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Cultural Discomfort During Taiwanese-Korean Communication Encounters

Title
Cultural Discomfort During Taiwanese-Korean Communication Encounters
Authors
CHEN, WEN CHE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지현
Abstract
본 연구는 일하는 현장에서 대만인과 한국인 간에 발생하는 의사소통 불편요인과 편안하고 만족스러운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촉진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핵심 사건 조사 기법을 사용하여 대만인과 한국인 간의 의사소통에 관련된 경험자료의 수집하였으며, 조사 및 인터뷰에 모두 서른 명의 대만인과 스물 명의 한국인이 참가하였다. 한국인과 의사소통 중 대만인 응답자들이 느끼는 불편요인은 크게 생소한 언어적 의사소통, 생소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장벽, 문화적 성향, 직업의식, 사교활동과 예절로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언어적 의사 소통으로는 부적절한 주제에 대한 이해의 차이, 간접적 소통과 직접적 소통에 대한 차이 등이 파악되었다. 생소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는 개인적 공간 침해 및 부적절한 신체적 접촉을 파악할 수 있었고, 언어장벽으로는 미숙한 한국어 및 미숙한 영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문화적 성향으로는 서열주의, 보수주의 및 우월주의를 파악할 수 있었다. 직업의식으로는 생소한 회식 및 술자리, 근무에 대한 태도의 차이 및 일하는 속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사교활동과 예절로는 생소한 음주문화 및 공공예절을 파악할 수 있었다. 대만인과 의사소통 중 한국인 응답자들이 느끼는 불편요인은 크게 생소한 언어적 의사소통, 언어장벽, 문화적 성향, 직업의식, 사교활동과 예절로 구분 할 수 있었다. 언어적 의사소통으로는 부적절한 주제의 이해 차이, 직접적 소통에 대한 차이 등이 파악되었다. 언어장벽으로는 미숙한 중국어 및 미숙한 대만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문화적 성향으로는 정치적 민감성, 개방주의 및 우월주의를 파악할 수 있었다. 직업의식으로는 근무 자세에 대한 이해의 차이 및 일하는 속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사교활동과 예절로는 생소한 비음주문화 및 공공예절을 파악할 수 있었다. 대만인과 한국인 응답자 모두 상호 문화를 깊이 이해하는 소통을 효과적이고 만족스러운 소통으로 꼽았다. 대만인의 경우, 한국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 회식과 술자리문화, 엄격한 서열 주의 및 한국 역사를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민족성과 민족적 이미지에 대한 이해, 개인적 문제에 대한 호기심, 다혈질적 성격, 위모지상 주의 및 물질주의 사고방식에 대한 인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간 능력 발전: 행실, 태도, 기술 습득에 대한 노력, 한국인과 소통하는 경우 직설적인 소통방식의 중요성, 한국어 능력 및 일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의 경우, 대만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 비음주문화, 개방주의, 약한 서열주의 및 대만역사를 이해하는 태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인의 민족성과 민족적 이미지에 대한 이해, 성형수술에 대한 호기심, 차분한 성격, 캐주얼한 옷차림과 화장 비선호 경향에 대한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간 능력 발전: 행실, 태도, 기술을 습득에 대한 노력, 대만인의 직설적인 의사소통, 중국어 능력 및 일에 대한 재촉을 피하는 태도를 습득하게 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대만과 한국의 글로벌 수준에서 더욱 효과적 협력을 위해 양국 국민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의미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양한 조직에서 대만인과 한국인 근무하는 사람들을 주로한다. 이로인해 같은 성격을 가진 조직내의 연구는 향후 유용할 것이다. 다음으로, 이 설문의 대부분 대만인 응답자들과 한국인 응답자들은 현지 언어가 주로된 소통도구로 사용되는 회사에서 근무한다. 만약 향후 영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는 다른 조직에서 조사한다면 언어의 장벽을 제외한 기타 문화적 요인들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Taiwan and Korea are two adjacent countries maintaining their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bonds for the past few decades. Consequently, key needs for the research relating to the relation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Taiwanese and Korean are: (a) growth in reciprocated cooperation between two sides, (b) few studies related 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Taiwan, and, (c) both Taiwan and Korea are Buddhist and Confucian to the core culture. However, Taiwan is characterized by a mixture of various influence of culture as a result of having been colonized by several imperial powers; whereas, Korean nation has a stro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has a long-term autonomy, which encourage us to discover where and how the differences lies between Taiwan and Korea The present research aim to explore professional and personal experienc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y Taiwanese community in Korea, and also Korean community in Taiwan primarily in the workplace. The number of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totalized 30 participants. These participants comprehend 30 Taiwanese and 20 Korean professionals. The study objective is to explore critical factors of cultural discomfort and the facilitators of communication which can ensure more effective and positive communication experience during the encounters of Taiwanese and Korean. The study involved qualitative data collection based on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methodology and aimed to gather ineffective or negative real life situations and experienced by Taiwanese and Korean during Korean-Taiwanese communication encounters. The populations for a survey and interview involved in total 30 Taiwanese and 20 Korean. As a result, the study diagnosed six major factors of cultural discomfort as following: (a) unfamiliar verbal communication (the difference in direct communication, and difference in indirect communication, and inappropriate topics), (b) unfamiliar non-verbal communication (inappropriate touching behaviors, violating individual space), (c) cultural orientation (conservatism, ethnocentrism, concept of hierarchy, political sensitivity, and openness), (d) linguistic challenge (inadequate Korean, inadequate English, inadequate Chinese, and inadequate Taiwanese), (e) work (unfamiliar hwe-sik or drinking culture, different work speed, and difference in work attitude), and (f) enjoyment and etiquette (unfamiliar Korean drinking culture, unfamiliar Taiwanese no-drinking culture, and public etiquette). In additional, with the aim of ensuring more efficient experiences of communication between Taiwanese and Korean, the required perceiv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acilitators are listed below: (a) understanding Korean or Taiwanese culture and history (Korean hwe-sik or drinking culture versus Taiwanese no-drinking culture, Korean strict hierarchy versus Taiwanese mild hierarchy, Korean culture, and Taiwanese culture), (b) understanding the Korean or Taiwanese characteristics and image (for Taiwanese, be curious about personal issues, no controlling temper, caring about appearance, and valuing expensive products; for Korean, be curious about plastic surgery, calmness, caring about appearance, dress casually and no make-up) and, (c)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s (speaking directly, acquiring Korean language skills, acquiring Chinese language, and working faster for Taiwanese versus avoiding rush up for Korea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may conducive to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during Taiwanese and Korean encounters by providing a valuable and hands-on knowledge to ensure better reciprocated collaboration of two countries not only at the regional level but also international levels. Limitations of my stud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ocus of present study focuses on Taiwanese and Korean professionals from various organizations. Hence, it will be beneficial for further studies to research on professionals from fields with similarities or the same organization to filter off the noises caused by different occupational categories. Next, most of Taiwanese respondents are from Korean-speaking organizations and most of Korean respondents are from Chinese-speaking organizations. If possible, I would like to research both groups of respondent from English-speaking organizations to see with similar factor of language challenge what other cultural discomfort will be experienced. It will be interesting for future studies to emphasize on adaptation of culture or cultural discomfort from the perception of people from the same or similar workplaces, or English-speaking workplace who are affiliated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