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8 Download: 0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입체 표현 수업이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입체 표현 수업이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fluence of Stereoscopic Expression Classes Applied with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Sociality Improvement : Focusing on the Second Year Course of Middle School
Authors
육민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현대 사회의 청소년 사회화 결핍 현상은 지나치게 학생들을 경쟁시키는 입시 제도, 가족 기능 약화와 가족 해체 현상, 스마트폰과 인터넷 등의 매체 환경의 변화 등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청소년들의 사회성을 결여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고 청소년들의 사회성 향상을 위해서는 학교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급 친구들과의 소통과 협동 경험이 필수적이다.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사회성 증진을 통한 바른 인성 함양을 교육 목표 중 하나로 두고 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특별한 전략 중 하나로 학생들의 준법성, 협동성 등의 기능을 증진할 수 있는 협동학습을 제시하고 있다. 협동 미술 수업은 미술 표현 능력과 더불어 사회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함양하는 데 도움을 주고 학생들에게 소속감을 심어주기 때문에, 부모나 가족의 품을 벗어나 사회적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바른 인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유행관, 2011). 본 연구에서는 LT협동학습 모형을 미술수업에 적용하여 미술교육이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LT협동학습 모형은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된 학습자들이 개별적 책무를 가지고 상호 의존하여 공동 과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하는 모형이다. 미술 수업의 소재로는 학생들이 공동작업으로 협동하기 적합한 입체 표현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협동학습과 사회성 및 입체 표현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단원을 선정하였고 협동학습 모형 중 미술 수업에 적용 가능하고 사회성 증진에 효과적인 LT협동학습 절차에 기초한 ‘자연환경 보호 터널 북(Tunnel Book) 만들기’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에 소재한 L여자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의 총 100명을 단일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8차시에 걸쳐 연구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 도구로는 정범모(1971)가 개발한 사회성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또한 평가도구는 2015년 개정된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업 전후로 사회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단일 연구로 이루어짐을 감안하여, 활동지 분석, 학생 인터뷰 소감 내용과 만족도 검사를 질적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성 능력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본 연구수업을 적용한 단일집단의 사후 사회성 능력이 유의미한 변화로 향상되었다. 둘째,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사회성의 네 가지 하위요소인 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의 발달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후검사가 사전검사에 비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향상되어 나타났다. 셋째, 수업에 대한 학생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LT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협동 활동이 다양해 창의적인 표현활동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모둠원 간의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여 작품 제작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수업이 종료된 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수업 만족도 조사에서 LT협동학습을 적용한 입체 표현 수업이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사 질문 중 모둠별 협동학습이 작품을 제작하는 데 도움이 되었는지, 수업 전과 비교해 볼 때 협동학습 수업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입체 표현 수업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사회성 향상에 양적, 질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사회성 증진의 효과를 실제 중학교 미술수업에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The socialization deficiency phenomenon of the youth is accelerating due to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making students extremely compete with each other, the weakening of the family function, the family dissolution phenomenon an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such as the widespread use of the mobile phone and Internet. The phenomenon can lead to the lack of sociality formation of adolescents and it is essential to improve sociality through school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s. In the field of education, on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is to raise the right personal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ity of the students. As a special strategy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interaction, cooperative learning is suggested to enhance the students' compliance and cooperativeness. The art lesson integrated with cooperative learning helps students to develop a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ociality along with art, and instills a sense of belonging to students, so art class with cooperative learning is helpful for students in adolescence who desire to be socially recognized, to form the upright charact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education on sociality by apply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art class.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 model in which learners who are composed of heterogeneous groups solve their common problems by mutual dependence with individual responsibility. As a material of the art class, the stereoscopic expression suitable for the students to collaborate in the art class was used. For this purpose, cooperative learning, sociality, and stereoscopic expression were examin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a chapter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wa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LT cooperative learning procedure, which is applicable in the art class and effective in promoting sociality among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e 'Making Tunnel Book for Natural Environment Protec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students from four classes in the 2nd grade of L girls' middle school in Cheongju, Chungcheongbuk-do, Republic of Korea. Research lesson was performed eight times. As a measurement tool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class, sociality questionnaire developed by B.M. Jung (1971) was us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tool was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eacher 's guidebooks present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revised in 2015. For the study, pre- and post-test of socialit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respectively, and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program was utilized for analysis. Analysis of activity paper, student interview and satisfaction test were used as qualitative analysis data, considering this research performing as a singl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 and post-test of the social ability of the single group, it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social ability of the learne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 class us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ity such as compliance, cooperation, sociability and independence with a statistically noticeable improvement of post-test of the four sub-factors compared to the pre-test. Third, in the student interviews on the class, the majority of the learners positively responded to the LT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The learners answered that the LT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helped them not only express their creativity due to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but also produce the work owing to a friendly atmosphere with their members. Fourth, as the class end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ereoscopic expression class applying LT cooperative learning positively influenced the sociality in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of the learner. The majority of the positive responses were answered in the questionnaire, which asks student whether the cooperative learning by the team helped to produce the work, and whether the interest in the cooperative learning lesson was increased compared to that before the class. Therefore, this study has a meaningful result to show that the stereoscopic expression class us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h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ity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and proved the beneficial effect on sociality enhancement in the middle school art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