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베르그손의 무의식탐구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불시착」에 관한 연구

Title
베르그손의 무의식탐구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불시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 」 Emergency landing based on Search for Unconscious of Henri-Louis Bergson
Authors
김시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오늘날 사회는 고도의 산업화와 기계화로 인해 정보화 사회로 발전하였고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보다 많은 정보를 보다 빠른 시간에 주고받기에 집착하면서 수동적인 자세로 획일화 된 사고를 가지게 되었으며, 결국 삶의 가치와 주체성을 잃어버려 심리적인 불안을 얻게 되는 정신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미디어의 권력이 곧 세상을 지배하는 정보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되찾기 위한 방법으로 무의식탐구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베르그손의 무의식탐구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불시착」(2018)을 창작한 후 이에 대한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움직임과 이동경로, 오브제와 영상의 의미를 통해 작품의 주제를 부각 시킬 수 있도록 안무하였으며, 무대의 공간을 나누어 설정하고 오브제와 영상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여 변화되는 현대인의 심리를 시각적으로 보여줌과 동시에 주체적 인간으로써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작품은 총 세 장으로 구성된다. 작품의 1장에서는 미디어의 발달로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잃어버려 주체성이 결여된 현대인의 모습을 표현하고자 무대의 상수 뒤쪽에 탑조명을 사용해 제한된 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서 무용수1은 수직적으로 서서 발목과 치마를 잡았다 놓치는 동작을 통해 틀에 갇혀있는 무기력한 상태와 획일화된 내면을 표현하였다. 또한 물 떨어지는 소리의 효과음을 사용해 잔잔한 물 위에 눈물이 떨어지면서 파동을 일으키고 자신의 존재에 물음을 던지면서 현실을 자각하게 되는 상황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때 무용수2는 하수 뒤에서 등장하여 의식의 공간을 거쳐 무의식의 영역으로 들어오며 상수 앞에 배치되어있는 TV, 비닐 위에 책을 올려놓고 퇴장한다. 무용수2는 다시 하수 뒤에서 전화기를 들고 등장하여 TV위에 올려놓고 퇴장한 후, 뒤이어 꽃을 들고 하수 뒤에서 다시 등장할 때 천천히 하수 뒤로 걸어오던 무용수 1과 의식의 공간에서 심화된 영역인 A공간에서 만나게 된다. 무용수1은 무용수2에게 의존하는 동작을 하며 수동적이고 정체성을 망각한 현대인의 모습을 표현한다. 2장에서 무용수1은 무의식의 공간으로 들어가면서 혼란스러워하는 모습과 함께 밖으로 향해있는 시선을 나 자신에게 돌려 삶을 능동적으로 그려나가야 함을 인지하고 실현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2장의 시작과 함께 상수 앞의 TV에서는 수신이 불안정할 때 발생되는 이미지가 흑백으로 상영되고, 미니멀한 비트 위에 단음계를 길게 늘어뜨리는 느낌의 연주를 통하여 마치 무의식의 세계로 들어간 것 같이 느껴지는 몽환적인 음악으로 전환된다. 하수에서 혼란스러운 듯 빠르게 움직이던 무용수1은 무대중앙으로 이동해 노란색 조명이 비추어진 바닥을 낮은 자세로 짚으면서 시선을 놓치지 않고 응시하는데, 이때 TV속 흑백영상이 컬러영상으로 전환되면서 내면으로의 집중을 강조하였다. 이후 상수로 달려가 창가사이로 햇빛이 들어오는 듯한 긍정의 의미를 내포한 빗살무늬의 고보조명을 바라보며 비틀거리다가 바로 서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긴장감있는 분위기 속에서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고 그 혼란을 넘어서려는 내면의 힘을 표현하였다. 3장에서는 무의식의 탐구를 통해 삶에 대한 진정한 가치를 깨달아 외부에 휩쓸리지 않고 창조적인 삶을 되찾는 내용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장에서 외부에 의존했던 A공간으로 무용수1이 스스로 뛰어가는 모습을 통해 내면의 상태가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 과정에서 무용수는 높이 뛰는 동작과 손을 이용해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움직임을 통해 잃어가는 개성과 인간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와 희망을 나타내었다. 끝으로 무용수1은 상수 앞에 위치한 오브제 옆에 앉아 시선과 반대되는 곳에 손을 뻗을 때 그 곳에 빗살무늬조명이 생겨나는 장면을 연출하여 창조적 생성과 새로운 시작을 이미지화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자는 정보사회에서 현대인들이 겪게 되는 주체성 상실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갖고, 무의식탐구를 통해 바라본 무용창작작품「불시착」을 창작하여 인간성 상실과 그 회복 가능성에 대한 희망적 메시지를 전하여 풍요로운 삶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Today’s society developed into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due to advanced industrialization and mechanization, and this phenomenon brought convenient and prosperous life to modern-day people. However, people are more and more obsessed with quick exchange of information forming a uniform thinking keeping a passive attitude. This made them lose values of life and subjectivity and build mental problems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anxiety. In front of this serious situ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point out these problems and inform people of the necessity of search for the unconscious as a way of restoring their respective life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here the power of media rules the world.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a newly choreographed work of mine entitled 「Emergency landing」 (2018) based on the search for unconscious of Henri-Louis Bergson. This work was choreographed to accentuate the theme of the work by theme, content, usage of the space, composition by scene, movement and moving path of dancers and meaning of objet and images. By dividing the space of the stage, it offered symbolic meaning to the objet and images, it aimed to visualize fluctuating psychology of modern-day people and, at the same time,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as a subjective being. The work comprises three Parts.  In Part I, to express the aspect of modern-day people with insufficient subjectivity for having lost the capacity of autonomous thinking by development of media, a top lighting was used at the right side of up stage creating a limited space. Inside the space, dancer 1 standing upright expresses the powerless state and standardized inner world confined in the frame by repeating the motion of grabbing and releasing her ankle and skirt. Moreover, by using the sound effect of water dropping, it wished to express the situation of which a subject asks a question about herself and realizes the reality when teardrops onto the calm water generating waves. At the very moment, dancer 2 appears from the left side of up stage and enters the dimension of the unconscious through the space of the conscious. Then she puts a book on top of the TV set covered with plastic placed in front of Stage Right then she soon leaves the stage. Dancer 2 appears again from the left side of up stage, this time with a telephone and puts it on the TV set. She disappears again. Later, when she shows up again from the left side of up stage, dancer 2 meets dancer 1 in the space of the conscious, the space A, which is the intensified space. Dancer 1 shows the gesture as if to depend on Dancer2. This describes the portrait of modern-day people who have lost identity keeping a passive attitude.  In Part II, dancer 1 looks confused when entering the space of the unconscious. She turns her gaze that had been oriented outward, now toward her inner world. She realizes the necessity of building her life in an active manner and shows her will to put it into practice. On starting the scene of Part II, the unstable image from TV in front of the Stage Right is played in black and white showing flickering movement of weak connection. The musical intervention evoking the prolonged minor scale over the minimal beat transforms the mood into some dream-like melodies as if to explore into the world of the unconscious. Dancer 1 who was moving with quick motions full of confusion in the Stage Left now moves to the center of the stage. She places her hand bending her position on the floor where yellow lighting is shining and she stares at the ground. The black-and-white image from TV changes into color images to emphasize concentration on the inner world. Later, dancer 1 runs towards the Stage Right and looks at the gobo lighting with a comb pattern connoting the meaning of positivity as if the sunshine was coming through the window. Then she repeats the motion between stumbling and standing upright, going through confusion in the mood full of tension, while struggling to overcome the confusion. Thus, she expresses the power of her inner world.  In Part III, wished to express how the subject realizes the true values of life through search for the unconscious and restores a creative life without being swayed by the outer world. To achieve this effect, dancer 1 runs by herself toward the Space A, where she used to depend on the outer world in Part I to show transformation of her inner world. During this process, the dancer creates a variety of motions jumping high and using her hands to manifest the will and hope of overcoming individuality and humanity that are at the edge of disappearance. Finally, dancer 1 sits down next to the objet located in front of the Stage Right and extends her arm to reach it. At this very moment, when her hand touches the objet, the comb-patterned lighting comes into being visualizing the image of creative generation and a new start. Like this, this study with a critical mind regarding the loss of subjectivity modern-day people experience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created a newly choreographed work entitled 「Emergency landing」, based on search for the unconscious. It aimed to contribute to reminding modern-day people of the importance of abundant life by delivering a message of loss of humanity yet a hopeful message of possibility of restoring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