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무용작품 「틀」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작품 「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Original Choreography 「Frame」 Based on Erving Goffman’s Framing Theory
Authors
박해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기숙
Abstract
본 논문은 2019년 6월 7일 이화여자대학교 체육관 홀 I 에서 발표한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 「틀」의 구상부터 공연까지의 전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이렇게 연구함으로써 작품을 구상할 때의 안무의도가 공연된 작품에서 어떻게 드러났는지 연구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공연의 종료와 함께 사라져 버리는 춤의 순간성과 일회성을 극복하고 공연된 작품을 텍스트화하며 역사화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논문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 이하 PBR)으로 연구하였다. PBR은 예술가가 자신의 작품을 구상단계부터 창작, 공연까지의 전 과정을 연구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물에 실기적인 요소가 결합된 학술연구의 형식이다. 작품의 주제와 핵심 개념을 잡기 위해서 ‘틀’에 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어빙 고프만의 틀 이론에 의하면 개인의 경험설정 혹은 상황정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틀’이라고 보았다. 개인을 둘러싼 환경에서 비롯된 행동의 주체는 ‘나’ 이며 행동자는 상황판단을 자기가 직접하고 있는 행동의 주인공이라고 정의한다. ‘틀’이 객관적 사실로 존재하고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개인이 틀을 스스로 선택하게 되는 ‘열쇠’를 쥐고 변형 할 수 있으며 인간은 ‘사회적 틀’이라는 상징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고 말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구성한 작품의 안무의도는 다음과 같다. 현재 자아의 존재 불안을 외부적인 요인으로 탓하는 것은 나 스스로 더 불행해질 뿐이다. 이제껏 형성되어온 자아와 사회적 역할이라고 할 수 있는 틀의 대립 속에서 수동적으로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지닌 자아를 토대로 자신만의 틀을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의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작품 구상 후, 창작과정에서 본 연구자가 틀에 관한 개념을 바탕으로 안무하고 연습하여 무용작품을 구성하였다. 2019년 5월 초부터 2019년 6월 7일까지 총 5주 동안 안무-연습-공연까지의 과정을 거쳤다. 1-2주차에는 작품 주제를 선정하고 구상을 하였다. 주제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소품과 음악을 설정하고 의상과 조명의 시각적 장치를 이미지화 하였다. 3주차에는 선정한 주제를 바탕으로 오브제를 활용하여 안무를 하였다. 4-5주차에는 안무한 작품을 연습하면서 동작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또한 의상과 조명의 구체화 작업까지 보완을 한 후 공연을 하였다. 공연을 한 작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안무자 개인의 틀을 인지하며 자신의 과거-현재-미래를 아울러 삶에 대한 태도와 추구하는 방향성을 드러내었고 이를 1장부터 3장까지 구성하였다. 1장은 과거를 표현한 ‘틀 안’에서의 모습으로 과거의 기억에서 점차 자아를 마주하고 순응해왔던 환경에 대해 벗어나려는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2장은 현재의 모습을 반영한 ‘틀 밖으로 나가는 과정’으로 사회적 역할의 틀 안에서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3장은 ‘규정된 틀에서 자유로운 단계로 나아가는 모습’으로 안무자가 지향하는 현재에서부터 미래를 표현하였다. 안무자가 원하는 삶에 대한 태도는 현재의 불안한 심리상태에서 비롯된 행동의 원인을 외부적 요인 탓을 하지 않고 스스로의 내면에 집중하여 주어진 환경 속에서 적극적인 자세로 살아가는 것이다. 이를 표현하고자 고정 되어 있는 최초 틀을 재변형하고 두 번의 재변형을 추가적으로 함으로써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가는 안무자의 의지를 시각적으로 강조하였다. 「틀」의 작품 구상에서부터 안무 및 연습, 그리고 공연까지의 전 과정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안무의도와 주제의식은 명료했다고 할 수 있다. 틀에서 안주하거나 벗어나려는 모습을 시각적 요소인 동작, 오브제, 조명을 통해서 잘 드러내었다. 또한 청각적인 요소로 자유로운 음악을 설정하여 안무의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드러내었다. 둘째, 창작과정에서 나의 내면과 호흡에 따른 움직임에 몰입하면서 자신만의 움직임을 찾아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습과 공연의 과정을 거치면서 춤추는 순간에 몰입하여 춤을 추고 나서도 호흡과 감정에 여운을 느낄 수 있었다. 셋째, 본인의 내면에서 우러나는 주제를 바탕으로 창작한 작품을 연구함으로써 연구자 스스로 성찰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연구자가 처한 상황과 고민을 무용작품을 통해 드러냄으로써 안무자 개인의 작품 세계를 구축해 나가고 예술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얻은 성찰은 후속 무용작품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을 통해 안무자가 작품의 설계단계부터 공연 후 분석까지 연구하면서 실기와 연구를 통섭한 바람직한 선례가 되기를 희망한다. ;The research focuses 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choreography 「Frame」 which was conducted in Hall 1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June 7th, 2019. The research explains how the intention of the choreographer is revealed through the performance. Also,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lies on overcoming the ephemerality and temporality of the dance and textualizing the performance. The research is based on practice-based on research (PBR) which holds practical factors i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BR is the method that the choreographer studies the performance itself from stage of planning, creation, and performance. Additionally,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frame’ was conducted to set the theme and main notions. According to Goffman’s framing theory, the ‘frame’ makes individual’s experience settings or situational definition available. Under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the main agent is the individual and the agent is the main protagonist that defines the individual’s decision under various circumstances. The subject of the action that comes from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individuals is “I”. And the actor defines the situation judgement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action who is doing. The frame does not exist and is fixed as an object fact, but holds a key that allows the individual to choose the frame. Humans have social interaction through the symbol of ‘social framework’. Based on Goffman’s framing theory, the intention of the performance is stated as follows: Under the conflict of frames between ego and societal requisites, proactive and independent creation of ‘frame’ is necessary rather than passive adaptation. After the pre-composition of the performance, the whole choreography was prepared from May 2019 to 7 June 2019 with the creation of the movements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the notion of ‘frame’. During week 1 and 2, the theme of the performance was settled. Stage props and music were set to express the main theme and clothing and light were decided to visualize the imagery. During week 3, choreography was created with the object based on the theme. During week 4 and week 5, continuous practice with modification and revision was held. With additional supplementation of light and clothing was done before the final performance. In the performance, the choreographer acknowledges the personal frame and expresses the attitudes and direction of life based on the overall past, present and future. Scene composition is specified 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represents the past which is ‘inside the frame’. The choreographer faces inner-self and tries to escape from the surroundings under the past memoirs. The second part represents the present, ‘escaping from the frame’. Instead of passive adaptation under societal role, choreographer expresses more proactive stance. The third part represents the future, ‘autonomous stage under regulated frame’. The act expresses the choreographer’s directivity from present to future. The choreographer shows active attitude to move forward by focusing towards inner-self and not blaming the outer circumstance as the factor for the anxiety created from unsettled psychological state. This will is visualized by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frame with two additional modification of the frame. Consequently, through the choreography 「Frame」,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First, overall intention of the choreography and theme were clear and concise. The intention to escape from the frame was visualized through movements, objects, and lights. In addition, by setting the music of the free atmosphere as and auditory as and auditory element, choreography intention was revealed more effectively. Secondly, by focusing through inner-self and movements derived from breathing abled the choreographer to find genuine movements. Through continuous practice and performance, the choreographer could be deeply immersed in the performance, feeling reverberation in emotions and breathing. Thirdly, by analyzing and studying the original performance created by the choreographer, the performance lead to self-examination. Also, the performance helped the choreographer to create original and genuine artwork by revealing the choreographer’s direction of life through the performance. These processes will help the researcher in the process of research designs in future research related to dance. Lastly, through the research,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choreographer will study the work from the design stage to after performance analysis to become a good example of practicality and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