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고등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Title
고등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High School Students’ Creativity Using 8th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2017)
Authors
김재령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is demanding a new task of change in school education. In South Korea,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lso attempted to transform the fundamental paradigm of education. Through this, all students cultivated basic literacy about humanities, society, and scientific technology. Finally, we aim to students grow as a creative and convergent person who has humanistic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scientific technology. As such, through the pursued human image and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tudent make newly created who based on their knowledge in various fields, and who actively contribute to community development based creativity of individuals is important in education. Creativity is the ability to produce new and appropriate thing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processes, and the environmen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udents who have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can create a new product by using the fusion of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s through a wide range of basic knowledge. This creativity is regarded as an important competency required by society in changing era,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data. Previously, the study on creativity based on the SELS data was mainly focused on identifying the impact on creativity based on certain variables such as career exploration activity, ICT utilization, and after school participation(Suna Kyun, Soo Young Lee, 2017; Ho Kim, Jae-Chul Kim, 2012; Soobin Min, Eegyeong Kim, 2017; Yun-Kyung Au,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reativity of students in the whole school life, not specific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differ between groups according to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variables? Second, what variables affect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analysis, the 8th-year student and parents data of the SELS surveyed in 2017 were used. SPSS Statistics 21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creativity, and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which are creative motivation, creative attitude, and creative abil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on the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difference of creativity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the number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among family variables. In the variables of school lif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friendship, teacher satisfaction, class satisfacti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y,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program. Second, as results of the difference analysis on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are as follows. In creative motiv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the number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experiential activities. In creative attitud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gender and number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In creative 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gender, the number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bles affecting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as follow. Among independent variables, gend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ife satisfaction, ICT utilization ability, weekly reading time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ity. Among family variables, the number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Among school life variables, friendship, teacher satisfacti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program. Especially among school life variables, teacher satisfaction, friendship,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program had a relatively high influ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wit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as follow. Among independent variables, gend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ife satisfaction, among family variables, the number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and among school life variables, friendship, teacher satisfaction, class satisfacti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program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e motivation. Among independent variables, gend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ife satisfaction, ICT utilization ability, among family variables, the number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and among school life variables, friendship,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program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e attitude. Among independent variabl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ife satisfaction, ICT utilization ability, weekly reading time, among family variables, the number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the degre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among school life variables, friendship, teacher satisfaction, class satisfacti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areer experience program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e ability.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creativit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m at home and school to improve them. Families should be avoid excessive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and to help students learn on their own. In schools,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re is considered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on creativity. Among the family variables, the degre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e ability and among the school life, friend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ity and all sub-factors of creativity. At home, parents should have active communications with their children, and teachers need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tudents. At school, there are need to support students to build positive friendship by using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 In addition, life satisfaction is a influential factor on creativity and all sub-factors of creativity. So teacher's periodic attention of students' life satisfaction, including positive relationships, are needed. Third, training and support for teacher professionalism are needed. Among school life variables, teach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e motivation, creative ability, and creativity, and especially the influence on creative ability was high. Therefore, professional training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to increase their enthusiasm for classes and to enabl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o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education field. Fourth, active support f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high schools is needed. Amo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lub activities and career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reativity. In school, there are needs active support to make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more active. Finally, there is a need for support to improve students' ICT utilization ability and reading activities at home and school.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ICT utilization abilit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o the start of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ents development in subject related ICT. It is need to promote student reading activities at home and school by providing environment for reading.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existing data of SE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research results can be generalized to students in Seoul, bu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o students in other region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only the data from one single year, the result is relatively limited compared to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creativity over the years.;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사회는 학교 교육에 변화라는 새로운 과제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의 근본적인 패러다임을 전환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학생 모두가 인문·사회·과학기술에 관한 기본 소양을 함양하고 이를 토대로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지닌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처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 역량을 통해 현재 우리 사회 속의 교육은 학생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함양한 것을 토대로 새롭게 창출하여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 기여하는 개인의 창의력이 중요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창의성은 개인, 과정,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롭고 적절한 것을 산출할 수 있는 능력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사고 역량을 통해 학생이 폭넓은 기본 지식을 토대로 다방면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사용하여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창의성은 변화하는 시대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사회가 요구하는 중요한 역량이라고 보고,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된 창의성에 대한 연구는 진로탐색활동, ICT 활용, 방과후학교 참여 등 특정 변인을 중심으로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권선아, 이수영, 2017; 김호, 김재철, 2012; 민수빈, 김이경, 2017; 어윤경,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변인이 아닌 학교생활 전반에서 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여 첫째, 개인, 가정, 학교생활 변인에 따른 창의성은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둘째,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가정, 학교생활 변인은 무엇인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년에 조사된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8차년도 학생, 학부모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의 처리와 통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차이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독립변인은 크게 개인, 가정, 학교생활 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인은 창의성과 더불어 창의성의 하위 요인인 창의적 동기, 창의적 태도, 창의적 능력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가정 변인으로 설정한 사교육 참여 과목 수를 제외한 모든 독립변인에서 창의성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교생활 변인 중 방과후학교 참여 여부, 교우관계, 교사 만족도, 수업 만족도, 봉사활동 참여 정도,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정도 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창의적 동기에서는 가정 변인 중 사교육 참여 과목 수, 학교생활 변인으로 설정한 체험활동 참여 정도 변인을 제외한 모든 독립변인에서, 창의적 태도에서는 개인 변인 중 성별, 가정 변인 중 사교육 참여 과목 수를 제외한 모든 독립변인에서, 창의적 능력에서는 개인 변인 중 성별, 가정 변인 중 사교육 참여 과목 수, 학교생활 변인 중 동아리활동 참여 정도 변인을 제외한 모든 독립변인에서 종속변인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개인 변인 중에서 성별, 자기주도학습 능력, 삶의 만족도, ICT 활용 능력, 주당 독서시간, 가정 변인 중에서는 사교육 참여 과목 수, 학교생활 변인 중에서는 교우관계, 교사 만족도, 동아리활동 참여 정도,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정도가 있었다. 학교생활 변인 중 교사 만족도, 교우관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정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창의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는 개인 변인 중 성별, 자기주도학습 능력, 삶의 만족도, 가정 변인 중 사교육 참여 과목 수, 학교생활 변인 중 교우관계, 교사 만족도, 수업 만족도, 동아리활동 참여 정도,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정도로 나타났다. 창의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는 개인 변인 중 성별, 자기주도학습 능력, 삶의 만족도, ICT 활용 능력, 가정 변인 중 사교육 참여 과목 수, 학교생활 변인 중 교우관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정도로 나타났다. 창의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는 개인 변인 중 자기주도학습 능력, 삶의 만족도, ICT 활용 능력, 주당 독서시간, 가정 변인 중 사교육 참여 과목 수, 부모와의 대화 정도, 학교생활 변인 중 교우관계, 교사 만족도, 수업 만족도,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정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인 만큼,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가정과 학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가정에서는 자녀의 과도한 사교육 참여를 지양하고 학생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학교에서는 학습자 중심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나아가야 한다. 둘째, 학생 주변인들과의 관계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해야 한다. 가정 변인 중 부모와의 대화 정도가 창의적 능력에, 학교생활 변인 중 교우관계가 창의성과 모든 하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정에서는 부모가 자녀와의 적극적인 대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는 부모와 학생간의 관계 확인을 통해 학생들의 가정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는 지 확인이 필요하며, 학교에서는 협동학습과 같이 친구들과 서로 협력하며 소통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이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삶의 만족도도 창의성과 모든 하위 요인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생이 형성하는 긍정적인 관계를 포함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지에 대한 교사의 주기적인 관심과 확인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및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생활 변인 중 교사 만족도는 창의적 태도를 제외한 창의적 동기와 창의적 능력, 그리고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창의적 능력에 대한 영향력이 높았다. 이에 교사가 수업에 대한 열의를 높이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전문적인 연수와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창의적 체험활동 중 동아리활동과 진로활동이 창의성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학교별로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학생의 창의적 체험활동 참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가정과 학교에서 학생의 ICT 활용 능력 향상과 독서활동이 증진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학생의 ICT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 실시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과 더불어 교과목을 연계로 하여 ICT 관련 교원 연수,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 등의 지원이 필요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학생의 독서활동 증진을 위해 독서환경을 마련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 결과가 서울 내 학생들에게는 일반화가 가능하나, 다른 지역의 학생들에게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또한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교 전체 학년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