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 레저만족, 레저제약과 은퇴불안의 관계

Title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 레저만족, 레저제약과 은퇴불안의 관계
Other Titl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Motivation,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Constraints and Retirement Anxiety as Perceived by Pre-Retirees
Authors
권지혜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원형중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 레저만족 및 은퇴불안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레저제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에 따른 레저만족 수준을 알아보고, 이를 중심으로 레저제약을 통한 은퇴불안의 논리적 연관성을 밝힘으로써 예비은퇴자의 은퇴불안을 감소시키며, 더 나아가 레저의 저변확대 및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50대(51세~60세) 남녀 예비은퇴자를 대상으로 총 310부의 스마트폰 설문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응답 중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67부를 제외한 2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와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와 레저만족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레저동기는 레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서/심리적 안정 동기는 레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분전환이나 안정을 취하고 싶은 이유로 레저활동에 참여한다면 레저만족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2) 건강 동기는 레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유지나 체력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레저활동에 참여한다면 레저만족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사회관계 동기는 레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레저활동에 있어 구성원과의 관계는 예비은퇴자에게 중요하지 않은 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다. 4) 즐거움 동기는 레저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쁨과 즐거움을 느끼고 자기만족을 위해 레저활동에 참여하면 레저만족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는 많은 부분 레저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볼 수 있다. 특히, 즐거움 동기가 레저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레저활동에 있어 얼마나 긍정적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참여하는가에 따라 개인이 느낄 수 있는 만족감의 차이도 달라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예비은퇴자의 레저만족은 은퇴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레저에 만족하는 것 한 가지로는 은퇴불안이라는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예비은퇴자에게 은퇴라는 것은 언젠간 맞닥뜨리게 될 현실임과 동시에 아주 크게 다가오는 심리적 불안임을 추측해볼 수 있다. 셋째, 예비은퇴자의 레저만족은 레저제약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은퇴자의 레저만족이 높을수록 레저제약은 낮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레저를 통해 얻게 되는 만족감은 레저를 통해 개인이 느끼고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넷째, 예비은퇴자의 레저제약은 은퇴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은퇴자가 레저제약을 적게 느낄수록 은퇴불안이 낮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제약이 스트레스와 심리적 불안 등을 낮추는 변인으로 작용하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근거로 이 연구에서도 레저제약이 은퇴불안이라는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예측할 수 있다. 다섯째, 예비은퇴자의 레저만족과 은퇴불안의 관계에서 레저제약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인 간의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레저만족은 은퇴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결과와 달리, 두 변인 사이에서 레저제약은 매개역할을 함으로써 레저제약을 통해 은퇴불안을 낮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레저만족 수준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만족을 높게 느끼는 것과 동시에 레저제약을 낮추는 것 또한 중요한 부분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여섯째, 예비은퇴자의 레저동기와 은퇴불안의 관계에서 레저만족과 레저제약의 이중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서/심리적 안정 동기 → 레저만족 → 레저제약 → 은퇴불안의 경로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예비은퇴자의 레저만족과 레저제약은 정서/심리적 안정 동기와 은퇴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건강 동기 → 레저만족 → 레저제약 → 은퇴불안의 경로 간접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동기와 은퇴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사회관계 동기 → 레저만족 → 레저제약 → 은퇴불안의 경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4) 즐거움 동기 → 레저만족 → 레저제약 → 은퇴불안의 경로 간접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즐거움 동기와 은퇴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레저 연구들과는 다르게 예비은퇴자의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올 수 있는 은퇴에 대한 불안과 레저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처럼 예비은퇴자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레저와 은퇴불안의 관계를 규명한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가치가 있을 것이며, 향후 레저학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motiva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retirement anxiety in prospective retire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constraints. In addition, it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isure motivation of potential retirees and, based on which, the logical correlation of retirement anxiety through leisure constraints. By doing so,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crease of retirement anxiety in prospective retirees as well as the expansion and promotion of leisur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total of 310 male and female potential retirees in their 50s (age between 51 and 60) living in Seoul and the Gyeonggi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on smartphones. After excluding 67 survey sheets poorly answered or considered not reliable, 243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and AMOS 26.0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research subjects, it was found that leisure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e details were as follows: 1) Mental/psychological stability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leisure satisfaction increases if the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o feel better or get a relaxation. 2) Health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leisure satisfaction increases if the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health or improving fitness. 3) Social relation motiva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members in leisure activities is not important for prospective retirees. 4) Pleasure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which indicates that leisure satisfaction increases when the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for joy, pleasure, and self-content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leisure motivation of potential retirees could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factor for leisure satisfaction in many aspects. In particular, pleasure motiva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difference in individual satisfaction depends on how much they enjoy and have positive attitudes for leisure activities. Second,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prospective retire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tirement anxiety. This could be interpreted that just satisfying with leisure is not enough to relieve the psychological anxiety, retirement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it could be assumed that for prospective retirees, retirement was a reality that they get to face one day as well as causes overwhelming psychological anxiety. Third,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prospective retirees had a negative effect on leisure constraints.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of prospective retirees, the lower the leisure constraints. Based on the results, satisfaction obtained through leisure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in solving various constraints that individuals can feel and experience through leisure. Fourth, the leisure constraints of the potential retire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tirement anxiety. This means that the less leisure constraints the prospective retirees feel, the lower the retirement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in which constraints acted as a variable to reduce stress and psychological anxiety, this study could also assume that leisure constraints affect the psychological condition, retirement anxiety.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retirement anxiety of the potential retirees,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constraints was significant; it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variables. While leisure satisfaction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retirement anxiety, leisure constraints act as a mediator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lower retirement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it was important to not only increase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but also lower leisure constraints. Sixth,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and constraint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motivation and retirement anxiety of the prospective retirees. The details are as follows: 1) The path indirect effect of mental/psychological stability motivation → leisure satisfaction → leisure constraints → retirement anxiety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constraints of prospective retire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psychological stability motivation and retirement anxiety. 2) The path indirect effect of health motivation → leisure satisfaction → leisure constraints → retirement anxie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motivation and retirement anxiety. 3) The path indirect effect of social relation motivation → leisure satisfaction → leisure constraints → retirement anxie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4) The path indirect effect of pleasure motivation → leisure satisfaction → leisure constraints → retirement anxiety was significant,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easure motivation and retirement anxiety. Unlike preceding research on leisure for the elderl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bout retirement, which could be a direct and realistic problem, and leisure satisfaction in prospective retirees. Carrying out research that could be a useful resources to prospective retirees in achieving psychological stability, this study was considered well-timed and informative. In addition, it had a theoretical value in that it was the first and foremost stud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nd retirement anxiety, and it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research on leis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