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Storytelling on The Empathy Ability of The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신지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이르러 빅 데이터,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과 같은 첨단 기술이 대체 가능한 영역이 늘어나면서, 오로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기술과 역량인 ‘공감적 소통’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공감적 소통이란 타인의 생각과 감정 및 상황을 이해하고 그에 알맞은 반응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소통을 의미하며, 이는 개인의 공감 능력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공감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 여러 사회 문제의 원인으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이 ‘공감의 부재’이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전례 없는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급격한 변화의 부작용으로 공동체 의식이 저하되고 경쟁 중심의 사회 분위기가 초래되었으며, 물질만능주의, 인간 소외현상과 같은 심각한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 문제를 직면하게 된 상황 속에서 맞이한 정보통신기술 발달과, 이에 따른 디지털 기기 사용의 보편화는 공감의 부재 현상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디지털 매체를 매개로 즉각적인 소통이 가능해진 반면 대인관계를 깊이 있게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게 되었고 개인 이기주의, 인터넷 내에서의 언어폭력과 같은 사회 문제를 심화시킨 것이다. 하지만 인간의 전인적인 발달과 성장은 외부세계와의 건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 다는 점에서(박성희, 1996), 긍정적 소통과 대인관계의 근간이 되는 공감 능력은 인간이 필수적으로 함양해야할 덕목임이 틀림없다. 이와 같이 공감 능력은 대체 불가한 인류의 기술이자 역량임과 동시에, 대인관계의 결핍으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핵심 요인임이 분명하다. 이에 따라 공감 능력 신장에 관한 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공감 교육은 인격과 가치관이 형성되는 청소년 시기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교육부(2015)가 제시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핵심역량에서도 공감 능력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공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감 능력은 비언어적 경험을 통해 시각적으로 사고하는 인지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미술 교육은 이러한 시각적 사고 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수단이다(이모영, 2013). 2015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미술 활동을 통해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시각 이미지를 매개로 소통하여 타인의 감정과 사고를 이해하고 공감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교육부, 2015, p. 3)라고 설명하여 미술 교육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성에 주목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 수업 과정 전반에서 공감 능력을 함양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감상의 본질이 감정이입과 관련성이 깊다는 점에 착안하여 참여 중심의 미술 감상수업을 설계하고 실시하였다.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교사, 학습자-학습자, 학습자-작품 간 상호 소통을 이룰 수 있는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공감적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감상수업은 대화를 통해 작가와 작품에 이입하고 상호작용 하게 하며, 학습자 스스로 작품의 의미를 재해석하게 한다. 또한, 감상 활동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 절차로, 먼저 스토리텔링과 미술 감상, 공감능력에 대한 문헌과 선행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그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을 분석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의 M여자중학교 1학년 3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8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공감능력의 측정을 위한 검사지로 데이비스(Davis, 1980)가 개발한 성인용 대인관계 반응척도를 김성은(1997)이 중학생용으로 번안·수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사 후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그리고 수업 과정 중 작성한 활동지, 표현활동 결과물을 감상활동 및 실기평가도구로 질적 평가하였으며 연구자의 관찰일지, 수업 후 실시한 수업 만족도 조사, 학생 소감 인터뷰를 질적 분석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정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과 그 하위요인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전·사후 공감능력 검사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사전검사(M=3.48)에서 사후검사(M=4.12)로 공감능력이 0.64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수업 중 학생들이 작성한 감상 활동지와 표현활동 결과물을 질적 분석을 한 결과, 미술 감상수업에서 스토리텔링 활용의 교육적 효과를 알 수 있었다. 감상 활동을 바탕으로 작성한 활동지에서 학생들은 작품의 내용과 의미, 형식을 작가의 삶과 배경에 관련지어 종합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 미술작품의 가치와 의미를 능동적으로 해석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업 만족도 조사, 학생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의 질적 분석을 통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감상수업이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감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토리텔링에 따른 감상 단계에서의 모둠 활동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학생들 간의 소통을 활성화시켜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감능력과 그 하위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감상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미술 감상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특히, 학습자의 공감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공감 교육의 일환으로 미술 교과에서의 스토리텔링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는 바이며, 미술 교과에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개발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As high-tech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increase in alternative areas, attention is focused on ‘empathetic communication,’ the skills and capabilities that only humans have. Synthetic communication refers to communi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other people's thoughts, feelings, and situations and their corresponding responses, which are based on an individual's ability to empathize. However, unlike the importance of empathy in modern society, it is the ‘lack of empathy’ that is drawing attention as the cause of many social problems in our country. Our country has achieved unprecedented economic growth since the 1960s, but the side effects of rapid change have led to a decline i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a competition-oriented social atmosphere, and serious problems such as materialism and human alienation have emerged. In the face of such social problems, the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ubsequent universalization of digital device use further accelerated the lack of empathy. While instant communication has become possible through digital media, there has been less opportunity to develop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depth, deepening social problems such as individual selfishness and verbal abuse on the Internet. However, in that human development and growth are driven by healthy interactions with the outside world(Park Sung-hee, 1996), the ability to empathize as the basis of positive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ust be nurtured by human beings. As such, empathy is clearly a key factor in solving problems arising from lack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the same time as being an irreplaceable technology and capacity for humanity. Accordingly, the need for an educational approach to the enhancement of empathy skills emerged, and it was reported that empathy education could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the youth period when personality and values were formed. The human nature and core competenc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esented by the Education Ministry (2015) can also confirm the importance of empathic skills, and the development of empathic education programs for youths is being carried out. Empathy Abi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cognitive ability to think visually through nonverbal experience, and art education is a very useful and effective means of enhancing this visual thinking ability (Lee Mo-young, 2013). In the 2015 course of art and education, she also explained, “Under expressing feelings and thoughts through art activities, one can understand one's feelings and thoughts, communicate visual images through medium, and naturally cultivate personality by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other people's feelings and thoughts.” (Ministry of Education, 2015, p. 3), noting the positive influence of art education on empathy 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plored ways to foster empathy throughout the course of art classes, and designed and conducted participation-oriented art appreciation classes based on the fact that the essence of appreciation is deeply related to empathy. Various opportunities for empathetic experience were provided by utilizing storytelling techniques that could achiev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teachers, learners-learners, and learners-works at school sites. Appreciation classes, using storytelling, allow learners to read and interact with writers through dialogue, and reinterpret the meaning of the work themselve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activities, one can develop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oth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art appreciation classes using storytelling on the empathic ability of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As a research procedure for this, we first examined the literature and prior study of storytelling, art appreciation, and empathic ability in theory and looked at its relationship. Next, we designed the Art Appreciation Professor-Learning Program using storytelling by analyzing the area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30 first graders of M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nd the eight classes were conducted in total. A measure of adult interpersonal response developed by Davis(Davis, 1980) was used by Kim Sung-eun(1997) for middle school use, and after pre-test and post-test,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Ver 21.0 was used to measure synesthesia. In addition, the results of activities prepared during the course of the class were evaluated qualitatively with appreciation activities and practical assessment tools,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s, satisfaction surveys conducted after the class,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impression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mmed up,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uggests that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storytel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empathy and its sub-factor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test and post-test, the synesthesia increased by 0.64 point from the pre-examination (M=3.48) to the post-examination (M=4.12). Second, after qualitative analysis of appreciation activity sites and presentation activity results prepared by students during class, the educational effect of storytelling utilization in art appreciation class was known. In the activity area that was prepared based on appreciation activities, the students explained the content, meaning and format of the work in general in relation to the writer's life and background, and confirmed that they actively interpreted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artwork with their stories. Third, through the survey of class satisfaction, student interview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 we could see that the appreciation class using storytelling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learner's interest and interest, and positively changed the student's perception of appreciation. In addition, the group activities in the appreciation phase following storytelling induced voluntary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promoted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thus positively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empath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ult showed that art appreciation classes using storytel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athy of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and their subcomponents. It also helped to make art appreciation positive by presenting new ways of appreciation and generating interest. As such, this study proved the educational effect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art appreciation program using storytelling, and in particular, it is of great educational value in that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learner's empathy.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storytelling in art subjects as part of empathic education, and suggests the need for storytelling professor-learning programs to be continuously studied and developed in art subj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