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은애-
dc.contributor.author이소현-
dc.creator이소현-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1:38Z-
dc.date.available2020-08-03T16:31:3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2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27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8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소통하는 시각적 문해력과 구성주의에 기반한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태도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시각적 사고전략 모형 중학교 미술 감상수업을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중학생 학습자들의 감상수업 경험과 과정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선포되어 개학이 연기된 시점에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1학년 여학생 2명으로,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일주일에 한 번, 총 6차시에 해당하는 시각적 사고전략 미술 감상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매 차시의 종료시점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업은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으며 수업과 인터뷰 내용은 수업이 끝나는 즉시 녹음 및 전사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질적 분석 방법으로 윌코트(Wolcott)의 기술, 분석, 해석의 절차를 따랐으며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개방코딩작업으로 범주화를 한 뒤, 분석하고 해석을 도출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로 총 4개의 상위범주와 11개의 하위범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중학생 학습자가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시각적 사고전략 모형 미술 감상수업을 경험하였을 때의 범주는 상위주제 ‘자기 주도적 학습’에 대한 하위주제로 <격려로 인한 효능감>,<학습에 대한 의지>,<자신감>을, 그리고 상위주제 ‘시각적 문해력’에 대한 하위주제로 <관찰력>,<자기표현>,<근거 활용>을, 상위주제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하위주제로 <공감>,<의견 수정>,<어휘 학습>을, 마지막 상위주제 ‘인터넷 미술관 활용 능력’에 대한 하위주제로 <미술에 대한 흥미>과,<몰입의 즐거움>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시각적 사고전략 모형 중학생 미술 감상 수업의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시각적 사고전략 모형 미술 감상 수업을 실시하면서 대화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르고, 시각적 문해력 향상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하여 미술 감상수업을 실시하면서 작품의 실물을 감상할 수 없는 교육현장의 한계를 보완하고, 학습자의 미술에 대한 흥미유발과 몰입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다양한 표현활동 중심의 미술 수업보다 상대적으로 정적인 미술 감상 수업에 있어서 시각적 사고전략 모형을 활용하여 학습자중심의 감상수업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시각적 문해력과, 의사소통 능력 등의 21세기 인재의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미술관의 교육적 활용을 고찰하여 중학생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몰입의 경험과 감상수업의 물리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시각적 사고전략 모형의 교육적인 효과성을 확인하였으며,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중학교 감상수업의 교육적인 가능성도 알 수 있었다. 코로나 19로 인해 학교 미술 감상수업 현장에서 못하였으나, 중학생 학습자의 사례연구로 진행한 본 연구를 토대로 미술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begin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he active learning attitude of learners based on visual literacy and constructivism communicated through visual images. An art appreciation cla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organized and conducted using a visual thinking strategy and an Internet art museum and their experience and learning process are presented in the study in a phenomenological way.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a time when the opening of the schools was postponed due to the declaration of a Corona 19 pandemic (global pandemic). The participants were two girl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who conducted a total of six classes of Visual Thought Strategy Art Appreciation Classes once a week from May to June 2020 and were interviewed at the end of each class. The class wa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himself, and the contents of the class and interview were recorded and transferred immediately after the class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y qualitative analysis method of Wilcott was followed and various data was collected and categorized into open coding work, then analyzed and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four main categories was then divided into 11 sub-categories. When middle school learners experience Visual Thought Strategy Art Appreciation Classes using Internet art museum, the main topic of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broken down to the following subtopics <Encouraging a Sense of Efficacy>, <Commitment to Learning>, <Confidence>, the main topic ‘visual literacy’ - <Observation>, <Self-Expression> and <Use of Evidence>, the main topic ‘communication skills’ includes <Empathy>, <Modifying Opinions> and <Language Learning> and the final topic ‘The Ability to Use the Internet art museum’is divided into <Interest in Art> and <Joy of Immer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e Middle School Art Appreciation Class based on the Visual Thinking Strategy Model is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firmed tha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such as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through dialogue and improving visual literacy while conducting the Visual Thought Strategy Art Appreciation Classes. Second, participants of the study noted that the Internet Art Museum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al sites, where they could not appreciate the art works and it provides the learners with the joy and interest of immersing in the art. Based on this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the relatively static art appreciation classes are more effective than the art classes centered on various expression activities and by using a model of visual thinking strategy, it is possible to have a learner-centered appreciation class and furthermore, it gives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1st century talents such as visual literac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addition, the use of the Internet Art Museum for educational purposes can be considered to grab the interes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elp them immerse into the art and it accounts for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appreciation classes. The study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the visual thinking strategy model with prior research and carries the possibility of conducting appreciation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the Internet Art Museum for education purposes. Even if the school art appreciation class could not be held at the field due to Corona 19, it was conducte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and hopefully the research on teaching art appreciation will expand based on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Ⅱ. 이론적 배경 7 A. 미술 감상과 미술 감상교육 7 1. 미술 감상의 개념 및 교육적 의의 7 2. 미술 감상교육의 필요성과 방법 10 3. 중학교 미술 감상교육 16 B. 시각적 사고전략 (Visual Thinking Strategies) 19 1. 시각적 사고전략(VTS)의 배경 및 교육적 의의 19 2. 시각적 사고전략(VTS)을 활용한 감상 방법 25 3. 시각적 사고전략(VTS)을 활용한 미술 감상교육 사례 30 C.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 감상 수업 38 1.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감상 38 2. 인터넷 미술관의 분류 및 현황 43 Ⅲ. 연구방법 53 A. 연구 방법 및 설계 53 1. 질적 사례 연구 53 2. 연구 설계 및 절차 56 B. 연구 참여자 59 1. 연구 참여자 선정 59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60 C. 연구 도구 61 1. 수업 설계 61 2. 수업 도구 68 D. 자료수집 및 분석 83 1. 자료수집 83 2. 자료 분석 85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88 A. 연구 결과 88 B. 질적 분석 95 Ⅴ. 해석 및 결론 110 A. 해석 110 B. 결론 및 제언 114 참고문헌 116 부록목차 122 ABSTRACT 1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570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시각적 사고전략 모형에 기초한 중학교 미술 감상수업 질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Study on Middle School Art Appreciation Class Based on Visual Thinking Strategy Model Using Internet Art Museum-
dc.creator.othernameLee, So-hyun-
dc.format.pagevii, 1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