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중국 공기업 사무직 종사자의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국 공기업 사무직 종사자의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Office Workers in State-owned Enterprises in China :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Authors
LI, XUNING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윤희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공기업 사무직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조직학습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공기업 현직 사무직 종사자이다. 자료 수집은 2020년 4월 25일부터 5월 3일까지 중국 산동성의 4개 도시의 공기업에 재직하는 사무직 종사자들에게 온라인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루어졌으며,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5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Ver.)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의 기준이 0.05로 검증하였고,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학습의 하위요인인 적응적 학습과 생성적 학습은 모두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학습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부분적으로 조절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의 하위요인인 활력은 적응적 학습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성적 학습과 조직몰입,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부(-)의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헌신은 적응적 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냈지만, 생성적 학습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부(-)의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두는 적응적 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나, 생성적 학습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부(-)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학습이 조직효과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것을 입증하며, 더 적극적으로 조직학습을 유발하고 촉진시켜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조직학습은 조직변화를 가져와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국 공기업 사무직 종사자의 조직몰입,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직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경쟁우위를 지닌 역량이나 가치를 부여한 목표를 추구하는 적응적 학습과 생성적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적응적 학습과 생성적 학습을 많이 할수록 조직 또는 개인은 조직몰입과 직무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직무열의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예상과 같이 가설들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부 가설에서는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지만 일부 가설에서는 부(-)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열의가 조직에 대한 높은 업무성과 및 향상, 주도적으로 헌신적인 행동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생성적 학습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은 중국 특색을 가진 공기업에서 사무직 종사자는 적응적 학습은 조직성과와 조직발전을 촉진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직무열의가 높을수록 적응적 학습을 통한 조직몰입이 높아지지만, 생성적 학습은 직무열의와의 상호작용항이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쳐 조직몰입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중국 공기업에는 적용하지 않은 것이 조직성과의 창출에 더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생성적 학습을 한 집단, 특히 학습을 많이 할수록 직무열의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약화되었다. 또한, 직무열의는 생성적 학습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중국 공기업의 사무직 구성원들은 직무열의를 가지고 생성적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적 직무성과를 낮출 뿐만 아니라 조직성과도 같이 낮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이 생성적 학습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피해야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직무열의를 중요시하는 회사는 사무직 종사자의 직무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효율적인 인적관리로 이어져 공기업은 극심한 경쟁 속에서 경쟁력 제고와 동시에 우수한 인력의 유지 및 확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은 조직학습을 통해 안정적인 시장 확보를 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연구결과는 중국 공기업의 상황에서도 적응적 학습과 생성적 학습을 통해 경험하는 학습활동이 조직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실무적 의미를 가진다. 첫째, 중국 공기업의 특징으로 4차 산업혁명 세대는 조직학습을 시행하며 조직효과성을 추구한다고 주장하지만 중국 특색이 있는 공기업은 조직학습에 대한 수준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있어서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가 많지 않다. 조직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조직차원에서 조직 내의 학습이 조직구성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조직효과성의 수준과 관련하여 진행된 연구가 이루어졌다. 조직효과성을 이룰 수 있는 주체를 개인에게 초점을 맞춰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요인으로 조직학습의 관계를 입증함으로써, 사무직 종사자의 개인차원에서 조직학습을 활용해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성을 검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직무열의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하여, 기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데에 학문적인 의의가 있다. 조직학습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아직 활발하지 않은 가운데 실증 검증을 통해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학습에 대한 중요성을 밝혔다. 구체적으로 공기업 사무직 구성원은 학습에 있어서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실천하고 달성하여 더 높은 조직효과성을 이루어 낼 수 있 수 있으며 개인이 추구하는 조직에서의 학습수준에 따라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중국 공기업 사무직 종사자들이 개인의 자기개발과 경력관리 측면에서 조직학습을 통해 갖출 수 있는 조직성과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개인의 조직학습을 통해 현재 재직 중인 공기업 내에서 담당하는 업무를 잘 수행해 낼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신념은 긍정적으로 조직몰입과 직무성과를 이루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능력에 대한 인식은 조직구성원으로 조직 내부와 외부로 연결될 때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며 일터에서 긍정적 효과를 증가시키는 개인적 만족, 기쁨, 실현, 배려와 인지적·감정적 직무열의를 중요하게 여길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사무직 종사자 개인과 조직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직무열의를 높게 인지하고 업무에 맡은 직원들이 긍정적으로 조직 내 직무에 몰입하고 성과를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조직 차원에서도 조직구성원들이에게 직무열의를 높일 수 있는 경력 및 직무와 관련된 학습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조직입장에서 직원의 내부와 외부의 학습에 대한 인식은 직무를 잘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조직으로부터 관심과 지원을 받고 있는 조직구성원 일수록 직무열정이 높아져 이직의도가 낮아지며 조직직무에 더욱 몰입하게 되어 구성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위와 같이 이 연구는 학문적 및 실무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므로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에서 연구 방법의 한계성은 자기보고 방식의 온라인 설문이 활용되어 응답대상자의 주관적 감정과 느낌을 표현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객관성 확보에 한계가 있다. 또한, 조직효과성은 개인에 따른 주관적인 의미로 개인적, 상황적 특성 등으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설문지와 더불어 심층 인터뷰와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을 황용하며 행동적인 지표의 인과관계를 확인하며 더 심층적인 관련된 속성을 밝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이 연구에서 조직학습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직무열의 변수가 조직효과성을 조절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그 관계를 살펴보았으나, 예상했던 연구결과와 다르게 나타났다. 직무열의는 조직학습과 조직효과성에 관계를 조절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이 연구에서 확인했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변수를 설정하여 조절변수인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고 더불어 조직효과성의 전체적 관계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learning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cognized by civilian staff in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and to examine the engagement effect of work engagemen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data collection work was published online from April 25 to May 3, 2020 in the white-collar workers of state-owned enterprises in 4 cities in Shandong Province, China. In addition to dishonest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Ver)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relationship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downstream factors of organizational learning, namely adaptive learning and generative learning, have a beneficial "positive (+)" effect on the downstream fa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amel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ork engagement plays a part in regulating the cause of change. As the downstream factors of work engagement, vitality produces a "positive (+)" adjustmen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ncentration, but in generative learning and organization concent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ults shows "negative" (-)".Dedication shows the adjustment effect of "positive (+)"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penetration, but shows the engagement effect of "negative (-)"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ve learning and job performance. Involved learning shows a "positive (+)" adjustmen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shows a "negative (-)" adjustmen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v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penetration. These results prove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can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mply the necessity of more actively inducing and promoting organizational learning. In addition, organizational learning proves that it can bring about organizational changes and improve organizationa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ivil servants in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and the improvement of job performance are not only necessary for the organization, but also for the strength or value of their own competitive advantage, and adaptive learning and generative learning that pursue goals are necessary. Inspected the adjustment effect of work engagement, and found that the hypothesis as expected had the adjustment effect, but in some assumptions it had the "positive (+)" adjustment effect, but in some hypothesis it had the "negative (-)" effect. Thi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ngagement of the post for the organization's high degree of work results and improvement, and active devotion. Generative learning has no "positive (+)" adjustme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ncentration,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at in state-owned enterprises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daptive learning by civilian personnel promotes organizational results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higher the work engagemen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adaptive learning, but the interaction between generative learning and work engagement has a negative (-)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by redu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content that is not applicable to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is more conducive to the crea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group of generative learning, especially the more learning, the weaker the engagement of the job affects the job results. In addition, work engagement has a negative adjustme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ve learning and job results.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white-collar members of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in the process of generative learning with job engagement not only reduce the personal job results, but also the organizational results. In other words, within the organization, members in generative learning may avoid this situation and obtain better results. Companies that focus on work engagement will achieve positive results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civilian staff and form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so that state-owned enterprises can maintain and ensure that outstanding talents stand out while enhancing competitiveness in fierce competition. Therefore, organizations must strive to ensure a stable market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n the case of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the learning activities experienced through adaptive learning and generative learning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research result has the following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Firs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ate-owned enterpris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dvocates the implementation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the pursuit of organizational benefits. However, there are not many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benefits of state-owned enterprises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carried ou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because the internal learning of the organization has any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constituents, or is related to the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the main bod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individuals, the factors that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rove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learning, thus verifying the directionality of using organizational learning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civilians. In addition, to verify the adjustment effect of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existing prior research,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hich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discussion about the importance of work engagement is not yet very activ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examine the adjustment effect through empirical testing. Second, it elaborates on the importance of personal learning that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pecifically, civil servants in state-owned enterprises can clarify their values and goals in learning, achieve these goals, achieve higher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influence organization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learning level pursued by individual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achievements obtained by Chinese civilian employees in state-owned enterprises through organizational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 self-development and experience management. The work undertaken. Awareness of this ability provides revelations that can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en connected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organization as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and proposes personal satisfaction, joy, practice, care and cognitive work that increase positive effects on the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pplicable not only to individuals engaged in civilian work, but also to the work of the organization. First of all, employees with high engagement for the post and high requirements for the post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ternal work of the organization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 which is good for them. Therefor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organizational members with learning related to their positions or experienc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work engagement. Understanding employees’ internal and external learning in the organization increases their likelihood of doing a good job, and the mor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receive the organization’s attention and support, The higher their enthusiasm for work, the lower their turnover rate. As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ha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but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so I would like to make a number of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First, in this study,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method is that online questionnaires that use self-reporting methods have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the subjective emotions and feelings of the respondents, so there are limitations in ensuring objectivity.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will change according to the subjective meaning of the individual, depending on the situation, personal characteristics, etc., so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hile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flexibly use deep interviews to identify the causality of behavior indicators and reveal more in-depth relevant attributes is presented. Second, in this study, we expect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b heat variables that might be affected would adjus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obser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s, but found the result was different from what was expected. Job enthusiasm is an important variable reg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in the follow-up research, potential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are set, which has a certain effect on the moderating variables, that is, on work engag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