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유치원 신임교사의 역량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Title
유치원 신임교사의 역량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Competence Levels and Educational needs as Perceived by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 in Shanxi China
Authors
SONG, JIE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It is generally acknowledged that kindergarten period is a crucial period for the forma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personal personality. Thus, a quality preschcool education can not only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but also help them cultivate good learning attitude,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lifelong learning habit. To ensure the quality of preschcool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quality of teachers in kindergarten. Currently, numerous ways are avail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one of which is to improve the competence of teachers. In recent years, China has also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education, helping explain the gradual increase of researches on the compet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he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difference between novice teachers and new employees in other professions is that the former will perform the same duties as experienced teachers from the start. However, it is difficult for novice teachers to equip themselves with all the competencies necessary for teaching practice just from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Therefore, the novice teachers in kindergartens often encounter difficulties in many aspects from the beginning of their teaching career. They will be confused, and some of them may quit because they lose confidence. In order to facilitate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to adapt to the teaching life in the early stage of teaching, it is necessary to know what kind of ability these novice teachers possess and their ability level, so as to understand the competence that needs to be further improved, and explore the program for enhancing compete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ompetence level and educational needs of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Shanxi, China; to analyze the current support level and requirement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novice teachers in kindergarten; to explore effective support programs for enhancing the ability of novice teachers in kindergartens in Shanxi, China.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importance of the competence of the novice kindergartens teachers in Shanxi, China, and their current competence level were firstly investigated, based on which,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and priorities of the novice teachers for competence were understood. The research also analyzed the obstacles affecting the incumbency of novice teachers in kindergartens in Shanxi, China, and the effective support programs for strengthening the ability of novice teachers in kindergarten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mpetence level perceived by novice teachers in kindergarten? Second, what are the education needs and priorities perceived by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Third, what are the levels as well as needs of support for competence reinforcement of novice teachers in kindergarten? In order to analyze the competence levels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a research on the novice teachers of 15 kindergartens in Shanxi China was conducted.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20 were collected. Finally, 198 valid copies were obtained by excluding questionnaire with duplicate answers and with missing answer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Borich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used for further analysis and discuss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ovice kindergartens teachers in Shanxi Province believe that the level of importance of competence(4.627) is higher than their own level of competence (3.992). The overall competence is divided into 9 areas categories. The most important areas of competence that the novice teachers in Shanxi China consider to be teachers quality(4.771), daily life guidance(4.769), and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4.762). on the contrary, there is a low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growth in expertise(4.525), support for kindergarten(4.485), non-teaching course operation(4.323). in addition, the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 that their high level of competence is: teachers quality(4.398) daily life guidance(4.363) class management(4.130). But, the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 that their low level of competence is support for kindergarten(3.894), non-teaching course operation(3.793), growth in expertise(3.348). The novice kindergartens teachers believe that the field of competence with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degree and own lever are growth in expertise(1.177), and the field of competence with the smallest gap is teacher quality(0.374). Second, without distinguishing the field of competence, the analysis of the overall competence is as follows. The novice teachers in Shanxi China believe that the important competence are healthy mind and body(4.955), care , respect and love for children (4.949), techers’ethics(4.944), lifestyle guidance(4.919), safety instruction(4.914). In addition, the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 that the higher level of competence in all competence is healthy mind and body(4.803), techers’ethics(4.773), care, respce and love for children (4.768), view of teacher (4.742), lifestyle guidance(4.737). among all the competencies, most obvious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degree and own lever is continue to receive education(1.177), and the lowest difference is healthy mind and body(0.152). Third, the educational needs as perceived by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and priorities were high for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and class management. The high level of competence needs for education are continue to receive education, problem-solving ability, evaluation of ability, children’s individual evaluation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provide feedback according to evaluation results, establish and implement class management objectives, ability to negotiate with parents, ability to communicate, conflict resolution ability. Fourth, from the analysis of the novice kindergartens teachers on the level of faculty adaptation and strength enhancement, 19.8% of the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think that it is difficult to adapt to the teaching work after entering the job. 26.8% of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feel that it is difficult to strengthen their ability in the beginning. In addition, from the analysis of the obstacles of teacher adaptation and competence enhancement, the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 that the lack of practical teaching internship opportunities provided by the school curriculum(3.596) i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adaptation of teaching and the strengthening of competence. This is followed by the teacher-to-child ratio(3.530), the maintena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s parents(3.434), the lack of teacher competence(3.394), and the lack of kindergarten support(3.303). Fifth, the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 tha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upport for strengthening competencies (4.496) is higher than the current level of support (3.688). The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 that the more important support methods are Introduction and education of duties after entering the job(4.823),mentoring(4.763),research fee support for development competence(4.747), increase teacher training(4.682), other lectures in the area visited(4.677). in addition,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think that the current high level of support are Introduction and education of duties after entering the job(4.217), mentoring(4.197), colleagues taught(4.111), other lectures in the area visited(4.051), equipment support(4.045). The support method with the highes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degree and own lever is cost support for competency development(1.515). Sixth, the novice teacher in kindergarten believes that the support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with higher support requirements are Increase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extend the time support provided by the study, research fee support for development competence, non-teaching course guidance support, obtain a degree from a university or master's degree or abov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mentors who thought effective guidance were older teachers of the same age. The most effective content of induction education is about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and organizational adaptation. Novice teachers think that the most effective way to strengthen competence is the guidance of previous teachers. The new kindergarten teacher believes that it is best to invest no more than 6 hours per month to strengthen the teacher's competence. Seventh, the teacher's competence that the school should first cultivate is the sett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class management objectives. The teacher's competence that the scene of teaching should first cultivate are problem solving ability, evaluation of ability, children’s individual evaluation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provide feedback according to evaluation results, ability to negotiate with parents, ability to communicate, conflict resolution ability. The teacher's competence of the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first cultivate is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duction education of novice teachers so that novice kindergartens teachers can better adapt to the professional life of teachers in the initial period of employment.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job involvement of novice kindergartens teach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teachers, including teachers' salaries. Third, it is necessary to reduce working hours and workload so that novice kindergarten teachers can continue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college or graduate students. Fourth, in order to help the novice kindergartens teachers to strengthen their competence, comprehensive support for various methods of competence strengthening is needed.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ovice kindergarten teacher competence reinforcement project. Sixth, in order to allow novice kindergartens teachersto better educate and care for young childre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roportion of teachers to children ratio.;유아기는 개인의 성격 특성의 형성과 인지 발달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며, 양질의 유아 교육은 유아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아들이 평생학습의 학습 태도를 형성하도록 촉진시킬 수도 있다. 학교교육 활동을 실제로 주도하는 교사의 역할과 비중이 크기 때문에 아무리 좋은 교육내용, 교육시설,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어도 유치원 교사의 질이 확보되지 못하면 교육의 질을 보장하고 유아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다. 교사의 전문적 역량을 명확하게 규명해야 갖추어야 할 역량을 길러줄 수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유아 교육 발전에 대한 매우 중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역량에 관한 연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유치원 신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교사역량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유치원의 신임교사가 다른 직업의 신임직원과 다른 점은 입직 초기부터 경력교사와 같은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임교사들은 교사 양성기관에서 교직 수행에 필수적인 모든 역량을 습득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유치원 신임교사가 입직 초기에는 다방면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위기 상황에서 당혹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자신감을 잃어 이직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유치원 신임교사가 입직 초기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유치원 신임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역량 수준에 대해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교육 요구도가 높은 역량을 밝혀내고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산서성에 소재하는 유치원 신임교사의 역량수준 및 교육 요구도를 살펴보고 유치원 신임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현재의 지원 수준 및 지원 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중국 산서성 유치원 신임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효과적으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중국 산서성 유치원 신임교사 역량의 중요도 및 보유도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중국 산서성 유치원 신임교사의 역량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을 분석하고 유치원 신임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 및 교육기관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신임교사 역량의 중요도와 보유도는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신임교사 역량의 교육 요구도 및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 신임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현재의 지원수준 및 지원요구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치원 신임교사가 인식하는 역량수준 및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중국 산서성에 소재하는 15개 유치원의 신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한 설문지 총 230부 중에서 220부가 회수 되었다. 그중에 이중답변 또는 누락된 답변을 제외한 198부를 사용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Borich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산서성 유치원 신임교사가 인식하는 역량의 중요도 수준(4.627)은 자신 역량의 보유도 수준(3.992)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체 역량을 9개 영역으로 나누었는데 유치원 신임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역량영역은‘교직소양(4.771)’, ‘생활지도(4.769)’, ‘유아발달 이해(4.762)’이다. 반면에, ‘전문성 신장(4.525)’, ‘유치원 지원(4.485)’, ‘비교과과정 운영(4.323)’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유치원 신임교사가 인식하는 보유도가 높게 나타난 역량영역은 ‘교직소양(4.398)’, ‘생활지도(4.363)’, ‘학급경영(4.130)’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유치원 지원(3.894)’, ‘비교과과정 지도(3.793)’, ‘전문성 신장(3.348)’역량의 보유도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유치원 신임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보유도 간의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난 역량영역은 ‘전문성 신장(1.177)’이고, 차이가 가장 낮게 나타난 역량영역은 ‘교직소양(0.374)’이다. 둘째, 전체 세부 역량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유치원 신임교사가 전체 역량 중에서 인식하는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역량은‘건강한 정신과 신체(4.955)’로 나타났다. ‘유아 관심, 존중, 사랑(4.949)’, ‘교직윤리(4.944)’, ‘기본생활습관지도(4.919)’, ‘생활안전지도(4.914)’ 역량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 세부 역량 중에서 보유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역량은 ‘건강한 정신과 신체(4.803)’로 나타났다. ‘교직윤리(4.773)’, ‘유아 관심, 존중, 사랑(4.768)’, ‘교직관(4.742)’, ‘기본 생활습관 지도(4.737)’의 보유수준은 전체 역량 중에서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전체 세부 역량 중에서 중요도와 보유도 간의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난 역량은‘교육활동 지속(1.177)’이고 차이가 가장 낮게 나타난 역량은‘건강한 정신과 신체’이다. 셋째, 역량의 교육 요구도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교육 요구도가 높은 역량영역은‘유아발달 이해’및‘교육과정 운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 요구도가 높은 역량은‘교육활동 지속’, ‘문제해결 능력’, ‘교수-학습에 대한 평가 수행’, ‘유아개별평가이해 및 실행’, ‘평가결과에 따른 적절한 피드백 제공’, ‘학급경영목표 수립 및 실천’, ‘학부모 상담기법 이해 및 활용 능력’, ‘의사소통 능력’, ‘갈등관리 능력’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신임교사의 교직적응 수준 및 역량강화 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19.8%의 신임교사가 입직 후 교직 업무를 잘 적응하기가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26.8%의 신임교사가 입직 후 자신 역량을 강화하기가 어렵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적응 및 역량강화의 장애요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양성과정 시 교과지도 외 실무연수 부족(3.596)’은 교직적응 및 역량강화의 가장 큰 장애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교사 대 유아비율(3.530)’,‘학부모 관계 형성, 유지 및 상담(3.434)’, ‘적절한 역량개발 프로그램 부재(3.394)’, ‘유치원 지원 부족(3.303)’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치원 신임교사가 인식하는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의 중요도(4.496)는 현재의 지원 수준(3.688)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신임교사가 인식하는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지원 방식은 ‘입직 후 직무 안내 및 교육(4.823)’, ‘멘토링(4.763)’, ‘역량개발 연수비 지원(4.747)’, ‘양성기관에서 실무연수 강화(4.682)’, ‘지구별 장학수업 참관(4.67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신임교사가 인식하는 현재 수준이 높게 나타난 지원 방식은 ‘입직 후 직무 안내 및 교육(4.217)’, ‘멘토링(4.197)’, ‘동료장학(4.111)’, ‘지구별 장학수업 참관(4.051)’, ‘기자재 지원(4.045)’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보유도 간의 차이가 가장 높은 지원 방식은 ‘역량개발 연수비 지원(1.515)’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유치원 신임교사가 인식하는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지원 방식은‘양성기관에서 실무연수 강화’, ‘학업연장을 위한 시간적 지원’, ‘역량개발 연수비 지원’, ‘비교과지도 지원’, ‘대학교나 석사이상 학위취득’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신임교사가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한 멘토는 같은 연령 선배교사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신임교사가 효과적인 입직교육의 내용은 유아발달, 교육과정 운영, 조직적응에 대한 내용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신임교사가 효과적인 역량강화 방법은 선배교사 지도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신임교사가 한 달 동안 역량강화를 위해 투자하는 시간은 6시간 미만정도가 좋겠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원 양성기관에서 우선 교육되어야 하는 역량은‘학급경영목표 수립 및 실천’으로 나타났다. 교육현장에서 우선 교육되어야 하는 역량은‘문제해결 능력’, ‘교수-학습에 대한 평가 수행’, ‘유아개별평가이해 및 실행’, ‘평가결과에 따른 적절한 피드백 제공’, ‘학부모 상담기법 이해 및 활용 능력’, ‘의사소통 능력’, ‘갈등관리 능력’으로 나타났다. 연수기관에서 우선 교육되어야 하는 역량은‘정보화기술 활용’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산서성 유치원 신임교사가 교직 입문 초기에 교직 생활을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신임교사의 입직교육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치원 신임교사의 업무 몰입도를 제고하기 위해 교사의 임금을 포함한 근무 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치원 신임교사가 대학이나 대학원 진학 등을 통해 교육활동 지속할 수 있도록 근무 시간과 업무량을 줄여줄 필요가 있다. 넷째, 유치원 신임교사의 역량강화를 돕기 위한 다양한 역량강화 방법의 통합적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연구를 통해 유치원 신임교사의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유치원 신임교사가 유아를 잘 교육하고 배려할 수 있도록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감소하는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