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3 Download: 0

음악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미적 경험으로서의 피아노 지도 방안

Title
음악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미적 경험으로서의 피아노 지도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 of Piano as an aesthetic experience for the improvement of musical expressiveness : To middle and high-level learners
Authors
최혜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희승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적 표현력을 위해 작품에서 음악의 표현적 특징을 가진 요소들로부터 오는 느낌과 개인의 잠재되어 있는 경험을 통한 음악적 접근을 함으로써 표현성에 지각하고 반응하게 하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음악적 경험이 감성, 융합적인 사고, 소통, 자기성찰 및 자기표현의 능력 등 다양한 역량을 길러 전인적 인간으로서 성장을 가능하게 함에도 불구하고 피아노 학습에서 기계적인 연습과 결과 위주의 학습으로 기능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게 되어 작품에 대한 경직된 사고를 하게 된다. 이는 작품을 깊이 이해하지 못하게 하고,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들을 발견하지 못하게 되어 음악적 표현은 물론 자기표현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없게 한다. 이에 유연한 사고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작품에 대해 예술적으로 사고하고 반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철학이 담긴 존 듀이의 미적경험을 바탕으로 특징과 교육적 효과를 피아노 학습에 적용하였다. 그러므로 학생의 잠재된 음악적 감수성을 깨우고, 작품을 통해 발견한 의미를 음악적 표현으로 실현하게 하여 학생이 주체적으로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미적 경험의 세 가지 측면인 지적, 정서적, 실천적 영역의 교육적 효과와 음악에서의 지각과 의미 형성의 과정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총 8회차 지도과정과 연습일지를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개인지도를 받고 있는 작곡을 공부하는 고등학생 5명과 작곡 전공생 1학년 1명이 참여 하였으며, 학습 수준은 초견, 독보, 테크닉, 피아노 학습 경험에 따라 중급 후기에서 고급 초기로 판단하고 학습 곡을 선정하였다. 선정 된 학습 곡은 1곡당 2명씩 학습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4회, 8회차의 연주비평을 통해 같은 작품 안에서 서로 다른 두 사람의 음악적 표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비교, 공감하기 위해서이다. 수업은 깊이 알기, 표현하기, 성찰 및 실행하기, 평가하기로 나누어진 연습일지를 작성하게 하였으며 기술적 측면이 아닌 음악적 표현력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그러므로 교사는 음악의 표현적 특성에 집중하여 예술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질문을 하였으며, 감상, 멜로디 노래, 연주, 비평, 교사의 부분적인 연주 등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시도하여 악곡에서 음악이 표현하는 내용과 의미의 관련성을 찾고 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매 회 마다 연습일지와 연주 영상 및 녹음자료를 활용하였으며, 8회차 연주 이후 인터뷰를 실시하고 질문지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 참여자의 연습일지, 연주비평지, 인터뷰 및 질문지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 음악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미적경험으로서의 피아노 학습을 통해 얻은 의미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의 음악적 표현성에 호기심과 관심을 갖고 지각하고 반응하는 능력이 생겼다. 이는 작품을 더 깊이 이해 할 수 있게 하였고, 악곡을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작품 안에서 정서적 감정과 느낌을 획득하여 하나의 의미로 구체화 하였다. 이는 자신만의 의미와 이야기를 가지게 하여 흥미와 재미를 느끼게 하였다. 셋째, 음악적 표현성으로부터 얻은 의미를 소리로 연결하여 표현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는 청각적 지각을 사용하여 소리에 집중하게 하였고, 기술적인 측면도 함께 강화되었다. 또한 연주 시 자기표현의 욕구가 생겨 연주에 집중하고 몰입하기도 하였으며 스스로 곡을 표현하는데 있어 성취감과 만족감을 가질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적경험으로서의 음악적 접근이 음악의 표현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인식하고 느끼는 능력을 발휘하게하고 이는 음악적 표현력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음악적 접근을 실제 연습과 연주에서 주체적으로 실행함으로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the ability to perceive and respond to expressiveness by taking a musical approach through the individual's latent experiences and feelings coming from the elements with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usic in piece of work for musical expressiveness. Although musical experience fosters growth as an all-round human being by fostering a variety of capacities, including emotional, converged thinking, communication, self-reflection and self-expression skills, it focus on the functional part of piano learning with mechanical practice and result-oriented learning, leading to rigid thinking about the work. This does not allow the work to be deeply understood, and not to discover the meanings inherent in it, making it impossible to fully exercise the ability of self-expression as well as musical expression. This requires a shift to flexible thinking, and it is necessary to think and react artistically to the work. Thus, based on John Dewey's aesthetic experience with these philosophies, features and educational effects were applied to piano learning. Therefore, the goal was to awaken a student's latent musical sensibility and realize the meaning found through the work as a musical expression so that the student could have a self-reliant musical experience. Based on the three aspects of aesthetic experience: the educational effects of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reas, and the preceding study of the process of perception and meaning formation in music, this study designed a total of eight-times instructional courses and practice diary. Five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music composition and one freshman majoring in composi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learning level was judged at the late Intermediate and high-level by the sight-reading, technique and piano learning experience, and selected the learning piano work. The selected works were to be studied by two people per work. This is to compare and sympathize with how two different musical expressions are expressed in the same work through 4th and 8th performance review. The lessons were made up of practice diary that were divided into deep knowledge, expression, reflection and practice, and evaluation. The focus was on musical expression, not technical. Therefore, the teacher asked continuous questions to focus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and to think and express it artistically. And various musical experiences such as listening to music, melodic songs, playing, criticism, and partial performance of teachers were tried so that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music can be found in the music and lead to expression. I used practice diary, video clips, and recording materials in each time, conducted interviews after the 8th performance, and collected responses to questionnaires. The research results were collected and analyzing data from the exercise log, the Performance Review Letters, the interview and the questionnaire of the study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aningful conclusion obtained through piano learning as an aesthetic experience for improving musical expressiveness is as follows. First, the musical expressiveness of the work has become curious and interested, and the ability to perceive and react. This gave the work a deeper understanding and allowed it to be view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econd, emotions and feelings were acquired and embodied in one meaning. This made them have their own meaning and story, which made them feel interesting and fun.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express the meanings obtained from musical expression characteristic by linking it with sound. This used auditory perception to focus on sound, and the technical aspects were enhanced as well. In addition, the desire for self-expression arose so that he could concentrate and immerse in the performance, and gain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in expressing work on own. Through this study, musical approach as aesthetic experience is able to recognize and feel the expressiveness of music from a new point of view, and this can be seen to affect musical expression. Therefore, one can the musical experience by performing these musical approaches on itself in practice and perform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피아노교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