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1 Download: 0

중국 윈난(雲南)성 쿤밍(昆明) 방언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Title
중국 윈난(雲南)성 쿤밍(昆明) 방언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Kunming Dialect Speakers in China
Authors
CONG, RONG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중국은 땅이 넓어서 표준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수 민족어와 지역 방언 등으로 이루어진 풍성한 언어 생태계이다. 화자들은 자신이 살아온 환경, 문화가 반영된 언어를 습득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된다. 이는 화자가 표준어를 학습할지라도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지역의 언어가 주 언어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외국어를 학습할 때 표준어보다는 자신이 사용하는 방언에 더 많은 영향을 받게 됨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한국어 교육에서는 이러한 환경적·사회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중국 각 지역의 방언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중국 윈난성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많음에도 한국과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인지도가 낮아 특화된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중국 윈난성의 성도는 쿤밍으로,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는 쿤밍방언이다. 쿤밍방언은 중국 북방방언에 속하나 중국 장화이(江淮) 방언과 이족(彞族), 백족(白族) 등 일부 소수 민족 언어의 특징을 흡수하여 보통화와 다른 양상을 가진다. 따라서 보통화 화자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한국어 교육을 하는 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쿤밍방언 화자들을 고려한 효율적인 한국어 발음 학습이 필요하다고 보고, 쿤밍방언과 한국어의 음운 체계 대조 분석을 통해 그들의 특성을 반영한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 외국어/제2언어 학습자의 음운 습득 과정에 관련된 이론을 소개하고, 음향∙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를 활용하여 쿤밍방언 화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쿤밍방언의 음운 체계 대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두 언어 간의 ‘동일한 소리’, ‘유사한 소리’, ‘새로운 소리’를 밝혀 본 실험의 분석기준으로 삼았다. Ⅲ장에서는 쿤밍방언 화자의 한국어 발음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인식 조사와 실태 조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인식 조사는 두 언어 간의 비교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온라인 설문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쿤밍방언 화자의 발음 양상을 예측하였다. 이렇게 예측된 발음 양상은 실태 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실태 조사는 쿤밍방언 화자와 쿤밍방언 인지가 가능한 보통화 화자 두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발음 시 쿤밍방언 화자와 보통화 화자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쿤밍방언 화자는 초성 자음의 경음 습득이 어렵고, 평음과 유기음을 구별하여 발음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성 자음의 경우 /ㄴ/과 /ㅇ/을 구별하여 발음하지 못하였다. 이 외에 초성 자음 /ㄹ/과 종성 자음 /ㄹ/의 발음 문제, 단모음 /ㅣ/와 /ㅏ/의 발음 문제, 단모음 /ㅗ/와 /ㅜ/, /ㅗ/와 /ㅓ/의 구별 문제, /ɯ/계 이중모음의 발음 문제 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발음 교육 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Ⅳ장에서는 교육 내용의 보편성, 중요도, 접근도, 난이도를 기준으로 쿤밍방언 화자를 고려한 발음 교육의 교수요목을 선정하여 쿤밍방언 화자를 고려한 한국어 발음 교재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특히 한국어 발음 교육에 있어 환경적·사회적 요인 등을 고려한 교육이 필요함을 전제로, 특정 지역을 선정하여 그 지역의 화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특성을 고려한 특화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자∙모음 체계에만 주목한 나머지, 변별적 자질이 될 수 있는 음운변동이나 억양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앞으로 이 연구를 토대로 특정 대상의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China is the country which has a vast territory. In addition to standard mandarin, there are various minority languages and regional dialects are used in China. Recently, the research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students who speak dialects in different regions of China is gradually rising. Kunming, the capital city of Yunnan province, which is relatively far from South Korea, is lack of muchattention about this research.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dialect in Yunnan province, Kunming dialect is commonly used. Although, Kunming dialect theoretically belongs to the northern dialect system of China, it differs from mandarin based on the fact that Kunming dialect absorbs special characteristics of Jianghuai dialect as well as dialects from Yi, Bai and other ethnic minorities. In the process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e influence of mother tongue on foreign language is inevitable. Especially for learners who speak dialects which have already played the role of mother tongue. When they learn foreign languages, they are more easily influenced by dialects than mandarin. Therefore, in order to better learn Korean pronunciation for students who speak kunming dialect, it is necessary to find a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program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kunming students by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kunming dialect. This research takes Korean learners who speak Kunming dialect and live in Kunming asobjects. It focuses on comparative analysis of phonological system between Korean and kunming dialect as well as summary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nunciation for Korean learners who speak Kunming dialect by analyzing Korean pronunciation for Kunming dialects peakers with the experiment uses sound acoustics software -- Praat. Finally, an effective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extbook is presented. ChapterI illustrates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research as well as its methods. Chapter Ⅱ first introduces theresearch about learning process of foreign language’s / second language’s phoneme. Then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unming dialect are sorted out by comparing phonological system of kunming dialect and mandarin, which will be helpful for following experimental analysis. Next, comparing the phonological systems of Korean and kunming dialect, their new sound, similar sound, and identical sound will be identified. In chapter Ⅲ, in order to understand the kunming dialect speakers’  Korean pronunciation characteristics, surveys of their knowledge of pronunciation and practical investigation are conducted. First of all, survey questionnaires are made based on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languages in chapter Ⅱ, which are also carried out in the form of network questionnaire. After analyzing questionnaires, types of Korean pronunciation of kunming people are speculated and actual investigation is given by means of recording experiment for confirming accuracy of the speculation mentioned before. The objects of the survey are mainly kunming residents and people who know kunming dialect but speak mandarin. As a result, it is notic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unming speakers and mandarin speakers when it came to Korean pronunciation. As for people live in kunming, they can not pronounce accurately fortes of initial consonant in Korean, they can not distinguish aspirate sounds and lax consonants. In pronunciation of final consonant, it is hard for them to differentiate /ㄴ/ and /ㅇ/. All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surveys of knowledge of pronunciation for people. What’s more, the pronunciation of /ㄹ/ in initial consonant and /ㄹ/ in final consonant, /ㅣ/and /ㅏ/ in vowel, /ㅗ/ and /ㅜ/, /ㅗ/ and /ㅓ/ as well as diphthong need to be paid attention to in education. Chapter Ⅳ i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contents. Furthermore, according to universality, importance, degree of approachability and difficulty of educational contents, contents of Korean pronunciation for kunming people are selected. And a textbook material development scheme for Korean pronunci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unming people’s pronunciation is proposed. This study has certain significance in comparing kunming dialect and Korean, and developing a unique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program for kunming people. However, it also has certain limitations as it only studies the people’s production of Korean pronunciation in kunming. Apart form consonant and vowel, phonological variation and accent will be taken into full consideration in the future for deepen the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