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20 Download: 0

비대면 원격강의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대면 원격강의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by university students on learning performance in distance lecture
Authors
박효성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소효정
Abstract
The COVID-19 virus has forced most general universities to offer distance lectur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o keep their social distance. In the case of distance lecture, it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ce for learners to choose and take courses away from the designated class room, connectivity to share knowledge and information online with professors of fellow learners, and access to immediately find the materials they want. It is an effective lecture method to replace offline classes held at general universities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ffline classes due to COVID-19. However, in the case of distance lectures, since the learner is physically away from the prefessor, the learner’s individual willingness to lear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arning performance, so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deep immersion of learners by improving the reality of the e-learning situation. In this learning situation, the reality that the learner recognizes is called learning presence, and most prior studies confirm that the learning presence affects the learner’s lean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However,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were mostly conducted at universities or institutions focused on e-learning, such as cyber universities or corporate e-learning, and mo research was conducted at general universities where distance lectures were conducted by urgently designing and converting offline lectures to online lectures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learning performance of distance lectures at general universitie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recognized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among general universities students who took distance lecture that were preciously hel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in response to COVID-19. Specific research problems that I want to verify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ssue 1. Does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by general university students for distance lectures significantly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Issue 2. Does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by general university students for distance lectures significantly predict learning persistence? Issue 3. Is there a difference in learning presence(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perceived by general university student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tance lecture? To verify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distance lectur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SPSS 22.0. The study analysis procedure verified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confirmed the impact between variable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difference in the reality of learning by type of distance lecture was verified through on-way ANOV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nalysis method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presence recognized by learners for distance lectur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increased as general university students understood the contents related to learning and created and managed knowledge on their own while taking distance lectures. Second, the learner’s perception of distance lectur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that emotional presence does not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the case of this study, distance lectures are not taken by one’s own choice, but distance lectures are taken to secure one’s own safety through social distance, so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afety and comfort while taking distance lecture have influenced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Third, the social presence recognized by learners about distance lectur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continue learning. In the case of distance lectures held in general universities, the classes that were conducted offline are urgently designed and changed to online classes, so the lecture time is reduced and professors and students are not fully prepared for distance lectures. This is because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has decreased. Fourth, cognitive presence recognized by general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tance lectures.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e type of distance lectures were divided in tp real-time, non-real-time types, and mixed type. Among them, the cognitive presence was the highest in the mixed type. This can be inferred that in the case of the mixed type, Q&A is possible though interaction and repetitive learning possible through contents that professor provided to student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experience of distance lectur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in October 2020, four months after the end of the semester. Therefore, the response may depend on how much the respondent remembers and for respondents who are currently taking other distance lectures, the current experience can affect the memory of their experience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2020 school year. therefore, in follow-up studies, survey on distance lecture experiences need to be conducted shortly after the end of the semester so that respondents more realistically to their experiences. Second, in the case of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examined in this study, it show how much the learner recognize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other variables that can affect this perception, namely immers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Finally,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performance was verified without distinguishing the type of distance lectures. In the follow-up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learning performance for each type of distance lecture by securing enough samples for each type of remote lecture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 by the type and learning performance.;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2020학년도 1학기에는 대부분의 일반 대학들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원격강의를 실시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원격강의는 정해져있는 강의실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장소를 선택해서 강의를 들을 수 있는 편의성과, 온라인상에서 교수자 또는 동료 학습자들과 지식,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연결성, 원하는 자료를 즉각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접근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기존에 일반대학에서 이루어졌던 오프라인 수업을 대체함과 동시에 코로나19로 인한 오프라인 수업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강의 방식이라 할 수 있다(김동심, 이명화, 이영선, 2018; 이영희, 박윤정, 윤정현, 2020). 그러나, 원격강의의 경우 학습자가 교수자와 물리적으로 떨어진 상태로 학습이 이루어지다보니, 학습자 개인의 학습의지가 학습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학습 상황에 대한 실재감을 향상시킴으로써 깊은 몰입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을 학습실재감이라 하며,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학습실재감이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사이버대학 또는 기업 이러닝과 같이 처음부터 이러닝에 초점을 두고 설립된 대학 또는 기관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해 긴박하게 오프라인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설계 전환하여 수업이 이루어진 일반대학에서의 원격강의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대응차원으로 2020학년도 1학기에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던 강의를 설계 전환한 원격강의를 수강한 일반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가 인식한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원격강의 유형별로 학습실재감의 차이 검증을 통해 일반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원격강의의 학습성과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원격강의에 대한 일반대학의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인지적, 감성적, 사회적)은 학습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2. 원격강의에 대한 일반대학의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인지적, 감성적, 사회적)은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3. 원격강의 유형에 따라 일반대학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인지적, 감성적, 사회적)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본 연구 검증을 위해 2020학년도 1학기에 원격강의를 경험한 일반대학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2.0을 활용하여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절차는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원격강의유형별 학습실재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위에 분석 방법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강의에 대해 학습자가 인식한 인지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대학의 대학생이 원격강의를 수강하는 동안에 학습에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고, 스스로 지식을 창출하고 관리함을 인식할수록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원격강의에 대해 학습자가 인식한 감성적 실재감 또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원격강의를 수강하면서 느끼는 안전함과 편안함이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주었다고 유추할 수 있다. 셋째, 원격강의에 대해 학습자가 인식한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원격강의의 경우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던 수업이 온라인 수업으로 긴박하게 설계 전환되면서 강의 시간이 축소되고 교수자와 학습자가 원격강의에 대해 충분히 준비가 되어있지 않아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교수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코로나 19의 대응차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강의의 경우, 학습자가 강의를 통해 학점 또는 평가에 대하여 높은 성과를 이루기 위해 학습 내용의 이해 정도를 인식하는 인지적 실재감과 자신의 안전이 확보됨을 인식하는 감성적 실재감이 사회적 실재감대비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넷째, 일반대학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인지적 실재감은 원격강의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원격강의의 유형을 실시간, 비실시간 혼합 유형으로 나누었는데 이중에서 혼합 유형에서 인지적 실재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혼합 유형의 경우 실시간 유형의 장점인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질의응답이 가능하고 비실시간 유형의 장점인 반복학습이 가능한 점이 혼합되었기 때문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2020학년도 1학기의 원격 강의 경험에 대한 설문을 학기가 종료된 지 4개월이 지난 2020년도 10월에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응답자가 기억하는 정도에 따라 응답자의 설문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며 현재 원격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응답자의 경우 현재의 경험이 지난 2020학년도 1학기 때의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원격강의 경험에 대한 설문을 학기가 종료된 직후에 실시함으로써 응답자가 보다 자신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 원격강의 유형별로 학습실재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20학년도 1학기 때 수강했던 강의 중 하나의 강의를 선택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첫 번째 제한점에서 와같이 몇 개월이 지난 후에 설문이 진행되어, 자신이 경험한 여러 유형의 강의 경험이 혼재 된 상태로 응답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원격강의 유형별 학습실재감의 차이 분석 결과를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실재감(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을 학습성과(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영향 변인으로 설정하여 두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학습실재감은 학습자가 인식하는 정도를 나타내므로, 이러한 인식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변인 즉, 몰입, 자기 조절 학습 능력, 자기 효능감 등을 포함하여 이들 변인과 학습실재감, 학습성과간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일반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강의에 대한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원격강의의 유형별 표본수를 충분히 확보하여 유형에 따른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원격강의 유형별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