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실재감,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 영어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Title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실재감,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 영어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Other Titles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Authors
홍수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민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and prolifer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 are currently liv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flooding or the age of big data. However, a website that shows how much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each language on the Internet through the amount of information on each language found that as of November 4th, 2020, only 0.6 percent of the information online is written in Korean, while English is the largest, accounting for 60.4 percent of the total. In other words, if you are unable to understand English, the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for you will be significantly reduced. In an era where information is becoming more competitive, along with globalization in various fields, the importance of English has grown, and now English grades are required for entrance exams and employment. English is considered a prerequisite for competitiveness not only in school but also in society and the workplace, and English learners have to continue learning the language for a long time. Usually, a minimum of 3,000 to 4,000 hours of learning is required to speak a foreign language freely as a communication tool. However, Korea is a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environment in which English is taught as a foreign language, an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Korean learners receiving public education are naturally exposed to English for less than 1,000 hours. In other words, the total amount of learning required to speak English is significantly insufficient. Therefore, in order for Korean learners to obtain the English skills they need, despite these limited circumstances, active and conscious steady efforts are essential, along with environmental supplementation for steady learning. Therefore,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could be an alternative by be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generate constant learning immersio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refers to a community where members based on an online environment learn and solve problems through interactions with one another across time and space, while also sharing various resources, experiences, and passions online. Infinite interactions in an environment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can cause learners to engage in learning immersion within the learning community. However, in such an environment where learners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teachers or fellow learners and are required to study individually,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derive more in-depth immersion by improving their learning presence in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for more successful learning. This type of facilitated immersion in learning can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persist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Learning presence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online-based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as well. This is because the lack of face-to-face communication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can create psychological isolation and reduce learning motivation, making the education superficial. This can be supplemented by improving the learning presence that learners can recognize in the learning process. In this regard, previous studies have proved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among learning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However, since most of the existing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were based on cyber universities or e-learning environments,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learning presence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environment, which consists of voluntary participation by learners making the informal learning happen. Also,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ubject-oriented online learning communities centered on the context of Englis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engagemen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such as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an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lso proposed an effective use of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supplementing the limited exposure of English, as well as educational implications, by providing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the operation strategy of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that can promote more continuous learning of English. The research questions consist of three parts, which are as follows: 1. Is there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2. Is there a direct effect between learning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3. Is there an indirect effect between learning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To conduct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appli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and verify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using SPSS 26.0 and AMOS 25.0. The selected online learning community was A community, which is hosted by Naver Cafe, a domestically popular platform in South Korea for online communities. This community, which aims to learn and improve user’s English skills, meets all five criteria areas of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327 members of the commun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mong them, participants with an activity period of less than four weeks in the community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taking into account the timing of the study's recognition of learning presence. Therefore, 269 people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by removing the redundant respons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was established. Second,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the learning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has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while it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in English. Third,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learning engagement has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which is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Fourth, in this study, learning engagement was statistically mediated significantly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as well as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Therefore,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with learning engagement mediated between the variabl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69 people in a particular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so there is a limit to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Therefor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whether or not studies that reflect more divers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ther online learning communities will have the same results. Second, the academic performance variables set up in this study,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have limitations in that it could not measure objective learning performance, such as English grades, because they were measured by self-reporting meth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ot only put the measurable objective English scores as academic performance variables in follow-up studies, but also compare the improvement in learning outcomes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ing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through pre- and post-examination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ird, this study could not identify the individual effects of each learning presence. Subsequent studies, therefore, need to look at each sub-variable as an independent potential variable and verify how each learning presence perceived by the learners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stems from the study focusing on learning presence in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environment, as opposed to previous studies, which focused on learning presence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cyber universities or e-learning environment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 study on a subject-oriented online learning community centered on the context of English. Taken together, this study offers basic impl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 learning engagement,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in the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Those research findings can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and strategic directions on how to run an online English learning community that can effectively promote more continuous learning of English.;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세계 공용어인 영어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놓여있다. 특히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영어를 사용할 수 없다면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가 확연히 줄어들게 된다. 인터넷만 연결된다면 언제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상의 많은 정보들은 전체적인 양으로 봤을 때 절반 이상이 모두 영어로 쓰여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보를 하나의 경쟁력으로 보는 분야 불문 대다수의 기업에서도 지원자들에게 영어 능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제는 영어 능력이 선택이기보다는 필수로 간주되고 있다. 이처럼 영어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지만, 한국은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EFL(English as Foreign Language) 환경으로 자연스럽게 영어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보통 외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기 위해 필요한 절대적인 최소 학습 시간이 3000시간 이상임을 고려할 때,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가 일정 수준의 영어 실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러한 환경적 보완과 함께 학습자의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학습 환경으로써 온라인 학습공동체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학습공동체란 온라인 환경을 기반으로 자발적으로 모인 구성원들이 공동의 관심사에 대해 다양한 자원과 경험, 그리고 열정을 공유하면서 시공간을 초월한 상호작용을 통해 꾸준히 학습하는 공동체를 말한다. 이곳에서 학습자들은 원하는 만큼 학습을 지속할 수 있으며, 온라인 학습공동체 내에서의 상호작용이 학습자로 하여금 해당 공동체에 대한 몰입과 함께 학습에 대한 몰입을 일으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사람들과 물리적으로 떨어져서 개별적인 학습을 진행해야 하는 온라인 환경에서는 무엇보다 교수-학습 상황에 대한 학습자의 실재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은 학습자가 자신이 학습 상황에 있음을 인식하는 것으로, 의미 있는 학습을 경험하는 과정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이다.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인식하게 되는 실재감의 수준이 높아지면 학습에 보다 몰입하게 되면서 학습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실재감은 온라인 기반 영어 학습 환경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온라인 영어 학습 환경에서는 면대면 소통이 결핍됨에 따라 심리적 고립으로 인해 학습동기가 저하되고 표면적인 교육이 되기 쉽기 때문에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인식할 수 있는 실재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를 보완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실재감과 학습몰입, 그리고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실재감 연구는 대부분 형식적 웹 기반 학습 환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기에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와 같이 EFL 환경을 보완해줄 수 있는 대안으로써 비형식 학습 환경에서의 실재감에 대해서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구성되고 운영되는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 환경에서의 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성과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외국어의 노출이 제한적인 환경에서도 지속적인 영어 학습을 위한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활용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 내의 실재감과 학습몰입이 학습성과로 볼 수 있는 학습지속의향과 영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영어의 노출이 제한적인 환경 속에서 이를 보완해줄 수 있는 대안으로써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활용을 제안하고, 보다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운영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실재감,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 영어효능감 간에는 구조적 관계가 성립하는가? 2.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에서 실재감과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 및 영어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3.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에서 실재감은 학습몰입을 통해 학습지속의향 및 영어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PSS 26.0과 AMO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측정모형 분석, 그리고 구조모형 분석의 순서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영어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온라인 기반의 학습공동체 중 온라인 학습공동체 환경의 구성요소 다섯 가지 영역이 모두 갖춰져 있는 국내 포털 사이트 네이버 카페 A 공동체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회원 327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이 중 연구 대상자가 실재감을 인식할 수 있는 시기를 고려하여 활동 기간이 4주 이하인 참여자들을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중복으로 응답한 자료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26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실재감,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 영어효능감 간에는 구조적 관계가 성립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은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영어효능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에서 학습몰입은 학습성과인 학습지속의향과 영어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실재감은 학습몰입을 통해 학습지속의향과 영어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로써 영어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실재감이 학습몰입을 통해서는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한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26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의 폭을 넓혀 다른 맥락의 온라인 학습공동체를 대상으로 보다 다양한 인구 특성을 반영한 연구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학습성과 변인인 학습지속의향과 영어효능감은 일회성 자기 보고식으로 측정되었기에 영어 성적과 같은 객관적인 학습성과를 측정하지 못한 데서 제한점을 가진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정량화할 수 있는 영어 성적 혹은 점수를 학습성과 변인으로 상정할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을 두고 학습지속의향과 영어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의 수준에 따른 학습성과에 대한 향상도를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에서 실재감의 하위변인으로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을 설정하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학습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실재감들이 갖는 개별 효과에 대해 규명하지 못하였다는 데서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각 하위변인을 하나의 잠재변인으로 보고 개별적 실재감들이 온라인 학습공동체 내에서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영어학습공동체의 실재감,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 영어효능감 간의 구조적 모형을 세워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각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공학적 논의를 통해 영어 학습에 있어서 온라인 학습공동체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과 운영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