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2 Download: 0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Guidance of Child Problem Behavior
Authors
박재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돕고자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고 타당도 점검, 프로그램 실행, 프로그램 효과 평가의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의 최종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어떠한가? 2.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따른 최종 구성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전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의 결과는 개발 과정의 요구조사와 실행에 반영되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예비연구의 결과와 문헌 연구를 토대로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문제행동 지도와 관련한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조사의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고, 내용을 선정하고, 교수학습 방법을 계획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시안은 전문가 8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고, 현직 교사에게 실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교사 5인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모집하는 과정은 기관 섭외, 기관장의 내용 검토 및 연구 수락, 참여자 동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참여자가 결정된 후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 요구를 수용하여, 프로그램의 계획을 수정하였다. 참여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총 6회기의 프로그램을 7주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 토론, 연습이며, 토론-강의-연습-토론을 교수학습의 기본 체계로 하되, 참여자의 반응과 이해 정도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는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개념도, 평가지, 활동지, 설문지 네 가지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행 과정에서 도출된 수정사항과 참여자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최종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 된 최종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적용상의 유의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교사 대상의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현직 교사교육이 필요성을 검증하였으며, 교사교육의 내용은 문제행동의 개념, 문제행동의 원인 파악, 지도 전략의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할 때 현직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에는 전문가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요구조사 결과의 반영과 타당도 검증을 통해 프로그램 실행 시 참여자의 프로그램 목표, 내용, 교수학습, 실행 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 도구를 활용하였고 평가 결과를 통해 프로그램이 교사교육으로 효과적이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네 가지 도구를 활용하여 포괄적이고 다면적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의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에 참여자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개념이 확장되었으며 지식이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가 변화되었으며 프로그램의 참여에 대해 만족하고 현장에서도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거쳐 최종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최종 프로그램과 함께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적용상의 유의점을 제시하여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방안을 제시 하였다. 참여자의 요구를 프로그램의 진행에 반영하는 방법, 프로그램의 운용에 적합한 그룹의 크기, 참여자의 구성 과정, 강의자의 요건을 제시하여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을 제안하고, 교사교육으로 활용할 수 있는 최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는 영유아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교사교육을 통해 영유아 교사들의 문제행동 지도에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현직 교사들이 전문가로서 영유아의 문제행동을 인지하고 지도할 수 있는 현직 교사교육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make a draft proposal o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o validate, to execute and to evaluate the proposal, and thereby to develop the final program which facilitates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guidance of child problem behavior. The detailed research topics are given as follows. 1. What development processes has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guidance of child problem behavior gone through? 2. What is the final program from development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guidance of child problem behavior? In this study, the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teachers prior to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were reflected in demand survey and implementation on the development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and the literature study, a demand survey on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guidance of problem behavior was performed to teachers. According to the outcome of the demand survey, the aim of the program was se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hosen, and the teaching method was planned. The draft of this program on teacher education was verified by 8 specialists regarding its validity and executed by teachers. More specifically,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ive teachers at a daycare center in Seoul. The process of recruiting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casting of institution, review of the contents by the institution's director and acceptance of the research, and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fter the participants were determined, the plan for the program was revised to run a total of six sessions of the program during seven week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participant needs for the program. The teaching methods of the program are lectures, discussions and practices, and the discussion-teaching-practice-discussion is a basic system of teaching, but it is applied flexibly according to the response and understanding of participants.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following four tools were used: conceptual map, assessment sheets, activity reports and questionnaires.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modifications made in the execution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participants' assessment. For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fi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utio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ere suggested. The conclusion from the development outcome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guidance of child problem behavior is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the need for teacher education to guide problem behavior for child was verified, and the cont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and cause of problem behavior, and the method of guiding strategy. Second, the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the program were selected by reflecting the needs of teachers when drafting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prior to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by exper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gram. Through the reflection of the results of demand survey and validity check, participa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goal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program. Third, tools were used to evaluat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s proved that the programs were effective for teacher education.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and multifaceted assessment was carried out by using four tools to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indicated that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he concept and knowledge of child problem behavior were expanded by participants. It also indicated the change of the understanding on child problem behavior,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and the helpfulness of the program in the class. Fourth, the final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devised aft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urthermore, cautions with respect to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 accordance with its characteristics were suggested with the final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its effective utilization. Particularly, this study facilitates effective operation of the program by providing how to reflect needs of participants on process of the program, appropriate size of group for the program, recruitment of participants, and qualification of lecturer.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also suggests the final program for the guidance of teacher education on child problem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on child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in trying to help guide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 through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ope that teachers will be encouraged to recognize and guide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 as expe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