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LIN, WANWAN-
dc.creatorLIN, WANWAN-
dc.date.accessioned2019-08-13T16:32:43Z-
dc.date.available2019-08-13T16:32:4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89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892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10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비판적 읽기에서 형식 스키마를 활용하는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비판적 읽기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 목적 상황과 달리 학문 목적 상황에서는 학업 관련 전공 서적 및 논문 등 학문적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비판적 읽기 능력이 필히 요구되는바, 비판적 읽기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방안이 구체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 상황에서 형식 스키마를 활용하는 것이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에 효과적이라는 데 근거하여 형식 스키마를 중심으로 한 비판적 읽기 교육의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때 형식 스키마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 상황의 비판적 읽기에 가장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비판적 읽기 교육의 방안을 마련하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형식 스키마는 내용 스키마에 비해 사회문화적 맥락의 개입이 적으며 어느 정도 구조화를 이루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학문 목적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모어 화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언어 스키마나 사회·문화적 맥락 지식이 부족하여 내용 스키마의 활성화와 비판적 읽기 능력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구조화된 형식 스키마를 효율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면 비판적 읽기에 훨씬 더 쉽게 활용하고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형식 스키마의 개념을 비교대조, 문제해결 등 텍스트의 의미 구조뿐 아니라 텍스트 장르별 내용 짜임과 글 전체의 내용 전개 방식, 담화표지를 포함하여 특정 단어(군)의 선택 및 전략적 사용까지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하였고,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비판적 읽기에서 어떤 형식 스키마를, 어떠한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 문제를 다음 3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비판적 읽기 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형식 스키마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에 따라 Ⅱ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 읽기의 개념 및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 요소로서 비판적 읽기의 하위 요소를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검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대한 문헌 검토 및 자료 분석을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비판적 읽기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밝혔다. 또한 학문 목적 학습 상황에서의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형식 스키마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개념역을 재설정하였다. 재개념화 결과에 따라 학문 목적 학습에 형식 스키마의 내용 항목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는 III장에서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비판적 읽기 및 비판적 읽기 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학문 목적 비판적 읽기에서 어떤 형식 스키마를, 어떠한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등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전 면담 조사 결과,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읽기의 위상에 걸맞게 읽기 능력, 비판적 읽기의 중요성이 매우 높으나 학습자들이 비판적 읽기를 많이 어려워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학습자들이 학술적 한국어 텍스트의 구조, 학술적 표현 방식, 그리고 텍스트 구성 등에 익숙하지 않음을 본인들이 느끼는 어려움의 원인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비판적 읽기 교육에서 형식 스키마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교육을 마련해야 하는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양상에서 형식 스키마의 활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관점으로 조망하기’요소 외에 모든 요소에서 형식 스키마를 활용하여 비판적 읽기를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텍스트의 장르 지식 및 논리 전개를 활용하는 것이 비판적 읽기 능력을 신장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사전 면담을 통해 확인한 학습자들의 요구 사항과 비판적 읽기 수행에서의 형식 스키마 활용 양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형식 스키마 활용 중심의 비판적 읽기 교육의 목표와 원리, 그리고 교육 내용과 교육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때 형식 스키마 활용 중심의 비판적 읽기 교수·학습 방안을 읽기 단계별 방식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논의를 정리하면서 연구의 의의를 살피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에 대한 비판적 읽기 교육의 한 방법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로 나아가서 더 다양한 방법으로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에 대한 논의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employment of formal schema in critical reading conducted by an academic Chinese learner, and then further presenting the effective methods for critical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Not the same as the general purpose situation, the ability of critical reading employed to analyze and evaluate academic text, such as books and papers, on academic subjects is in high demand in academic fields, and then a plan for academic-purpose Korean education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 skills of critical reading is required to be prepared in detail. Therefore, this school prepared a plan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cusing on formal schema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adoption of formal schema in Korean learning situations as a foreign language was regarded as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critical reading skills. Currently, wha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is devising measures for the education of critical reading, providing that a formal schema is known as the easiest way to access and utilize critical reading of the Korean learning situation as a foreign language. Formal schemas are highly utilized for the reason that they have correlation with less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comparison with content schemas and they can be structured to some extent. For the reason that foreign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lack language schema o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knowledge in comparison with the speaker of More, it is rather difficult to carry out the activation of the content schema and the ability of critical reading. Therefore, if the schema of the structured type is able to be activated efficiently, critical reading can be employed and accessed much more easily.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a formal schema was defined in a broad sense so that it included not only the semantic structure of text, comparative contrast and problem resolution for instance, but also the composition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genre of text, how the entire text is developed, the diction of certain words (military), and the strategic use, including discourse markers, and qualitative analysis on what types and methods are adopted by Chinese learners in critical reading for academic purposes . On the basis of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mentioned above,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 in this paper. First, what is the status of education about critical reading in academic Korean education? Second, what about the critical reading patterns of Korean learners in the process of employing the formal schema? Third, what are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critical reading skills possessed by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problem proposed, Chapter II attaches importance to outlining the concept of critical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subcomponents of regarding the skill of critical reading as a content element of education about critical reading. In the whole proces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were also reveal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Korean language courses and the literature on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as well as relevant data analysis. In addition, relevant examination was conduc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a formal schema that could mak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ritical reading skills in the situations of academic learning and reset the conceptual station. The content items of the formal schema were compiled and presented in academic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re-conceptualization. Chapter III then focuses on how academic Chinese learners of Korean had an awareness of critical reading and related education, and also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on what the formal schemas are and how they were used in academic critical reading. It was discovered from a preliminary interview survey that students find it very difficult to read critically although reading skills and critical reading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particular, the demand for the preparation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through the employment of a formal schema in critical reading education could be reaffirmed, given that learners have proposed suggestions that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structure of academic Korean text, the way that can be used to express it, and the composition of the text. On the other hand, after the analysis on the usage patterns of the formal schema in the critical reading patterns of the academic Korean learners, it finall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all elements other than the ‘view from various perspectives’ element performed critical reading through the employment of formal schema. In particular, we have also obtained the result that the usage of knowledge related to genre and logical development of tex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hancing the skills for critical reading. Then, through the analysis on learners’ requirements identified through prior interviews comprehensively and the utilization patterns of modality schema in the performance of critical reading, the objectives and principles of education related to critical reading with the center on the use of formal schemas, as well as the training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were derived. Critical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ttaching importance to the use of a formal schema were presented in a read-level manner. Finally,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examined and some suggestions 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made as well. In this study, the use of formal skis as a method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r academic learners was proposed. We look forward to further this study for the aim of discussing education about critical reading for academic learners in more diverse way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5 1.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5 2.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비판적 읽기에 관한 연구 8 3.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형식 스키마에 관한 연구 11 C. 연구 절차 및 방법 14 Ⅱ. 이론적 배경 16 A. 비판적 읽기의 이론적 고찰 16 1. 비판적 읽기의 개념 16 2. 비판적 읽기의 하위 요소 19 B.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비판적 읽기 교육 22 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비판적 읽기 교육의 현황 22 2.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비판적 읽기 교육의 문제점 37 C. 형식 스키마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39 1. 형식 스키마의 개념 및 내용 39 2. 형식 스키마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50 Ⅲ. 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양상 52 A.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52 B.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양상 분석 57 1. 사전면담 분석 결과 57 2. 형식 스키마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양상 분석 결과 67 Ⅳ. 형식 스키마를 활용한 학문 목적 비판적 읽기 교육의 방안 81 A. 형식 스키마 활용 중심의 비판적 읽기 교육의 목표와 원리 81 1. 교육 대상 및 교육 목표 81 2. 교육 원리 83 B. 형식 스키마 활용 중심의 비판적 읽기 교수학습의 내용 85 C. 형식 스키마 활용 중심의 비판적 읽기 교수학습 방안 90 Ⅴ. 결론 및 논의 99 참고문헌 103 부록1. 설문지 108 부록2. 설명적 텍스트의 구조 지식 118 ABSTRACT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95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학문 목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판적 읽기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형식 스키마의 활용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ritical Reading Education for Academic Chinese learners of Korean : Focusing on the use of formal schema-
dc.creator.othername임완완-
dc.format.pagevii,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