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4 Download: 0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인식

Title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인식
Other Titles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uthors
홍누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가정 형태, 남한 학력에 따른 권리 인식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인식은 가정 형태, 남한 학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며, 만 3세에서 만 5세까지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40명이었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면담 텍스트 자료를 생성한 뒤, 텍스트 연결망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분석은 자연어 처리, 행렬화, 핵심어 분석, 핵심어 중심 연결망 분석, 실루엣 계수를 이용한 토픽 분석을 실시하였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가정 형태, 남한 학력에 따른 권리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면담 텍스트 자료를 어머니 집단에 따라 분류하고,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은 코사인 유사도를 이용한 단어 유사도 분석,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상관분석과 순열검정을 이용한 텍스트 연결망 유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유아기 자녀의 권리에서 보호 받을 권리, 교육 받을 권리를 핵심 개념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보호 받을 권리와 관련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보호권의 이행 주체로 부모, 가정, 어린이집, 국가를 인식하였고, 자녀가 어떤 문화와 가정에 속하든지 차이를 인정받고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교육 받을 권리와 관련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교육권을 소득과 연관 지어 인식하였고, 자녀가 국가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받을 권리, 부모와 교사의 협력을 통해 관심과 지도를 받을 권리, 본인 의사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에 대한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자녀가 자유롭게 의견을 말할 권리와 부모에게 의견을 존중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자녀의 권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남한에 와서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남한에서 공부를 하며 알게 된 것이었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가정 형태, 남한 학력에 따라 권리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가정 형태에 따라 유아기 자녀의 교육 받을 권리를 다른 맥락에서 설명하고 있었다. 한부모 가정 어머니는 자녀의 교육권에 대해, 자녀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 기회를 보장받는 것과 교육 받는 여건에 초점을 맞추고, 현재 교육이 울타리의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양부모 가정 어머니는 자녀의 교육권에 있어 부모의 역할을 언급하였고,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상의 관점을 가지고 자녀의 능력과 자질을 개발할 권리를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남한 학력에 따라 유아기 자녀의 권리를 부모와 연결 지어 다른 맥락에서 설명하고 있었다. 남한 교육경험이 없는 어머니들은 자녀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부모의 기본적인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반면, 대학교에 재학 중인 어머니와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어머니들은 남한 사회가 보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유아의 권리에 대해 더 많이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와 자녀를 위한 세심하고 긴밀한 협력 도모할 필요가 있고, 교사교육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와 자녀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선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가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관심사를 반영하고, 이들의 요구에 맞는 특화된 내용과 방식에 중점을 맞추어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가 더욱 필요해진 시점에서 유아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권리 인식 및 어머니의 다양한 배경과 상황에 따른 권리 인식의 특성에 대해 다각적인 이해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 folds. First, it aims to examine the level awareness of mothers who ar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regarding the children’s rights and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these rights through factors such as family structure and South Korean educa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 the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think about the rights of their children?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about the rights of their children depending on their family structur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se participants had children aged three to five-year-ol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wareness these mothers have of their children’s rights, I have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and applied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y topic analy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aking data into a co-occurrence matrix with selected words, key-word analysis, keyword-centr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analysis. Furthermore, I hav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about their children’s rights by family structure, the interview text materia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others' groups, and text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cosine similarity, QAP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and permutation tests were employe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recognized children’s right for protection and the right to education as critical concepts. Regarding the right to protection, the mothers recognized parents, families, daycare centers, and the state as the primary agents of the right to protection. They recognized that they had the right to protection from discrimination despite the diversity in culture and family background. In a similar context, the mothers recognized the right to education about income and the right to receive proper attention, guidanc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right to expression. Furthermore, these mothers recognized that their children had the right to express their opinions freely and to be respected by their parents. These rights were concepts that the mothers had acquired in South Korea. Second,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had different perceptions depending on the family structur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South Korea. Specifically, single-parent mothers viewed education as a protective fence. On the other hand, mothers with marriage partners mentioned recognized that children had the right to develop abilities and skills. Furthermore,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ha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their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in South Korea. Mothers with no educational background in South Korea focused on the most fundamental parental responsibilities. On the other hand, mothers attending college or with higher degrees were more aware of the rights of children that the South Korean society considers appropriate and healthy.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I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Fir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enhance partnership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and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must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reflect the nee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efectors mothers and childre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as it provides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awareness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have of their children’s rights. The present study provides timely evidence of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t a time where an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defectors is critically required. Furthermore, it advances the current knowledge base by uncov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erceptions based on various backgrounds and circumsta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