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5 Download: 0

선교사 자녀의 선교지 내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과 귀국 후 적응 과정 탐색

Title
선교사 자녀의 선교지 내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과 귀국 후 적응 과정 탐색
Other Titles
An Exploration on Missionary Kids' Traumatic Stress Experience and Adaptation after Returning to Korea
Authors
한솔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본 연구는 선교사 자녀들의 선교지 내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이 귀국 후 적응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탐색하여 두 과정 사이에 연결고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스노우볼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섭외된 만 19~29세의 대학생 중 저개발국가에서 거주한 경험이 있는 선교사 자녀 8명이다. 총 9회의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분석 방법을 토대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총 3단계 과정을 거쳐 분석한 후 이론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개방코딩 과정에서 최종 177개의 개념, 43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과정에서 ‘선교사 자녀의 선교지 내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 후 국내 적응 과정 패러다임 모형’을, 과정분석을 통해 ‘선교사 자녀의 선교지 내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 후 국내 적응 단계’를 설명하였다. 축코딩 결과로 도출된 중심현상은 4가지 범주로, 각각 신체, 행동, 인지, 정서적 반응이었다. 선교사 자녀들이 경험하는 문제 상황, 특히 귀국 후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문제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신체, 행동, 인지, 정서적 반응이었다. 중심현상의 원인인 인과적 조건에서는 선교사 자녀들이 선교지에서 경험한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이 제시되었다. 도출된 범주 4가지는 ‘교인과 교우 관계에서 경험하는 문제’,‘부모님과 선생님의 언어적, 정신적, 신체적 학대와 방임’, ‘열악한 선교사 복지와 선교지 특성’, ‘반복되는 중요한 타자와의 이별’이 확인되었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은 선교사 자녀들이 귀국 후 경험하게 된 상황적 조건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맥락적 조건으로 도출된 3개의 범주는 ‘나의 문화와 한국 문화의 차이에 대한 인식’, ‘선교사 자녀에 대한 선입견’, ‘바쁜 친구에게 서운해도 내색하지 않는 태도’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조절하는 중재적 조건은 내적 자원, 주변 자원, 사회적 자원의 영역으로 구성되어있었다. 도출된 3가지 범주는 ‘사회성 기술 및 수용적 태도’, ‘주변의 지지와 주변 환경의 가변성’, ‘학업 수행능력을 지원하는 사회적 자원’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에 대처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연구를 통해 총 3개의 범주로 분석되었고, ‘사교 활동 태도 (적극적-소극적/선택적)’, ‘`한국인'이 되기 위한 적극적 노력’, ‘선교사 자녀끼리 가까이하는 것에 대한 상반된 반응 (찬성-반대)’으로 나타났다. 적응을 위한 노력의 결과는 연구를 통해 총 3개의 범주로 분석되었고, ‘적응 집단-한국인이 되기를 소망’, ‘적응 과정 집단-한국에 대한 긍정적 태도’, ‘부적응 집단-한국의 생활방식에 대한 이해만 존재’로 나타났다. 적응 집단과 적응 과정 집단은 작용/상호작용 전략에서 적극적 사교 활동 태도를 보인 참여자들이 해당하였고, 부적응 집단은 선택적이고 소극적인 사교 활동 태도를 보인 참여자들이 해당하였다. 과정분석에서는 선교사 자녀의 선교지 내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 후 국내 적응 단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으로 분석한 결과 ‘위축 단계’, ‘갈등 단계’, ‘결단 단계’, ‘행동 단계’, ‘결실 단계’의 5단계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선택코딩 과정에서는 연구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하나의 통합적 핵심범주를 찾게 되었고, 이후는 이야기 윤곽을 진술하는 것으로 핵심범주를 더 풍부하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선교지에서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을 한 선교사 자녀의 귀국 후 적응 과정 모형으로 ‘선교지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으로 인한 귀국 후 부적응 양상 속에서 적극적 대처방식을 통해 적응력을 향상’을 제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선교사 자녀 개인의 목소리를 통해 선교사 자녀들이 선교지에서 겪는 다양한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선교사 자녀들의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이 귀국 후 적응 과정에 미치는 영향까지 하나의 흐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선교사 자녀들의 적응 과정에서 이들이 적응을 위해 선택하는 전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과 선교사 자녀들의 적응 과정에 어떤 상황적, 환경적 요소가 존재하는지, 또 어떤 요소가 적응 상황에 변수가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선교사 자녀에 대한 이해와 통찰은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and provide connections on the past traumatic stress experience of missionary kids from underdeveloped mission fields to the adaptation processes after returning to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college ‘missionary kids’ from underdeveloped mission fields, of age between 19-29, gathered through snowball sampling. Data was collected through 9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with open-coding, axis-coding, and selective-coding to analyze and extract a theory. As a result, a total of 177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of themes were extracted by open-coding. Through axis-coding, a paradigm model was created regard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missionary kids after going through traumatic stress experience in the mission fields’. Then through process analysis, ‘Steps regard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missionary kids after going through traumatic stress experience in the mission fields’ were created and explained. There were four categories in central phenomenon with physical,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stress reactions. These reactions were the results from problematic situations of missionary kids especial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close friends after returning to Korea. For the causal conditions of central phenomena, traumatic stress experiences of missionary kids in the mission fields were raised. Four categories extracted were, ‘problems experienced amongst church members and friends’, ‘verbal, psychological, physical abuse and neglection from parents and teachers’, ‘po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ission fields and welfare conditions of missionaries’, ‘repeated farewells of significant other’. For the contextual conditions of central phenomena, situational conditions experienced after returning to Korea were raised. Three categories extracted were, ‘cognition on the difference of my culture and home culture’, ‘prejudice on missionary kids’, ‘reluctance on expressing disappointment to busy friends’. Intervening conditions that mediat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made up of inner resources, environmental resources, and societal resources. Three categories extracted were, ‘social skills and open attitudes’, ‘support and variability from the environment’, ‘societal support for academic accomplishment’.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the ways missionary kids handled traumatic stress experiences. Three categories extracted were, ‘attitude towards social activity(active-passive/selective)’, ‘active effort to become “Korean”’, ‘conflicting reaction on socializing by themselves’. Results from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ell-adapted group-wishing to become Korean’, ‘on adaptation process group-positive attitude about Korea’, ‘poorly-adapted group-just with an understanding of Korean lifestyle’. Participants who belonged to ‘well-adapted group’ and ‘on adaptation process group’ were people who showed active attitude towards social activity on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nd participants who belonged to ‘poorly-adapted group’ were people who showed passive/selective attitude towards social activity on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On process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changing process of ‘Steps regarding the adaptation process of missionary kids after going through traumatic stress experience in the mission fields’ over time, five steps-‘intimidation level’, ‘conflict level’, ‘decision level’, ‘taking-action level’, ‘fruiting level’ were analyzed. On selective-coding analysis, one integrated core category-the center of the whole study-was discovered and was described through a story line to provide a rich understanding of the whole theme. In this process, the core category-‘Traumatic stress experience from the mission field brings maladjustive aspects during adaptation, but by choosing active coping methods, missionary kids improve their adaptation’ was proposed.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variety of traumatic stress experiences that missionary kids encounter in the mission fields. Based on the live voice of missionary kids, this study was able to show the flow of how the traumatic stress experiences of missionary kids can affect their adaptation processes after returning to Korea. Moreover, the study shows which tactics missionary kids tried to use to adapt during their adaptation processes, what environmental, situational factors exist that affect their adaptation, and what factors affect as variables in their adap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ill provide fundamental elements for future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of missionary ki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