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2 Download: 0

창의인성 영역에서 비인지적 특성을 측정하는 검사 개발과 타당화

Title
창의인성 영역에서 비인지적 특성을 측정하는 검사 개발과 타당화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non-cognitive scale to measure creative personality
Authors
이송이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태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 영역에서 비인지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인성 역량에 관련한 비인지적 성향을 측정하는 데에 하위 척도가 될 특성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둘째, 창의인성 영역에서 비인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그릿(Grit), 낙관성, 목표지향성, 완벽성, 선향성, 호기심이라는 6가지 요소를 구인으로 하여 검사도구 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검사 문항의 측정학적 특성 및 구인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해 창의인성 역량에 관련한 비인지적 특성 검사도구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검사의 개발에 앞서, 창의인성 역량관련 비인지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성장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측정의 근거를 탐색하고자하였으며 전문단의 자문 및 합의를 통해 그에 따른 구인을 선정하였다. 1차적으로 개발된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학령기 아동인 초등학생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을 통해 5개의 하위구인과 27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문항에 대해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수정 및 보완을 거쳤으며 각 구인 당 6개의 문항 내외로 전체 문항을 36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본검사는 편의표집으로 예비검사 대상을 포함하여 수도권 지역 소재 12개의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학생 57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검사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 설정한 요인의 내적 일관성을 떨어뜨리는 문항 3개를 제거함으로서 최종적으로 33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한편, 본 연구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고자 본검사의 실시와 하주현(2000)의 창의적 인성 검사(CPS)의 실시를 병행 하였으며 각각 상관 분석하여 관련성을 살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최종 선정된 6개의 구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한 결과, 요인부하량이 1보다 큰 요인은 6개요인으로 그릿(Grit), 낙관성, 목표지향성, 완벽성, 선향성, 호기심으로서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창의인성 영역에서 비인지적 특성검사와 창의적 인성 검사(CPS)사이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Pearson 상관계수를 살펴본 결과, 창의인성 영역에서 비인지적 특성검사의 하위 구인인 그릿(Grit), 낙관성, 호기심과 창의적 인성 검사(CPS)의 하위구인인 인내집착, 호기심, 자기 확신에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그릿 구인 간의 상관계수는 .657, 낙관성 구인은 .475, 호기심 구인은 .444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총 36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의 신뢰도는 Cronbach 계수 .916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33문항 간의 신뢰도 역시 Cronbach 계수 .908을 나타냈으며 구인 간의 상관관계 역시 .729에서 .815까지 정적 상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종합하여 볼 때, 창의인성 영역에서 비인지적 특성을 측정하는 검사도구의 구성 요인 문항은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초등학생 5, 6학년에게 적합한 평가도구로서 높은 타당성과 신뢰성, 나아가 적합성을 갖춘 척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래의 성장가능성에 민감한 학령기의 아동에게 학업 및 일과의 태도적인 면에서 성취감을 고취시키고, 역량의 신장을 장려하도록 돕는 검사도구의 개발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ABSTRACT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non-cognitive scale to measure creative personality Although cognitive variables remain the main focus of research in creative personality, much work has been devoted to figuring out the value of non-cognitive variables. Given that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constitute a significant factor in measuring creative personality, the development of tests to measure creative personality in terms of non-cognitive traits is essential.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test examining creative personality concerning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Questions and items were extracted from public questionnaires conducted on elementary students in 5 and 6 grade. Five sub-constructs and 27 items were derived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advice of experts, the items were reorganized into 36. Afte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 items were removed for the inter-item inconsistency. The final six sub-constructs were as follows: ‘Grit’, ‘Optimism’, ‘Goal Orientation’, ‘Perfection’, ‘Generosity’, and ‘Curiosity’. The reliability of the final 33 items was demonstrated b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hich was .908.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investigat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n-cognitive characteristic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PS-test. The correlation of constructs was revealed to be positive between .729 and .815.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ub-constructs and items of the test tool that measure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ersonality are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 and 6.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the non-cognitive scale of creative personality is a valid, reliable, and suitable tool for measuring creative person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