also,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names of the appreciation unit and the lesson objectives, they linked art history with the keywords of 'exchange' and 'context'. However, when the names of small units and lesson objectives in Gyohaksa, Geumseong Publishing, Mirae-N, and Mijinsa were reviewed closely, they were found that they were mainly focused on 'style' and 'characteristics', maintaining the limitations on the summary of each period and memorization. Third,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confirmed that the description of art history content was commonly limited to particular paintings and sculptures that are specific art genres in the states of art history. Also, units in textbooks that reflect the details of the form, which are style, characteristics, cultural exchange, and relevance, and the details of the content, which are the interpretation of the image, and the intrinsic meaning and symbolism, did not reflect the contextualistic view, the current trend of art history education. On the other hand, units in Geumseong Publishing, Visang Education, Jihaksa Publishing, Chunjae Education, and YBM, which reflected the detailed criteria of religion, politics, economy, and social culture, were required to appreciate the artworks based on the context, and cultivate art knowledge in the process of various elements, contents, artists' life and background. The result of synthesizing interviews with current high school teachers showed that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for art history education, but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thus art history education was not conducted well in appreciation classes. Also, there were opinions that the proportion of art history that is small compare to other subjects, summarizing the trend of art by period, and the contents in the appreciation unit that are limited to paintings should be changed by increasing proportion of art history, and improving through connecting life of artists, artworks, and learners based on context for the art history education content related to student's life.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ntents should be improved to reflect diverse visual cultures and media as well as painting genres for the interest and motivation of learners. Based on synthesizing the analysis results on the appreciation unit in high school textbooks and high school teacher interviews, the summarie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 appreciation unit for improving art history educa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ection for art history within the appreciation unit and optimize each field. In a situation where the current high school art education is heavily biased in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field, art history is in the appreciation unit should be secured. And the values and spirituality reflected in each area from various perspectives should be improved through optimization by field in Western art history, Eastern art history, and Korean art history.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nit names and lesson objectives, which are focused on the arrangement of art trends, styles, and characteristics. They should be improved in a direction that relates to the chronological backgrou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allows external elements of art together 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technique, and characteristics of artworks; they should overcome the acquisition of art history subject knowledge, which been maintained until now, trend arrangement for memorization and essay-type tests, and limitations of presenting the chronological table. Third, lesson contents should be improved by discovering the social image of the time and connect the past and present daily life through the context of the artworks. The artworks contain periodical situations and various social meaning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rt culture and world broadly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ast and connecting with current life. Fourth, art history contents should be composed by reflecting various art genres and linked organically with the expression area. Not only paintings, but other diverse artworks: crafts, design, architecture, videos, media, installations, movies, advertisements, and other mass media and visual cultures, should be examined. In the understanding process, the artist reproduced in aesthetic form, it is necessary to sense the experience and expressive ability directly or indirec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appreciation unit in art textbook for high school art history education and sought directions for improvement. As the development of the next revised high school art curriculum in 2022 is coming close,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an element material for the appreciation unit in art history area within art textbook; it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work throughout ar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