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69 Download: 0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 분석

Title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Manifested during Play
Authors
유한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 행동 양상을 알아보고, 연령 및 놀이집단 크기에 따라 유아의 메타인지 행동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 행동 양상은 어떠한가? 2. 연령 및 놀이집단 크기에 따라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 행동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38명이었다. 놀이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메타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Whitebread 등(2009b)이 개발한 ‘C.Ind.Le(Cambridgeshire Independent Learning) 코딩 체제’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영상 촬영을 병행하며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수집한 자료는 INTERACT8(Mangold, 2018) 컴퓨터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아의 말과 행동을 초단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메타인지 행동의 하위범주별 빈도, 지속시간, 시간 비율을 산출하고, 각 범주와 연령 및 놀이집단 크기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사례와 함께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놀이 시간 중 약 73%의 시간 동안 메타인지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메타인지 행동은 짧게 여러 번 반복되는 경향이 있었다. 유아들이 놀이하는 동안 가장 많이 보인 메타인지 행동은 메타인지 조절이었다. 이 중에서 실행 통제와 모니터링 행동을 하는 시간의 비율이 5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두 행동은 연결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계획 행동의 비중이 높았고, 평가 행동은 메타인지 조절 중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유아들이 두 번째로 많이 보인 메타인지 행동은 감정·동기 조절이었다. 감정·동기 조절 중에서는 감정·동기 모니터링의 비율이 감정·동기 통제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유아들이 가장 적게 나타낸 메타인지 행동은 메타인지 지식이었다. 이 중에서는 전략지식의 비율이 가장 높고, 인물지식, 과제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는 유아들에게도 메타인지 능력이 확실히 존재하며, 유아들이 놀이하는 동안에 하는 말과 행동 속에서 메타인지의 증거가 빈번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유아가 놀이 중에 나타낸 메타인지 행동은 연령 및 놀이집단 크기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였다. 먼저 연령별 메타인지 행동 양상을 살펴보면, 만 3세 유아는 놀이 시간 중 약 75%의 시간 동안 메타인지 행동을 하였고, 가장 자주 하는 행동은 모니터링, 가장 긴 시간 동안 하는 행동은 실행 통제 행동이었다. 만 4세 유아는 놀이 시간 중 약 66%의 시간 동안 메타인지 행동을 하였고, 실행 통제 행동을 가장 자주, 오랜 시간 동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5세 유아는 놀이 시간 중 약 78%의 시간 동안 메타인지 행동을 하였고, 모니터링 행동을 가장 자주, 오랜 시간 동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놀이집단 크기에 따른 메타인지 행동 양상을 살펴보면, 혼자 놀이할 때 유아는 놀이 시간 중 약 78%의 시간 동안 메타인지 행동을 하였는데, 실행 통제 행동의 시간 비율이 현저히 높았고 메타인지 지식은 낮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이중 전략지식은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둘이 함께 짝을 지어 놀이할 때 유아는 놀이 시간 중 약 74%의 시간 동안 메타인지 행동을 하였고, 모니터링과 실행 통제 행동을 비슷한 비율로 나타냈다. 또한 감정·동기 모니터링을 나타낸 비중이 높은 편이었고, 메타인지 지식의 평균 빈도와 시간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세 명 이상이 그룹으로 놀이할 때 유아는 놀이 시간 중 약 70%의 시간 동안 메타인지 행동을 하였는데, 이 중 모니터링 행동을 나타내는 시간 비율이 매우 높았다. 또한 계획 행동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으며, 메타인지 지식의 전체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연령이라는 개인적인 요인과 놀이집단 크기라는 사회적 맥락이 유아의 메타인지 발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이 놀이 중에 나타내는 메타인지를 행동의 빈도 및 시간과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유아의 인지적 능력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으로서 놀이의 가치를 재확인시켜 주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와 함께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메타인지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유아의 행동과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활용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pects of young children’s metacognitive behavior manifested during play and examine how the aspects vary according to age and size of play group.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aspects of metacognitive behavior manifested by young children during play? 2. How do the aspects of metacognitive behavior vary according to age and size of play group? Study participants were 38 young children in the 3-5 age range who attended a private kindergarten in Seoul. The children’s metacognition demonstrated during play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ambridgeshire Independent Learning (C.Ind.Le) Coding Scheme (Whitebread et al., 2009b), which was adapted by this author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videotaping and observing children’s play; children’s speech and behavior were analyzed in seconds using INTERACT8 (Mangold, 2018). The analysis yielded frequency, duration, and time proportion of each subtype of metacognitive behavior, which are presented along with a case that illustrates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age, and size of play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engaged in metacognitive behavior for approximately 73% of playtime. Metacognitive behavior tended to be short in duration and occur repeatedly.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metacognitive behavior in the children was metacognitive regulation. In terms of subtypes of metacognitive regulation, children engaged in executive control and monitoring for over 50% of time, and the two types of behavior tended to occur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Planning was third most frequent, while evaluation was the least frequent subtype of metacognitive regulation. Following the metacognitive regulation, emotion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was the second most frequent metacognitive behavior displayed by the children. In terms of subtypes of emotional and motivational regulation, the frequency of emotional and motivational monitoring was higher than that of emotional and motivational control. The least frequent type of metacognitive behavior the children displayed was metacognitive knowledge. In terms of subtypes of metacognitive knowledge, knowledge of strategies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followed by knowledge of persons, and then knowledge of task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etacognitive skills clearly exist in children, and children’s speech and behavior during play frequently show the evidence of metacognition. Second, the aspects of metacognitive behavior displayed during play slightly varied according to age and size of play group. As for the aspects of metacognitive behavior by age, three-year olds displayed metacognitive behavior for approximately 75% of playtime; monitoring was most commonly observed, and executive control was observed for the longest duration. Four-year olds displayed metacognitive behavior for approximately 66% of playtime; executive control was observed most commonly and for the longest duration. Five-year olds displayed metacognitive behavior for approximately 78% of playtime; monitoring was observed most commonly and for the longest duration. As for the aspects of metacognitive behavior by size of play group, when playing alone, children displayed metacognitive behavior for approximately 78% of playtime; the time proportion of executive control was markedly higher than those for other types, while the time proportion of metacognitive knowledge was lowest, and in particular, knowledge of strategies has never been manifested in the children. When children played in pairs, they displayed metacognitive behavior for approximately 74% of playtime, with similar time proportions of monitoring and executive control. In addition, frequencies of emotional and motivational monitoring were generally high, while the average frequency and time proportion of metacognitive knowledge were highest among different types of metacognitive behavior. When playing in groups of three or more, children displayed metacognitive behavior for approximately 70% of playtime, with a particularly high time proportion of monitoring. In addition, frequencies of planning were generally high, while the total frequency of metacognitive knowledge was highest among different types of metacognitive behavio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hild’s age (a personal factor) and play group size (a social context) may influence manifestation of children’s metacognition. The primary merit of this study is that it increased our understanding of children’s cognitive skills by demonstrating metacognition children manifest during play using frequencies, duration, and cases of behavior.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study findings reaffirmed the value of play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children.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clude further research on children’s metacogni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effective analytic tools of children’s behavior and interac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