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데이비드 리스먼의 『고독한 군중』을 모티프로 한 무용창작작품 「흔들리는 경계」에 관한 연구

Title
데이비드 리스먼의 『고독한 군중』을 모티프로 한 무용창작작품 「흔들리는 경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 Newly Choreographed Work 「A Wavering Boundary」 Based on 『The Lonely Crowd』 of David Riesman
Authors
민세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오늘날의 현대사회는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체제의 미디어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인간의 의사소통 성격 또한 변화하고 있다. 지식과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람들 간의 소통방식이 다양해지고 편리해졌지만 대면적인 관계보다는 비대면적인 관계를 선호하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타인에게 의견을 구함과 동시에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평가받기도 한다. 이로 인해 자신의 삶을 왜곡되게 과시하면서 타인의 삶과 자신을 끊임없이 비교하며 자신의 존재가치를 정의하고, 또 그들로부터 분리되지 않고자 애써보지만 종국에는 자아정체성에 대한 상실감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현실에 대해 데이비드 리스먼(David Riesman, 1909-2002)은 그의 저서 『고독한 군중』(1950)에서 현대인들은 개개인의 개성과 정체성의 기반에 있어 타인의 판단이 기준이 되기 때문에 자기 자신에게 소외된 고독한 존재라는 것을 상기시키며, 건전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본연의 자아를 탐색하고 성찰함으로써 자율성을 가진 자아로 회복해한다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즉, 내적 사유를 통해 본인의 자율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더욱 자유롭게 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리스먼의 저서『고독한 군중』에 드러나는 타인지향형 인간상의 문제점을 모티프로 하여 무용창작작품 「흔들리는 경계」(2019)를 안무하였고, 이를 통해 타인이 설정한 세속적 가치 기준에 맞춰서 살아가는 타인지향형 인간이 자신의 자아를 바라보게 됨으로서 고독과 소외된 삶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하여 진정한 삶의 의미를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을 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품을 총 3장으로 구성하여 각 장면에 따라 주제 및 내용,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 오브제와 의상의 의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장은‘비교의 덫’으로 타인의 존재에 대한 비교의식으로 인해 생겨나는 이질감과 불안, 고독함에 휩싸여 있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에 따라 무대 전체를 내면의 공간으로 연출하였고 탑 조명을 활용하여 무대의 상수 뒤쪽을 자아의 공간으로, 하수 앞쪽을 외적 욕망의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자아의 공간에는 주체인 무용수 A의 정체성과 사회적 가치기준을 상징하는 오브제로 무수한 옷걸이가 걸린 행거를 배치하여 주체의 관심사, 가치 등 그의 자아와 정체성을 대변하는 상징물로 활용하였고, 외적 욕망의 공간은 주체에게 선망의 대상이 되는 대중적이며 주류를 이루는 타인의 잣대, 즉 세속적 가치로 함축하여 그 의미를 부여하였다. 무용수 A는 상수 뒤의 자아의 공간에서 오브제를 중심으로 타인의 시선을 중시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질감을 표현하다가, 후반부에는 상수 뒤에서 하수 앞으로 이어지는 길 조명을 통해 타인이 설정한 삶의 가시적 권력에 이끌려 나아감으로써 주체가 본연의 자아를 외면하기 시작하였음을 나타내었다. 무용수 A의 움직임은 주로 신체를 웅크리듯 수축하거나 무언가를 밀어내는 듯한 무거운 움직임의 반복을 통해 자신의 내면에서 솟구치는 타인의 존재에 대한 비교의식으로부터 심리적 억압을 느끼고 있음을 표현하였다. 외적 욕망의 공간에서 무용수 B는 타인의 시선이자 사회적 욕망을 상징하며 주체에게 타인과 비교의식을 부추기는 대상이 된다. 또한 음악은 무게감 있게 연주되는 전자피아노의 선율과 급박한 심장소리의 효과음을 중첩시켜 사용하여 주체의 억압되어있는 자아와 타인을 향한 과도한 갈망으로 생겨나는 내면적 고립감과 이질감을 함축하여 나타내었다. 2장은‘타인의 굴레’로 외적 욕망의 공간에서 타인의 방식에 반응하며 동질화되는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주체가 본연의 자아를 외면한 채 타인의 시선에 잠식되어 상실과 허무함에 빠지게 되었음을 표현하기 위해 하수 앞에 설정된 외적 욕망의 공간을 사선 길 조명과 세로 길 조명을 사용하여 무용수 A의 움직임을 제한하였다. 이때 외적 욕망의 공간에 타인의 시선을 상징하는 오브제인 검은색 카디건을 배치하였고, 무용수 A가 이를 착용함으로써 피상적이고 외적인 타인의 굴레에 스스로 갇혀가는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후반부에는 주체의 내면의 공간에 심화되어가는 타인과의 동질화 성향을 강조하기 위해 상수 앞을 창살무늬 고보 조명으로 제한하여 자아와 타인간의 불균형과 사회적 시선에 점점 더 옥죄여서 느끼게 되는 상실감과 허무함을 표현하였다. 무용수 A는 착용한 카디건의 형태를 잡아 늘리거나 크게 확장시켜 자신의 신체를 가림으로써, 주체의 고유성이 희미해지며 강박에 시달리는 거짓된 자신을 가리고자 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신의 존재가치에 대한 잠재력을 포기한 듯 순간적으로 신체레벨을 무너뜨리며 바닥에 누워 양팔로 자신의 얼굴을 감추려는 움직임과, 방향성을 잃은 듯한 시선으로 허공을 응시하며 빠르게 회전하는 등의 대조적인 움직임을 통해 불안정한 자아와 자신의 왜곡된 과시를 드러내고자 하는 주체의 심적 상황을 나타내었다. 음악은 전체적으로 단조로운 전자피아노의 멜로디에 드럼의 강하고 반복적인 효과음을 중첩시켜 사용함으로서, 주체의 내면에서 타인에 대한 열망이 솟아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보이도록 하였고, 후반부에는 현악기의 음들이 길게 이어지는 단조의 선율을 사용하여 타인의 굴레에 고립되어 내면의 자아를 점차 부정하며 좌절과 무기력감에 휩싸이게 되는 주체의 절박한 심정을 강조하였다. 3장은‘경계의 저편’으로 거짓된 자아와 참된 자아 간의 경계에서 그 너머에 홀로 존재하던 고독한 자아를 발견하게 된 인간이 자아의 탐색과 성찰의 힘을 통해 자율을 누리는 성숙한 자아로 거듭나게 됨을 나타내었다. 이때 무대의 뒤쪽에 상․하수를 잇는 가로 길 조명을 사용하여 경계 저편에 소외되어 홀로 있던 자아를 인식하기 시작한 주체를 표현하였고, 무대 중앙과 상수 앞쪽에 선명한 탑 조명을 사용하여 검은색 카디건을 벗어내는 무용수 A를 강조하여 내면의 목소리에 집중하며 타인의 시선에 동조되지 않겠다는 주체의 의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후반부에는 자신의 자아를 성찰하며 자유를 찾아 나아가는 주체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드러내고자 무대 전체에 3개의 길 조명을 사용하여 외적 욕망과 본질적 자아의 경계를 부각시켰으며, 내적 사유를 통해 진정한 자아를 발견해 나아가는 과정을 강조하였다. 이때 무용수 B가 무대 중앙에 위치한 오브제에 다양한 색상의 카디건을 걸려는 움직임을 통해 무용수 A의 뇌리에 다시금 타인의 시선에 따른 욕망이 불현 듯 솟아나고 있음을 나타내었고, 이를 외면한 무용수 A는 1장에서 자아의 공간으로 설정된 상수 뒤쪽으로 오브제를 이동하여 진정한 자아를 상징하는 흰색 카디건을 행거에 진열함으로써 작품이 마무리된다. 이러한 주제의 심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무용수 A는 신체를 크게 확장시켜 두 발 끝으로 올라서거나, 두 팔을 위로 강하게 뻗어내며 바닥을 박차며 도약하는 역동적인 움직임을 통해 피상적인 사회적 관계를 떨쳐내고 내면의 중심을 탐색하며 진정한 자유를 찾아 나서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음악은 전반적으로 따뜻하면서도 심금을 울리는 현악기의 선율과 높은음과 낮은음을 오르내리는 첼로의 멜로디를 사용하여 타인에 대한 과도한 열망에 의해 내면적으로 고독한 존재가 되어갔던 주체가 이를 극복하고 자율을 누리며 진정한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되는 내면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 「흔들리는 경계」를 안무하여 비본질적인 가치에 동조하며 삶을 살아가기 보다는 본연의 자아를 탐색하며 성찰하는 힘을 통해 자신의 존재에 대한 물음의 답을 찾아 나아감으로써 자율성을 가진 성숙한 자아로 회복하게 될 수 있음을 표현하였다. 그리하여 타인의 다양성을 존중하면서도 자신만의 온전한 개체성을 가지고 나아갈 때, 사회적으로도 더욱 자유롭게 될 수 있다는 점을 전하고자 하였다. ;In the modern-day society with increasing dependence on media of the social system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the features of communication of humans are also going through changes accordingly. The way of communication among people became diverse and convenient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technology. However, people prefer an untact relationship to a face-to-face one and they ask opinions from others via social media. Their ideas are also evaluated by the same method. This makes people not only show off their lives in a distorted manner but also define their existence values by making constant comparisons of their lives with those of others. As a result, they strive not to be separated from others but are led to loss of self-identity in the end. Regarding this phenomenon of reality, David Riesman (1909-2002) in his book 『The Lonely Crowd』(1950) describes that people in the modern-day society are lonely beings alienated to themselves because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ity and identity is based on criteria of others. The American sociologist also put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recovering one’s self with autonomy by searching for one’s original self and reflecting on oneself. In other words, he explains that one can recognize one’s autonomy and becomes socially freer through inner-directedness. This study created a newly choreographed work entitled 「A Wavering Boundary」(2019) based on the problem of the other-directed person observed in Riesman’s book 『The Lonely Crowd』. With this creation, this study aimed to deliver the message of which the other-directed person, who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stream of the world, can pursue true meaning of life by looking at himself/herself and discovering infinite possibilities of his/her own escaping from the life of alienation and solitude. For the purpose of this, the work composed of three Part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theme, contents, usage of space, moving path, movement, objet and significance of attire according to each scene. Part I entitled ‘The trap of comparison’ symbolizes a subject seized by awareness of difference, anxiety and loneliness as a product of consciousness comparing with others. For bring the intended effects, the entire stage was created as a space of the inner world. By using the top lighting, the backside of Stage Left was set as a space of ego, and the front side of Stage Right was set as a space of external desire. In the space of ego, the work placed many hangers denoting the subject’s identity and social value standards to utilize as a symbol representing the ego and identity such as the subject’s interests and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space of outer desire implies the yardstick of others constituting the popular and main stream desired by Dancer A, in other words, the space connotes the worldly values and the associated meaning. The subject expresses the feeling of frustration and anxiety around the objet in the deep isolation and loneliness drifted by social demands and eyes of others. In the latter part, through the street lighting connecting the backside of Stage left with the front side of Stage Right, it portrayed the situation of which the subject started to disregard the original self by being led by the visible power established by others, which is the subject’s desire itself. Dancer A repeats the heavy motions of crouching down as if to push something. This movement expresses that the subject feels psychological repression from the comparing consciousness formed when the subject begins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others from deep in the inner world. In the space of outer desire, Dancer B symbolizes eyes of others and social desire, being the object instigating consciousness comparing with others. Moreover, the music overlapped between electronic piano played with weighty volume and the sound effects of quick heartbeat suggests inner isolation and awareness of difference generated from the repressed ego and excessive thirst for others. Part II entitled ‘Bridle of others’ expresses how the subject sensitive to the worldly values and achievement becomes homogenized in the space of outer desire living up to the ways of others, and disregards the original self only to be swept by the eyes of others, overwhelmed by anxiety, unstableness, feeling of loss and emptiness. To enhance the effects to this ambiance, it limited the space of outer desire set in front of Stage Right with the diagonal and vertical street lighting. To symbolize the eyes of others in the space of outer desire, a black cardigan was placed. When Dancer A wears it, it wishes to serve as metaphor of the process of which the subject begins locking herself in the superficial and external bridle of others. In the latter half, to accentuate the homogenizing inclination towards others that goes deeper in the space of the subject’s inner world, the front side of Stage Left is limited with plaid- patterned gobo lighting. This aimed to express a feeling of loss and emptiness when the subject perceives in the middle of repressed social eyes and imbalance with others. Dancer A keeps stretching and enlarging the shape of the cardigan she is wearing to cover her body. This movement shows how the uniqueness of the subject fades while trying to hide the fake self suffering from obsession. In addition, the subject’s unstable ego and psychological situation trying to reveal her distorted ostentation through the bodily movements; instantaneously tumbling her body balance down to the floor as if she had given up strength of her existence, lying down on the floor and making an effort to hide her face with arms, staring into the air with a look void of directionality, spinning quickly By using the monotonous electronic piano melodies overlapped with the strong and repetitive sound effects of drum, it intended to manifest how the passion toward others springs up from the inner world in an effective manner. In the latter part, the melodies with minor key from prolonged notes of string instruments served to emphasize how the subject denies the inner self and becomes swept by frustration and powerlessness full of desperation isolated in the bridle of others. Part III entitled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expresses the process of which the subject discovers the lonely self that used to exist alone at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ake self and the true self, and search for the original self, reflects and is born again as a mature self enjoying autonomy during the process of seeking the self. By using the horizontal street lighting connecting the Stage Left and Stage Right at the backside of the stage, it wished to express the subject starting to recognize the self, who has been left alone at the other side of the boundary. In parallel, by using the clear top lighting in the center of the stage and the front side of Stage Left, it stressed the subject taking off the black cardigan, who now pays attention to the inner voice showing the will of not being sympathized with the eyes of others. In the latter part, to visualize how the subject contemplates her ego and move forward in search of freedom, it used three units of street lighting for the entire stage. This highlighted the boundary between outer desire and essential self, emphasizing the process of how the subject achieves discovery of her true self through inner contemplation. At the very moment, Dancer B moves her body to hang the cardigan in multifarious colors onto the objet placed in the center of the stage. This scene tries to describe that Dance A feels a surge of desire of eyes of others again. Dancer A ignores this and moves to the objet toward the backside of Stage Left set as a space of self in Part I. Here she displays the white cardigan symbolizing true self in the hanger. This leads to the end of the work. Dancer A extends her body to the fullest. She stands on tiptoe, and extends her arms intensely to the sky while stomping on the floor. Through this leaping dynamic motions, the subject wants to demonstrate that now she is pushing the superficial social relationship to seek the center of the inner world in search of true freedom. As for the music, with the use of warm and sorrowful melodies from string instruments and tunes of cello travelling between the high notes and low notes, it aimed to depict the process of inner changes where the subject, who was transforming into a lonely being alone in the inner world of desire called “the crowd” by excessive aspiration for others, is now overcoming this and enjoys autonomy discovering true meaning of life. Like this, through a newly choreographed work 「A Wavering Boundary」 this study expressed the possibility of which the subject can return to a mature self with autonomy by seeking the original self and moving towards looking for the answer to oneself through the power of reflection and contemplation, instead of sympathizing with the non-essential values and leading a life under such codes. In sum, this work wished to deliver the message of which one can be socially freer when one keeps moving forward with the complete individuality of one’s own, while respecting diversity of others at the same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