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4 Download: 0

창의적 문제해결(CPS)모형에 기반한 환경미술 수업이 초등학교 2학년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창의적 문제해결(CPS)모형에 기반한 환경미술 수업이 초등학교 2학년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Art Classes Developed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CPS)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Focusing on 2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이영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미래학자들은 현재 정보화, 세계화, 다원화 양상 위에 문화·예술적 특성의 강화와 분절적 지식 대신 유연하고 종합적으로 사고하는 창의적 사고 역량을 미래 사회적 특성으로 꼽는다(장연자, 2015)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따라 미래를 통찰할 수 있는 학습자, 다양한 상황에 융통성 있는 사고를 지닌 학습자를 길러야 한다. 핵심역량은 텍스트 기반의 지식이 아닌 실제 상황에 기반하여 실제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문제해결역량을 강조하며(진미석, 2016) 특히,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2015 교육과정에서도‘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를 융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 사고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교육부, 2015a). 학교에서는 교육과정과 부합하는 창의성 신장 교육을 위해 과학을 비롯하여 수학, 국어, 사회과 등의 교과학습을 통해 습득된 영역지식과 능력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이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구양미 외, 2006). 이러한 흐름 속에서 미술 교과에서 창의적인 학습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교과서 내용을 탈피하여 보다 실제적이고 주변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집중해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그 중심은 매우 현실적이며 접하기 쉬운 환경문제에 집중하여 복잡하고 난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다(문영미, 2013).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범교과 학습 주제 중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이 사회적 인식, 문제해결의 맥락에서 충실히 실현될 수 되며 미술교과 내에서 환경과 예술의 교과 간 통합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궁극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CPS: Creative Problem Solving: 이하 CPS)모형을 적용한 환경미술 프로그램은 예술과 창의성을 결합하여 사회적 차원에서 새로운 미래문화 창달에 기여함으로써 미래사회의 핵심교과로 일조할 것이다. ‘개인적 차원’으로는 잠재 가능성을 실현하고 변화하는 미래사회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며, ‘사회적 차원’ 에서는 사회와 인류발전에 기여 하는 능력으로 이어진다(조연순 외, 2008).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환경미술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환경미술 수업을 창의적 문제해결(CPS)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방법 중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도록 고안된 창의적 문제해결(CPS)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환경 미술의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교육을 통해서 환경에 대한 관심과 환경문제에 대한 실천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미술수업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계획 단계에서는 연구 주제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 및 초등학교 환경 미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다. 둘째, 연구의 설계 단계는 환경미술 수업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효과를 검증할 ‘미래의 거주지 상상하여 표현해보기’수업을 개발한다. 총괄 교수학습 지도안과 세부지도안을 차시별로 작성하며, 학습 목표, 평가 계획을 구체적으로 마련한다. 셋째, 연구의 실행 단계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G초등학교 2학년 14명을 대상으로 환경미술 수업 6차시를 실행한 후 서울대 심리연구실 MI연구팀이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한다. 넷째, 연구의 분석 단계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SPSS/WIN 통계 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대응표본 t-test 검증을 분석하고 본 수업의 유의미성을 파악한 연구결과를 도출한다. 다섯째, 연구의 결론 단계는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환경미술 수업의 수업 결과를 토대로 논의, 결론 및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연구절차에 따른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첫 째,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환경미술 수업 사전·사후 검사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유의미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모든 하위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세부 영역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정영역의 지식·사고기능·기술의 이해 및 숙달여부, 확산적 사고, 비판적․논리적 사고, 동기적 요소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 중‘확산적 사고’영역이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변화 수치를 보였다. 다음으로‘특정영역의 지식·사고·기능·기술의 이해 및 숙달여부’,‘동기적 요소’,‘비판적․논리적 사고’순서로 향상도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연구결과는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환경미술 수업이 초등학교 2학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전체 영역과 하위요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 교과에서 창의적 문제해결역량을 기르기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되었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프로그램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같은 사고 능력이 단기간에 향상되기 힘들기 때문에 장기간 적용할 수 있는 미술과 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현장 검증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로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환경미술 수업의 확산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미술과 중심의 다양한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을 통해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Based on the current trend of informatization, globalization, and pluralization, futurists emphasize two significant elements as demanded capabilities: 1) strengthening cultural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2) enhancing creative, flexible and synthetic thinking ability instead of incomplete knowledge (Jang Yeon Ja, 2015). According to these core competencies required, it is essential to cultivate learners who have flexible thinking in various situations with future vision. With the needs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aims at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s to synthesize diverse expertise exploiting fundamental knowledge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refore, the school education system has emphasize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obtained knowledge through various subjects including science, mathematics,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to enhance learners' creativity that is consistent with the curriculum (Koo Yang Mi, 2006). Amid this trend, there is a need for creative learners to become more competent in art subjects. Primarily, there is a need to break away from the contents of textbooks to the program, which focuses on solving practical issues occurring around them. And sustainable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has been emphasized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enables synthetic learning experience. It allows integrated learning between the environment and the arts within the art curriculum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rt classes designed according to the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CPS)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focusing on 2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mplement this, environmental art classes are designed based on CPS Model and proposed as a new Teaching-Learning Program. Furthermore, this study is aiming at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positive impact of teaching method specially designed to enhance students' creativity on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ly, art classes are designed in a way to raise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based on understanding the notion of environmental art. The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nd environmental art classes delivered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teaching method 'To express your future residence based on your imagination' was newly devised to verify the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the environmental art classes. Extensive lecture notes and detailed guidance are designed lecture by lecture, and overall purpose and evaluation schemes are also outlined. Third, this scheme was implemented in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for fourteen 2nd-grade students throughout six classes. Also, pre- and post-examin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examination developed by the MI research tea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Fourth, the collected data was examined through the use of a statistics program SPSS/WIN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2.0 and conducted the t-test to see the relevance between environmental art classe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t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fter the class treatment, and the experimental group analyzed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Fif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rt classes, the study was wrapped up with discussion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comparing pre- and post-art classes. Second, the changes of the sub-factor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 The results of specific areas are the foll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eld of knowledge of the particular areas, understanding of skillsets, divergent thinking,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and motive element are proved. Among them, divergent thinking shows the most substantial amount of difference, and knowledge of the particular areas, understanding of skillsets, understanding of skillsets, motive element, and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are following after that. In conclusion, it was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on overall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and its sub-factor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CPS model i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environmental art class. This research has become a practical program in that it has becom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o develop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art subjects. However, since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s not easily developed within the short term, the development of long-term education and evaluation scheme is still needed to be developed, which can be a topic for further research. It hopes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achieve a more systematic and constant application of creative problem-solving teaching-learning program in environmental art in real-education set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