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3 Download: 0

미술관 전시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능력 신장 방안

Title
미술관 전시 연계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능력 신장 방안
Other Titles
Strategies to Encourage Adolescent Self-Expression through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Authors
박지원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The modern art museum is an open cultural square for all to share their ideas. Overcoming its traditional functions such as collecting, preserving, and displaying works of art, modern museum also offers educational opportunity for the public to communicate with the artist and artworks. Many art museums provide exhibitions and educational contents mainly based on the interest of visitors. Breaking away from straightforward explanations of the artwork, museum education is changing into a free and fun ground of activities. Most museum education programs are divided into different age groups, but among them, programs for teenagers are relatively low in demand and variety due to teenager's intense stress focusing on the academics that directly leads to college admission. However, because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of growth and change, art education can be very effective helping teenagers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As museum education encourages teenagers to express themselves, teenagers may also find museum education and activities as a way to relieve academic stress. Many scholars define self-expression as an essential communication skill which one can frankly share what one feels, thinks, and desires. Art education offers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mselves in various ways and tools, and especially, museum is the best environment to encourage self-expression as it does not require exams or a fixed school curriculum to fol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value of adolescent self-expressions, analyze overall cases of teenagers’ self-expression in museum education programs, and suggest practical ways to encourage self-expression in a museum environment.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the study analyzed surveys, in-depth interviews, and output works of 4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6 assisting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students describe museum as a ‘fun place’ and feel excited about museum education programs as a outside-of-school field trip, but also feel exhausted as they have to travel far away from school. In addition, they replied that they felt most self-expressive when talking to peers, but also feel shy and uncomfortable speaking in front of 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seum needs to improve its environment to give a positive impression on students which will lead to long-term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 self-expression. Saving time and energy traveling from school to museum helps students to focus on the program. Both school and museum must work together to find the best schedule and curriculum for students’ convenience. Second, museum should be a comfortable place for students to actively engage. Museum educators should approach and encourage students into conversation, and even help them connect with each other. Also,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museum and exhibition beforehand at school is a great way to support students to feel comfortable and quickly adjust into a new environment. Third, students should also feel comfortable among themselves that self-expression is not a stressful activity. Conversation is a fundamental part of museum education. Participating students must feel familiar enough with each other before the program begins so that conversation may happen at all times. Thus, museum program should include ice-breaking activities and school should also prepare for group activities before leaving for a museum field trip. This study concludes that school and museum must work together sharing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each other in order to help teenager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a open environmen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may suggest practical strategies to encourage students’ self-expression, and that practicing self-expression will lead to achie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independent mind even outside of the museum. This study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actual directions to a better museum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ntent, which will support teenagers to build self-expression skills.;오늘날의 미술관은 작품의 수집, 보존, 전시의 전통적인 기능을 넘어 전시와 대중 사이의 소통을 위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며, 미술관의 자유로운 환경 안에서 자기표현을 독려하는 열린 문화공간이다. 다수의 미술관들은 관람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전시와 교육 콘텐츠를 마련하고, 단순한 소장품 해석에 대한 일방적인 교수전략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유동적이며 재미있는 미술관 교육으로 진화하고 있다. 미술관 교육은 연령별 눈높이에 따라 시행되고 있는데,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의 경우 학업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수요가 낮은 만큼 다양성도 부족한 편이다. 그러나 청소년기 역시 지적, 인지적, 사회, 정서적 등의 다양한 발달이 이루어지는 주요 시기이기 때문에 문화예술 활동은 이들의 자아성장에 큰 도움이 된다. 특히, 미술관 교육은 청소년의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독려하여 이들의 심리적 자기표출에 대한 욕구를 해소시킬 수 있다. 여러 학자들은 자기표현이 자신이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 관심사나 욕구 등의 모든 것을 솔직하게 타인에게 표현하고 공유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며, 청소년기에 필요한 정서적 자유, 자아형성, 원활한 사회관계 등에 도움을 주고 미래 사회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이자 기술로 보았다. 이에 미술교육은 다양한 표현방법과 도구로 자신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특히나 교육의 내용이나 구성에 제한이 없는 미술관 교육에서 더욱 다양한 자기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사례를 살펴보고, 다양한 자기표현을 독려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 전시 연계 청소년 교육프로그램의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기 자기표현의 가치와 의미를 알아보고,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자기표현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실제 청소년 대상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육 보조강사 6인과 중·고등학생 4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 심층 면담, 결과물 등의 질적·양적 자료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학생들은 미술관을 ‘재미있는 곳’으로 인식하고 외부체험활동으로서 실물 기반의 미술관 교육에 대한 기대감과 설렘을 갖고 있지만, 학교와 미술관간의 이동 및 활동 시간에 있어서 체력적 부담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활동 내에서 친구들과의 대화를 통해 자기표현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다고 응답하였으나, 친구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것을 부끄럽고 부담스러운 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의 자기표현을 이끌어낼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 교육의 운영 환경 개선을 통해 미술관에 대한 긍정적인 기억을 심어주고 프로그램의 정기적인 참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학생들의 적극적인 자기표현을 위해서는 학교와의 먼 거리로 인해 체력적 시간적 소모를 줄이고, 전시 관람과 활동시간의 제약을 완화하기 위해 학교와 미술관간의 배려가 필요하다. 참여 학생들의 자기표현 욕구를 충족시키는 프로그램 운영이 중요한 만큼 학교 일정, 학생들의 집중 가능한 시간, 학교의 교육과정 등을 고려하여 학교와 미술관이 함께 풀어 가야할 과제로 보았다. 둘째, 참여 학생과 미술관 간의 친밀감과 공감대 형성을 통한 학생들의 적응을 돕는다. 미술관 강사가 적극적인 태도로 참여자에게 다가가 대화를 이어가며 공감대를 형성하고, 학생들이 상호교류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학생들이 원하는 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또한, 학생들의 적응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학교에서부터 사전교육을 통해 미술관과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을 학생들에게 간략하게 제공하는 것이 학생들의 기대 향상과 동기 유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셋째, 참여 학생간의 상호작용 향상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부담 없고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형성해야 한다. 미술관 교육에서 대화를 통한 상호작용은 교육 내용만큼 중요한 부분이다. 참여 학생들이 프로그램 시작 전부터 서로 거리감 없이 친해진 상태로 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미술관 프로그램 내에도 몸 풀기와 친해지는 시간을 늘리고, 학교에서도 사전활동을 통해 학생들끼리 외부활동에 대비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술관 교육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자유로운 환경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기분을 전달할 수 있는 자기표현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와 미술관 간의 충분한 사전 정보 교류와 배려가 필요할 것으로 종합하여 보았다. 해당 연구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편안한 미술관 교육 환경 마련을 위한 세 가지 자기표현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며, 반복적인 자기표현 연습으로 미술관 밖에서도 자주적 사고와 공감능력 향상으로 단순한 체험 그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자유로운 자기표현이 가능한 미술관 교육의 구성과 환경 조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