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9 Download: 0

학교 청소년 정서지원 음악 프로그램의 참여자 만족도 평가 문항 구성에 대한 전문가와 학생 평가결과 비교

Title
학교 청소년 정서지원 음악 프로그램의 참여자 만족도 평가 문항 구성에 대한 전문가와 학생 평가결과 비교
Other Titles
A Study for Satisfaction Questionnaire on School Adolescents Music Support Program : Comparison between Experts’ and Students’ Evaluation Result
Authors
최새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청소년 음악 정서지원 프로그램의 참여자 만족도 평가 문항을 구성하고, 문항별 전문가 중요도 점수와 학생 이해도 점수 간 차이를 비교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 단계에 걸쳐 진행된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정서지원 프로그램 만족도 내용 분석 및 3인의 전문가와 1:1 심층면담을 통해 학교 청소년 음악 정서지원 프로그램의 만족도 영역을 구성하였다. 둘째, 이를 토대로 1차 문항을 도출한 후 학교 음악 정서지원 프로그램 전문 치료사 4인과 음악중재 자격증을 소지한 음악치료전공 학교 교사 5인을 대상으로 문항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만족도 평가 문항을 구성하였다. 셋째, 구성된 문항에 대해 음악 정서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교 2학년 학생 46명을 대상으로 문항 이해도 조사를 실시한 후 문항별로 전문가와 학생의 중요도 및 이해도 점수 차이를 비교하여 평균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치료적 환경’, ‘음악경험’, ‘치료적 변화’ 만족도 영역이 구성되었고, 이를 토대로 81개의 1차 문항을 도출하였다. 문항별 적절성과 중요도에 대한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 결과 ‘치료적 환경’ 영역에서 10문항, ‘음악경험’ 영역에서 8문항, ‘치료적 변화’ 영역에서 10문항이 도출되어 총 28문항이 구성되었다. 전문가와 학생의 영역별 합의 중요도 및 이해도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치료적 변화’ 영역의 평균차가 가장 낮고, ‘음악 경험’ 영역의 평균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 청소년 예술 정서지원 프로그램의 만족도 평가 영역별 내용을 구성하고, 전문가 문항 타당도 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만족도 문항을 구성하였다. 또한 전문가와 학생 간 문항에 대한 평가 결과의 차이를 비교한 후 유의미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학교 청소년 음악 정서지원 프로그램에서 참여자 중심의 만족도 평가도구를 마련하고 향후 학교 정서지원 음악 프로그램이 질적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school adolescents’ satisfaction for music program with emotional purposes and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experts’ importance factor and students’ intelligibility factor.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ncludes 3 steps; firstly, content analysis of satisfaction survey for art program with emotional purposes and one-to-one depth interviews with 3 experts was conducted to find out domains of a school adolescents’ satisfaction evaluation for music program with emotional purposes. Secondly, experts for school music programs for emotional purposes and teachers who have music therapist certificate or degree evaluated the validity of preliminary questionnaire developed in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A modifi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46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second grades who participated in music program with emotional purposes to evaluate their intelligibility of questions. The mean difference between experts’ importance factor and students’ intelligibility factor for each ques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3 domains of satisfaction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 ‘therapeutic environment’, ‘music experience’, and ‘therapeutic change’ and 81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ccordingly. Appropriateness and importance of each question were evaluated by experts, and 28 questions were included in the final questionnaire – 10 questions for therapeutic environment, 8 questions for music experience, and 10 questions for therapeutic change.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experts’ and students’ factors, the mean differences of satisfaction were biggest in ‘clean space’, ‘pleasurable activities with friends’, ‘useful experience of instrument playing’, ‘instruments and materials helpful for activities’, and ‘courage for ask somebody for help’. This study developed contents for each domain of school adolescents’ satisfaction for music program with emotional purposes, and developed satisfaction questionnaire considering the experts’ evaluation of validity. Furthermore, this study made a comparison between experts’ and students’ responses and analyzed meaningful aspec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participant-centered satisfaction evaluation tool for school adolescents and quality improvement of school music program with emotional purpose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