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데이비드 흄의 회의주의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그곳에 없다」에 관한 연구

Title
데이비드 흄의 회의주의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그곳에 없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It is not there」, a Newly Choreographed Work Based on Skepticism of David Hume
Authors
오지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The modern-day society achieved radical growth by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but it inevitably faces the situation full of competition due to the limited resources. Even though a certain amount of competition can be useful in giving immediate motivations to people and raising job efficiency, excessive thinking focused on competition makes us set the competition itself as a goal and not as a personal objective.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liver the message of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subjective standards of truth, by pointing out problems of the modern-day society where competition is taken for granted, and doubting and approaching the concept of which competition is unavoidable from the perspective of skepticism of David Hume.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a newly choreographed work entitled It is not there (2019), created based on skepticism of David Hume. This work was choreographed to accentuate the intended message through a variety of elements such as the theme, content, creation of scenes, use of spaces, moving path and movement of the dancer and the meaning of objet. By constituting the space of stage by scene and assigning symbolic significance to objet, it aimed to give shape to abstract concepts for effective message delivery. The work develops in four parts composed of contents achieving the subjective goal establishment by starting with how the subject senses in the consciousness and faces concepts and la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doubts and skepticism based on a skeptical attitude. Part I of the work intended to express how the subject perceives the unfamiliar feeling and fear when approaching the consciousness for the first time and how the impression forms from the senses. To describe this situation, the backside of Stage Right was designed as a space of naught, while the front side of Stage Left was established as a space of impression. By using the street lighting, the aspect of moving toward the impression was expressed. In parallel, by hiding the visibility with the collar or hand, fear was depicted. By striking the fingers, the act of sensing was illustrated. Moreover, the use of wind instruments stressing resonance made it possible to bring the effect of an enlarged space. Part II tried to express the aspect of subject facing the concept of memories. This scene expressed skeptical feelings and doubts by extending the space of impression into the space of memories and creating the motion of disheveling hair and moving from side to side. Yellow and green par lights combined with quick and sharp string instruments were used to express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of the subject going through conflicts and confusion. Part III intended to express how the subject faces concept of imagination and develops skeptical thinking. Through the motion of fluttering and taking off the clothes, the act wished to express how the subject escapes from the prejudices and concepts that had been believed to be true to properly look at them in the skeptical perspective. Through the motion striking the objet and gobo lighting with green pieces, it described that the concept of imagination has the separable and reconstitutable features. Part IV aimed to talk about the need of establishing subjective goals and continuing with self-reflection by looking at consciousness through the skeptical attitude. By moving the placement of the objet, it expressed creation of a new concept. At the same time, with the gaze of looking far away on top of the objet, it wished to deliver the message of necessity of constant skeptical self-reflection without being content with the current situation. Besides, the use of sound effect made by the flapping sound of butterflies when contacting the bottle as well as the soft melody tried to symbolize growth as a subjective individual. Through a newly choreographed work, It is not there (2019) that describ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ubjective standards of truth through incessant skeptical self-reflection based on the skeptical thinking of David Hume, by analyzing the wrong concept of considering competition itself as a goal in the modern-day society, this study aimed to express that the skeptical attitude argued by David Hume is required in life in which subjective goals are established and truth is pursued.;현대사회는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급진적 성장을 이루었지만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경쟁의 상황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적절한 경쟁은 사람들에게 즉각적인 동기를 부여하고 업무의 효율을 높이는데 유용하지만 과열된 경쟁주의적 사고는 개인의 목표가 아닌 경쟁 자체를 목표로 삼게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경쟁이 당연시되는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경쟁이 불가피한 것이라고 생각되는 관념을 데이비드 흄의 회의주의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의심하면서 주체적인 진리의 기준을 바로 세워야 함을 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데이비드 흄의 회의주의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그곳에 없다」(2019)에 대한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주제 및 내용, 장면의 연출과 공간사용,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오브제의 의미를 통하여 작품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바가 부각되도록 안무하였으며, 장면별로 무대의 공간을 다르게 설정하고 오브제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여 추상적인 개념들을 구체화하고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의식 안에서 주체가 감각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관념들과 마주하면서 의심과 회의의 과정을 거쳐 회의주의적 자세를 통해 주체적 목표 설정을 이루는 내용으로 총 네 개의 장으로 구성하여 작품을 전개하였다. 작품의 1장에서는 주체가 처음 의식에 진입해서 겪는 낯선 기분과 두려움, 그리고 감각으로부터 인상이 형성되는 것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나타내기 위해서 무대의 상수 뒤를 무(無)의 공간으로, 무대 하수 앞을 인상의 공간으로 설정하고 그 사이에 길 조명을 사용하여 인상으로 점차 나아가는 모습을 표현하였고, 옷깃이나 손으로 시야를 가려 두려움을 나타내고 손가락을 두드리는 것을 통해 감각함을 표현하였다. 또한 관악기의 울림이 강조되는 음악을 사용하여 공간이 확장된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2장에서는 기억의 관념과 마주하는 주체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인상의 공간을 기억의 공간으로 확장시키고 머리를 헝클어트리거나 좌우로 이동하는 동작을 통해서 회의감과 의심을 갖는 것을 표현하였다. 노란색과 초록색 파 조명을 사용하여 또한 빠르고 날카로운 현악기 음악으로 전환 시켜 갈등과 혼란을 겪고 있는 주체의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3장은 상상력의 관념과 마주하면서 회의주의적 사고가 발전되는 것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의상을 펄럭이고 벗는 움직임을 통해 사실이라고 여겨왔던 편견이나 관념들에서 벗어나 회의적 시각으로 제대로 바라볼 수 있게 됨을 표현하였고, 오브제를 두드리는 움직임과 초록색 조각의 고보 조명을 통해 상상력의 관념이 분리되고 재구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4장은 회의적 태도를 통해 의식을 새롭게 바라봄으로서 주체적인 목표를 세워야하며 계속된 자아성찰이 필요함을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오브제의 배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새로움 관념을 형성하는 것을 표현하였고 오브제 위에 올라가 먼 곳을 바라보는 시선을 통해 지금에 안주하지 않고 회의주의적 자아성찰이 계속해서 필요함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또한, 나비의 날갯짓이 병에 부딪히는 효과음과 잔잔한 멜로디를 사용하여 주체적인 개인으로의 성장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경쟁 자체를 목적으로 여기는 잘못된 관념을 데이비드 흄의 회의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바라보고 끊임없는 회의적 자아성찰을 통해 주체적 진리의 기준을 세우는 과정을 다룬 무용창작작품「그곳에 없다」(2019)를 통해 데이비드 흄이 주장한 회의주의적 태도가 주체적 목표를 설정하고 진리를 추구하는 삶에서 가져야 할 태도임을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