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자기이해 미술수업이 초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이해 미술수업이 초등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elf-understanding Art Classes on Ego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Authors
유예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There are approximately 10,000 jobs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and university students face a major crossroad of having to choose a definite career path as they enter adulthood after graduation. However, if students become adults without a proper ego identity, they undergo confusion in ego identity and difficulty in career choice as they stand in front of the major crossroad. Therefore, schools must provide the opportunity to students to explore themselves so as to establish ego identity prior to adulthood and it is necessary to offer students help by making active intervention when it comes to ego identity formation so that they obtain positive ego concept and live a better life once they become adults. Ages 6 to 11 is 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eriod in Korea and a crucial stage in ego growth. It is sta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t the ultimate goal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realizing importance of oneself and nurturing dream and the period is mentioned as important in establishing ego identity during adolescence. Art subject is appropriate in guiding learners to become an adult who has a sound ego consciousness after having positive understanding about themselves and forming upright ego identit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positive effects of art classes based on in-depth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by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ego identity formation and examining the effects of art classes containing in-depth self-understanding activities on ego identity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The following is the study method. Previous studies and references regarding concept and necessity of self-understanding, ego identity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ego identity development were examined, the study targets were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and classes for ego identity improvement in art subject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 art textbooks. Afterward, lesson goals and evaluation plans of respective classes were organized by developing 'Making My Story Brochure' classes and detailed learning plan and class materials were made. When it came to ego identity checkup tool, ego identity checkup sheet developed by Park Ah-cheong (2003)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o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 level and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classes. The classes were held six times from March 26 to April 9 in year 2019 by utilizing regular art classes an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ego identity checkup were measured through the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was verifi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class outcomes by students and observation journal by this researcher and conclusion was derived after comprehensively discu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precheckup tests and postcheckup tests regarding students' ego identity after comparing them,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overall average values. This implies that self-understanding art classes had positive influence on ego identity formation by learners. Second, all six subordinate domains of ego identity - subjectivity, self-receptivity, certainty toward future, goal-orientedness, initiative, and intimacy - displayed significant results. In particular, the goal-orientedness domain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and it was followed by the intimacy domain. Thir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practical outcomes, it has been found that class materials and activity sheets provided to assist learning helped students understand class subjects and participate faithfully. Also, it has been identified that self-understanding art classes had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having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self-understanding, positively accommodating themselves, and designing their future in a self-directed manner.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self-assessment sheet by students and this researcher's observation journal, learners had high satisfaction toward self-understanding art classes since they realized how important they are and what potential they have as a human being through the classes. To sum up, 'Making My Story Brochure' classes developed based on self-understanding had positive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ego identity forma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has educational values of being used as self-understanding classes within art subject and establishing ego identity. Such self-understanding art classes should not be temporary but developed and conducted as students advance in grades and students should design their dream and future in a self-directed manner and become positive and sound adults based on self-understanding art classes.;현대 한국 사회에는 1만여 개 이상의 다양한 직업이 존재하며 우리는 대학을 졸업하고 직업을 갖게 되는 성인기에 들어서면서 이 수많은 직업 중 명확한 자신의 진로를 결정해야 하는 큰 갈림길에 서게 된다. 그러나 자아정체감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고 성인이 된다면 우리는 이 큰 갈림길 앞에서 뒤늦게 자아정체감 혼란과 진로선택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므로 학교는 성인기 이전 시기부터 학생들에게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해 자신을 탐색할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교육은 학생이 스스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획득하고 성인기에 더욱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자아정체감 형성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만 6~11세는 자아성장에 있어서 결정적 단계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서 초등교육과정의 목표는 자신의 소중함을 알고 꿈을 키우는 것이며,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 확립의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시기로 명시하고 있다. 자아정체감 향상을 위한 교육에서 미술교과는 학습자가 긍정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올바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여 건강한 자아의식을 함양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적절한 교과목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자아정체성 형성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심도 있는 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미술수업이 자아정체성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으며, 깊이 있는 자기이해 활동을 포함한 미술수업을 개발, 적용함으로써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이해의 개념과 필요성, 자아정체감의 개념 및 아동기의 자아정체성 발달의 특징에 대해 선행 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동일 집단으로 선정하고 2015 개정 초등학교 3, 4학년군 4학년 미술교과서를 분석하여 미술과에서 자아정체감향상을 위한 수업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나의 이야기 책자 만들기’ 수업을 개발하여 차시별 학습목표 및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세부 학습계획안과 수업자료를 제작하였다. 자아정체감 검사 도구는 박아청(2003)이 개발한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초등학생 4학년 수준으로 수정·보완하여 수업 사전·사후 실시하였다. 수업은 2019년 3월 26일부터 4월 9일까지 총 6차시에 걸쳐 미술교과 정규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자아정체감 검사의 사전·사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학생들의 수업 결과물과 연구자의 관찰일지의 질적 분석을 통해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연구를 통해 얻은 내용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생들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값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기이해 미술수업이 학습자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자아정체감 하위영역인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 여섯 가지 전체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목표지향 영역이 가장 높게 향상되었고 다음으로 친밀성 영역이 높은 수치로 변화하였다. 셋째, 실기 결과물의 질적 분석을 통해 학습을 돕기 위해 제시한 수업자료와 활동지 학습이 학생들이 수업주제에 대해 이해하고 성실히 참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자기이해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자기이해의 중요성에대한 인식과 자기수용, 미래를 주체적으로 설계하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자기평가지와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자기이해 미술수업에 대해 대부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는 자기이해미술 수업을 통해서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얼마나 소중한 존재이며, 어떤 가능성을 지닌 사람인지를 깨닫는 시간이 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나의 이야기 책자 만들기’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의 자아정체감 확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는 미술교과 내에서 자기이해수업의 활용 가능성과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신장을 위해서 본 미술수업과 같은 자기이해 미술수업을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학년 급에 따라 계속해서 심화하여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미래를 주체적으로 설계하고 그를 향해 긍정적으로 나아가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