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한·중 고급 한국어 교재의 문학 학습활동 비교 연구

Title
한·중 고급 한국어 교재의 문학 학습활동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Literary Exercises for Advanced Korean Teaching Material
Authors
SONG, XINYU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단순한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교재로는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물론 다양한 상황에 맞는 수준 높은 한국어, 그리고 상이한 문화 차이 등을 극복하는 문화 능력 향상까지도 중요시한다. 이러한 수준 높은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려면 기초적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영역 능력 외에도 문화적 소통과 문학적 소양, 가능하다면 문학 능력의 향상까지도 필요로 한다. 이런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확한 한국어교육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정확하고 올바른 교육 자료로 교재의 내용이 학생에게 맞는지, 학습활동은 효율적인지, 또 교수·학습의 목표와 맞는지 등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 학습활동 비교를 통해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 텍스트 학습활동의 문제점을 밝히고 효율적인 학습활동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특히 문학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먼저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은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Ⅲ장에서 양국의 문학 학습활동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학습활동의 유형 분류 기준과 학습활동 내용 분석 틀을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 3종 7권, 중국 3종 5권 교재에 실린 문학 작품 목록과, 문학 학습활동 유형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습목표를 중심으로 한 문학 학습활동의 특징, 유사점, 차이점, 한계점을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언어능력, 활동 형식, 문화능력, 활동 성격, 활동의 체계성 이 5가지 방면으로 학습활동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가장 먼저 살핀 문제로는 학습 활동의 수가 적어 언어능력을 증진하는 데에 어떠한 문제를 줄 수 있는지의 여부다. 다음으로 활동 형식적으로는 단조롭다는 문제도 있었다. 목표 측면에서 보면 문화와 관련된 학습활동도 부족하다. 마지막으로 학습 활동 성격적으로 보면 폐쇄적이면서도 구체화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이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얻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활동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4가지 유형의 학습활동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사실적 이해 활동에서 텍스트 이해력 증진을 중심으로 학습활동의 수를 줄이고 구조망을 활용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매체를 활용한 학습활동 개선방안도 마련하였다. 추론적 이해 활동에서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자국의 비슷한 문학을 함께 배움으로써 친근감을 느끼고 이해의 차원에서 어려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자국어 교육의 시 교육에서 이미지를 교육 학습할 때 자주 사용한 감각으로 형상화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반응 표현 학습활동에서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해 도입 활동에서 지식 제시 방법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적용 및 재구성 학습활동에서는 문학의 표현 능력을 증진하기 위해 흥미롭고 열린 활동인 역할극을 하는 형식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언어 예술을 음미하기 위해 자국어로 번역하는 활동을 도입하는 것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 학습활동을 분석⦁비교하여 검토하고, 향후 양국의 문학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이 활성화함에 따라, 다양한 한국 문학 연구의 결과들을 참고하면서 그것을 바탕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 교육의 목표와 수준에 맞게 최적화된 다양한 학습활동들을 개발, 보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It is difficult for Korean textbooks to meet the needs of learners as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Korean learners not only pay special attention to overcoming various situations and cultural differences, but als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in a broad sense.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in such abroad sense requires not only the ability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but also the enhancement of cultural communication, literary literacy and literary ability. In order for meet this demand, carrying out correct Korean education is very important, but more importantly, it can not only meet the various requirements of learners, but also whether the content of teaching materials as educational materials is appropriate and accurate, whether it is suit for students, whether the learning activities are effective, and whether it is in line with the learning targets. This study aims at compare the exercises of literary works in Korean and Chinese textbooks, reveals the current problems of the exercises in the textbooks, and designs effective learning activities improvement programs. Chapter II discu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especially literature education. It established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nd content analysis framework of exercise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literature exercises of the two countries in Chapter III.  In Chapter III, it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literature catalogues and types of literature exercises in three kinds of seven textbooks in South Korea and three sorts of five textbooks in China. Then,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limitations of the literary exercises with the learning goal as the center. As well as it reveals the problems of learning activities from the five aspects of language ability, activity form, cultural ability, activity nature and activity systematization. To begin with, the number of learning activities is small, and there is no clear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language ability. There is also the problem of monotony in the aspect of the form of activities. There is a lack of culture related exercises in terms of objectives. Finally, at the aspect of the nature of learning activities, there are also such limitations as closeness and weak systemat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Chapter III, Chapter IV puts forth the orienta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formulates four types of exercise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In fact understanding activities, it reduces the number of learning activities, and uses structural network to improve exercise problems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 of text understanding as the center. As well, in order for stimulate the interest of learners, we also put forward a scheme of using the media for learning. In inferential understanding activities, students can use mutual textuality to associate with their own texts, thus learners can feel the intimacy and reduce the difficulty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In response and expression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mutual cultural power, in the introduction activities, an improved scheme is proposed through utilizing knowledge prompt method.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 of literary expression, to increase the interest in the form of role-playing, this paper puts forth the improvement plan. It introduces the translation cost of Mandarin in order to taste the art of language. Through analyzing and comparing the literature exercises in Korean textbooks of South Korea and China,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contributions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literatur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especially the literature exercises. It, by this research, hopes to broaden the horizon of various literary studies and decrease the difficulties of Korean learners, that will be helpful in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