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문화적 근접성이 중국 여성 소비자의 한국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문화적 근접성이 중국 여성 소비자의 한국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Cultural Proximity on Chinese female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Fashion Product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Usage
Authors
WANG, MAN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세희

박민정
Abstrac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rapidly developing Chinese consumer market is becoming the biggest consumption market in the world. In the meantime, the Chinese apparel market is also swiftly expanding. As South Korea is close to China in terms of geographical position, so their traditional cultures are also similar. Since the beginning of 1990s, many South Korean apparel companies have entered the Chinese market. China and South Korea have positive cultural exchanges in multiple fields, so Chinese consumers feel close to the Korean culture and have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products. In addition, after the Chinese government lowered the tariff of the fashion products in 2018,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increased number of Korean fashion companies in the Chinese market. Chinese apparel consumption market becomes more competitive,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ustained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n apparel companies in the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Chinese consumers' cultural acceptance of South Korea and their impressions on South Korean fashion products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fashion product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SNS on the market is very important.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SNS Usage on consumers when they buy product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I will examine the influence of cultural proximity on the image of Korean fashion products. Second, I will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ltural proximity and the image of Korean fashion products on the attitude towards South Korean fashion products. Third, I will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attitude towards Korean fashion produ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outh Korean fashion products. Fourth, I will als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Usages on the research model. In this research, the online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Chinese female consumers who were between 20s and 40s in their age. Also the participants live in the Chinese first-tier cities and they have purchased Korean fashion products. A total of 354 questionnair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25.0 and AMOS 23.0. All multi-item variables were subjected to factor analysi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Factor analysis of cultural proximity produced two factors (empirical proximity and psychological proximity). In factor analyses of image about Korean fashion products and the SNS usages, items yielded one factor respectively. The Cronbach alphas for all items were above .90, which showed good reli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psychological proximity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image about Korean fashion products positively but empirical proximity was not significant. Both psychological proximity and empirical proximity did not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the image about Korean fashion products on the attitude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After dividing two groups using the SNS usage (The high usage group and the low usage group), the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partially moderating effects of the SNS usage. Specificall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proximity and the image about the Korean products was stronger in the high usage group.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about the Korean products and the attitude toward it was also stronger in the high usage group. There was also moderating effects of the SNS us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 Korean fashion produc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image about the produc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when Chinese female consumers purchase Korean fashion products. Also, consumers who have close psychological proximity to Korean culture (who like K-pop and K-drama) would have positive image about Korean fashion products. It is possible that consumers who use SNS actively might have more information about Korean fashion products and it would positively influence on the image about the Korean products.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re was a lack of empirical studies about cultural proximit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Chinese female consumers to Korean fashion companies entering the Chinese market. ;글로벌화 시대에 꾸준히 활발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중국 소비시장은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의 의류시장 규모 역시 비약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유사한 문화를 바탕으로 90년대부터 한국의 의류 기업들이 중국시장에 진출하였다. 중국과 한국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문화에 대한 근접성으로 인해 한국과 한국의 제품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18년 중국 정부에서 의류 제품에 대한 관세 추가 인하로 한국 의류 제품의 중국 진출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국 의류 소비시장에서 치열한 경쟁과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시장 환경 속에서 한국 의류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발전 가능한 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로써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에 대한 문화적 근접성과 한국 패션제품의 이미지를 살펴보고 한국 패션 제품의 구매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시대가 일반화 되고 있는 가운데 SNS의 영향력은 소비시장에 매우 중요하므로 SNS의 활용 정도가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근접성이 한국 패션 제품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둘째, 문화적 근접성과 한국 패션 제품이미지가 한국 패션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셋째, 한국 패션 제품에 대한 태도가 한국 패션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넷째, SNS 활용도에 따라 한국 패션 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본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패션제품의 구매 경험이 있는 중국 1선 도시에서 거주하는 20~40대 중국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54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5.0과 AMOS 23.0 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측정 변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문화적 근접성은 경험적 문화근접성과 심리적 문화근접성 2 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한국 패션 제품이미지와 SNS 활용도는 각각 1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모든 측정 항목의 신뢰도는 0.9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의 가설 검증의 결과는 심리적 문화근접성이 한국 패션 제품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험적 문화근접성은 한국 패션 제품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문화근접성과 경험적 문화근접성 모두 패션 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패션 제품이미지가 제품태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패션 제품에 대한 태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의 SNS 활용도를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한 뒤, 다중집단모형분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비교 연구를 실시한 결과 SNS 활용도는 부분적으로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심리적 문화근접성과 한국 패션 제품이미지 간의 정의 관계는 SNS 활용이 높을수록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한국 패션 제품이미지와 한국 패션 제품에 대한 태도 간의 정의 관계는 SNS 활용이 높은 집단 일수록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패션 제품에 대한 태도와 한국 패션 제품의 구매의도 간의 정의 관계는 SNS 활용이 높을수록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 여성 소비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근접성과 한국 패션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 패션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제품이미지는 소비자들이 한국 패션제품의 구매 과정에서 중요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심리적으로 한국 대중문화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한국의 패션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이 SNS 활용이 높을수록 SNS상 제공하는 정보를 더 많이 접촉하게 되어 기업들은 이를 통해 제품의 이미지와 제품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의류학 분야에서 문화적 근접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현황에서 의의가 있으며, 중국 시장으로 진출하는 한국 의류 기업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