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한중 고등학교 국어·어문(語⽂)과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Title
한중 고등학교 국어·어문(語⽂)과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textbooks : Focusing on the writing area
Authors
LI, ZIYI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순희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국어·어문(語文)과 교과서 쓰기 영역 구성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한중 양국 국어·어문과 교과서 쓰기 영역 내용 개선에 기여를 하는 데에 초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한중 양국 고등학교 국어·어문과 교과서 중에서 각각 두 개의 출판사가 출판한 연구 대상 교과서 총 16권을 선정한 다음에 양국 교과서를 단원 구성 차원과 쓰기 학습활동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 기준에 따라 한중 양국 국어·어문과 교과서 쓰기 영역을 고찰하였다. Ⅰ장과 Ⅱ장에서는 연구 진행의 토대가 될 수 있는 기존 연구들과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기준은 선행연구에서 설정한 교과서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분석 항목들을 변형하고 추가하여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Ⅲ장에는 분석 기준에 따라 교과서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 결과 및 양국 교육과정의 요구를 근거로 한중 양국 국어·어문과 교과서 쓰기 영역의 내용 구성 개선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로 도출될 수 있는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단원 체계 구성이 다르다. 한국 교과서는 기본적으로 ‘도입 – 전개 – 정리'의 구조에 따라 교과서 단원을 구성하고 있는데 중국 교과서는 정해진 구조가 없어 자유롭게 구성하고 있다. 학생이나 교사가 단원의 학습 내용 및 구성 구조를 더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중국 어문과 교과서의 단원 체계도 일정한 구성 형식이 필요하다. 둘째, 한중 양국 교과서에는 모두 쓰기 영역과 문법 영역과의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쓰기 영역과 다른 영역과의 통합 현황이 각각 다르다. 한국 교과서는 중국 교과서에 비해 쓰기와 문학 영역의 통합이 부족하며 중국 교과서는 한국 교과서보다 쓰기와 듣기·말하기 영역과의 통합이 부족하게 구현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 국어과 교과서는 앞으로의 교과서 개발상 쓰기와 문법, 문학 영역과의 통합을 추구하며 적절하게 내용을 추가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 교과서는 쓰기와 문법 그리고 듣기·말하기 영역과의 통합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셋째, 중국 교과서는 한국 교과서보다 시험의 영향을 받아 소재를 중심으로 한 쓰기와 각 영역들을 통합하는 상황이 많고 쓰기 단원 작문 장르를 정하지 않은 것이 많다. 이는 중국 어문과 교과서에 쓰기 영역 관련 내용이 시험을 위한 교육 내용으로 설정하는 경향이 강한 것을 구현하고 있어 새로운 교과서 개발할 때 이 점을 고려하여 관련 내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한중 양국 고등학교 국어·어문과 교과서에는 쓰기 학습활동 구성 및 본문 글의 제재 선택을 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국 교과서와 중국 교과서는 모두 쓰기 학습활동에서 매체 활용을 더 추가할 필요가 있으며 교과서 본문에 ‘모범문’ 과 ‘예시문’을 균형성 있게 실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는 쓰기 이론의 관점으로 볼 때 한중 양국 고등학교 국어·어문과 교과서는 각각 다른 성격이 보인다. 한국 교과서는 단계적 쓰기 학습활동이 대부분이고 협동 학습이 많이 이루어져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쓰기 장르를 강조하여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의 성격도 보인다. 중국 교과서는 글을 완성하게 하는 방식과 활동 내용으로 결과 중심 쓰기 교육 및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의 성향이 더 많이 보여 과정 중심 교수법을 중국 교과서 쓰기 학습활동에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연구 결과가 향후 한중 양국 국어·어문과 교과서의 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제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focused on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content of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by deriving ways to improve the com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first selected a total of 16 textbooks for the study published by two publishers from Korean(Chinese) textbooks in both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s, and then divided th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into a unified composition dimension and a writing learning activity dimension for analyzing. Chapters I and II reviewed and organized the existing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that could be the basis for the study. The analysis standard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extbook analysis criteria set in the previous study, and analysis items were modified and added to prepare the analysis criteria. In chapter Ⅲ, textbook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and in chapter Ⅳ,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chapter Ⅲ,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writing areas in Korea and China were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unit system between Korea and China is different. Korean textbooks basically consist of textbook unit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introduction-development-reorganization', but Chinese textbooks are freely structured because there is no fixed structure. In order for students or teachers to grasp the learning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unit more clearly, the unit structure of Chinese textbooks also needs a certain format. Second, in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the integration of the writing and grammar domains was not achieved, and the integration status of the writing and other domains is different. Korean textbooks lack the integration of writing and literary domains compared to Chinese textbooks, and Chinese textbooks have less integration with writing and listening/speaking domains than Korean textbooks. Therefore, Korean textbooks need to add content appropriately while pursuing the integration of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in the future textbook development, and Chinese textbook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ntegration of writing, grammar, and listening/speaking areas. Third, Chinese textbooks are more influenced by exams than Korean textbooks, and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writing-oriented writing and each area are integrated, and many writing unit writing genres are not decided. This is because Chinese textbooks have a strong tendency toward Exam-oriented education, so when developing new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and improve them. Fourth, it is necessary to further improve the composition of writing learning activities and the choice of themes for texts in Korean(Chinese) textbooks of high school in both countries. Both Korean textbooks and Chinese textbooks need to add more media use in writing learning activities, and it is necessary to equip the textbooks with a ‘model text’ and a ‘sample text’ in a balanced manner. Lastly, from the perspective of writing theory,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Korean(Chinese) textbook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Korean textbooks are mostly staged writing learning activities and have a lot of cooperative learning, so the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and emphasize the writing genre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 Chinese textbooks have a tendency to complete writing and the tendency of result-oriented writing education and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to use process-oriented teaching methods appropriately in Chinese textbook writing learning activitie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improve the content of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in the future and to establish a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