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Determinants for fruit & vegetable intake among Latin American students in Korea

Title
Determinants for fruit & vegetable intake among Latin American students in Korea
Authors
RODRIGUEZ ROCHA, NORMA PATRICIA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서론: 본 연구는 한국에 있는 라틴아메리카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일 및 채소 섭취(FVI)의 변화 및 과일 및 채소 섭취에 대한 인식적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었음. 연구방법: 연구설계는 순차적 혼합방법 접근이며 이론적 틀은 건강행동과정접근(HAPA) 모형이었음. 본 연구는 2단계로 실시하였음. 첫 단계에서는 3개의 포커스 그룹(FG)을 실시했으며 결과분석을 통해서 FVI 변화와 장애 및 촉진요인을 확인하였음. 또한, FG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자 맥락에 맞출 수 있도록 설문지 항목을 수정하였음. 두번째 단계에서는 라틴아메리카 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2회의 설문조사(시작시점: 1차; 2주일 후: 2차)를 실시하여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위험인지, 의도, 계획, 행동통제, FVI그리고 변화단계를 측정하였음. FG 자료는 테마틱 코딩을 통해 분석하여FVI의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SEM)을 실시하였음. 결과: 전체적으로 라틴아메리카 학생들은 한국에 이동한 이후에 FVI에 부정적인 변화를 보였음. 섭취 분량, 섭취 빈도 그리고 섭취하는 과일과 채소의 다양성에서 부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 라틴아메리카 학생들이 지적한 FVI관련 인지된 장애요인 중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가격, 맛, 접근성이었음. SEM을 통해서 검증한 모델에서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는 의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의도가 섭취에 미치는 영향은 계획의 완전 매개효과를 통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음. 사회적 지지와 행동통제는 검증한 HAPA모형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음. 결론: HAPA는 한국에 있는 라틴아메리카 학생의 과일 및 채소 섭취에 관한 결정요인의 파악에 유용한 모형임. 이 집단에 FVI 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장애 극복하는 전략 및 계획 기술 중심으로 중재를 개발하는 것이 제안됨.;Aim: to identify the changes i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f Latin American students after temporal migration to Korea, as well as the perceived barriers, facilitators, and HAPA model determinants for fruit and vegetable intake (FVI). Methods: a mixed methods approach was used. Firstly, three focus groups (FG) were conducted to identify FVI change, and barriers & facilitators for FVI. Then, findings from the FG were used to modify the survey to the context of participants. Later, a 2 time-point survey measur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ies, risk perception, intention, planning, action control, FVI, and stage of change was carried out among 123 Latin American students. FG data was analyzed using thematic cod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to identify predictors of FVI. Results: Latin American students experienced negative changes in their FVI upon translocation to Korea, reporting a reduction in quantity, frequency, and variety. Most common barriers for FVI were price, taste, and accessibility, while facilitators identified were menu and grocery shopping planning, adaptation to Korean foods, and knowledge of the seasonal foods. In the tested model using SEM,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ies predicted intention, and planning had a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intention and FVI. Conclusions: the HAPA is a useful socio-cognitive model to identify the mechanisms predicting FVI among Latin American students in Korea. Self-efficacy and planning should be particularly addressed in nutrition interventions aiming to improve FVI among this pop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