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5 Download: 0

자막의 종류가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듣기와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막의 종류가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듣기와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subtitles on Englih listening and vocabulary learning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장현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멀티미디어 학습은 실제적인 자료를 활용하고,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 받아왔으며, 특히 자막을 활용한 학습에 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 되어 왔다. 그러나 듣기 및 어휘 학습에 대한 자막의 활용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된 결과가 혼재하고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한국어와 영어 자막을 동시에 제시하는 통합 자막을 활용한 국내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막의 종류가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듣기와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목포시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습자 8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집단은 통합 자막, 한국어 자막, 영어 자막으로 나누었으며, 각 집단은 각기 다른 3가지 자막과 동일한 듣기 텍스트를 제공 받았다. 사전 및 사후 듣기 평가, 사전 및 사후 어휘 평가, 듣기 및 어휘 형성 평가, 그리고 사전 및 사후 학습 태도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막의 종류가 영어 학습자의 듣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듣기 학습에서 통합 자막이 영어 자막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듣기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통합 자막이 영어 자막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는 외국어 학습자들이 영상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모국어 자막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Wang, 2014). 즉, 통합 자막이 영어 자막보다 유의한 효과성이 나타난 것은 영어 능숙도가 낮은 외국어 학습자들이 전반적으로 듣기 내용을 이해하는데 한국어 텍스트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자막의 종류가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생산적 어휘 지식 영역에서 통합 자막이 한국어 자막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휘 학습 특히 어휘의 철자 학습에 있어서 통합 자막이 한국어 자막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는 외국어 자막이 학습자가 어휘 철자에 집중하는 데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올바른 어휘 철자를 학습자들에게 제공하고 말소리 지각에서 단어들 사이가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인 분절 문제를 효과적으로 조정해주었기 때문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Danan, 2004). 즉, 통합 자막이 한국어 자막보다 유의한 효과성이 나타난 것은 영어 자막이 학습자들에게 어휘 철자를 제공함으로써 말소리 지각에서 단어들 사이를 구분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철자에 집중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자막의 종류가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듣기 학습과 관련하여, 듣기 학습 태도와 자막을 활용하여 듣기 학습을 하는 것에 대한 태도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 학습과 관련하여서는, 자막을 활용한 어휘 학습 태도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어휘 학습 태도의 영역 중 어휘 의미 학습 항목에서만 한국어 자막 집단과 영어 자막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어휘 의미 학습에 있어서는 한국어 자막 집단이 영어 자막 집단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는 본 연구의 실험 대상자들은 영어 능숙도가 낮은 외국어 학습자로서, 영어 어휘에 해당하는 한국어 뜻을 파악하는데 한국어 자막이 상당히 용이하다고 느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자막의 유용성에 대한 태도에 관하여서는, 세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자막을 활용한 듣기와 어휘 학습에 대한 사후 개방형 설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막을 활용한 듣기 학습에 대해, 통합 자막 집단 학습자들의 자막 속도가 빠르다는 응답과 한국어 자막 집단의 긴장감을 낮추어 준다는 응답이 주목된다. 이는 자막을 활용한 듣기 학습에 관해 통합 자막 집단은 두 언어의 자막을 읽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꼈으며, 한국어 자막 집단은 자막 자체의 정서적 유용성도 인식하였음을 시사한다. 자막을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해, 한국어 자막 집단의 어휘 뜻을 이해하는데 자막이 용이하다는 응답과 영어 자막 집단 학습자들의 모르는 어휘 뜻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응답이 주목된다. 이는 어휘 의미 학습에 있어서는 한국어 자막 집단이 영어 자막 집단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다는 점을 시사한다. 중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될 수 있는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와 어휘 학습에 있어서 통합 자막을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듣기 학습에 있어서는세부적 듣기가 아니라 전반적 듣기에 교수학습목표가 있고, 어휘 학습에 있어서는 수용적 지식 학습이 아니라 생산적 지식 학습에 교수학습목표가 있다면 통합 자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듣기와 어휘 학습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자막과 함께 통합 자막을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반적 듣기와 생산적 어휘 지식 학습에서 통합 자막의 효과성이 검증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 자막 집단은 모든 항목들에서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고, 오히려 태도 점수가 하락하는 영역들도 있었던 가장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준 집단이다. 따라서 이러한 통합 자막에 대한 학습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고려하여, 다른 종류의 자막 또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먼저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자막이 있는 영상을 시청하게 하여 전반적인 듣기 내용의 이해를 도운 후, 영어 자막이 있는 영상을 시청하게 함으로써 의미와 철자 간의 연결을 도울 수 있는 목표어의 입력을 제공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자막이 있는 영상을 먼저 시청하게 하여 전반적인 듣기 내용의 이해를 도운 후, 통합 자막이 있는 영상을 시청하게 하는 방향도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통합 자막의 모국어 텍스트를 통해서는 영상의 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고, 외국어 텍스트를 통해서는 단어의 의미와 철자간의 연결을 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막 활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 즉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자막 종류의 선택과 다른 종류의 자막 제시 순서에 대한 추가 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특히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통합 자막의 효과와 제시 순서,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보다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Multimedia learning has been noted in that it makes use of authentic material and facilitates learner-centered learning, and in particular, studies on learning using subtitles have been conducted steadily.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subtitles for listening and vocabulary learning is mixed with conflicting results, which requires further study.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domestic research using dual subtitles that present both Korean and English subtitl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different types of subtitles on the listening and vocabulary learning of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To that e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86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 in Mokpo.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dual subtitling group, Korean subtitling group and English subtitling group, and each group was provided with the same listening text and three different subtitles. Data were collected from pre- and post-listening evaluations, pre- and post-vocabulary evaluations, listening and vocabulary formative assessments, and from the pre- and post-learning attitude questionnaires,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effect of the different types of subtitles on the English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dual subtitles in overall listening comprehension differs at a more significant level than the English subtit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ual subtitles are most effective in understanding what is heard. This can be expected to be because the subtitles in their native languag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overall listening content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This can also be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ual subtitles and Korean subtitles. Second, after examining the effect of the different types of subtitles on the vocabulary learning of English learners,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dual subtitles in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area differs at a more significant level than the Korean subtit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ual subtitles are most effective in vocabulary learning, especially vocabulary spelling learning . It can be expected that this was because English subtitl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learners distinguish words from speech perception by providing vocabulary spelling. This can also be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ual subtitles and the English subtitles. Third, the results of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different types of subtitles on the just attitude of English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are as follows. A comparison of learners' attitude toward learning in listening comprehension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it did not confirm an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a comparison of the vocabulary learning attitude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English subtitling groups in the learning vocabulary meaning area. This suggests that when it comes to learning vocabulary meaning, the Korean subtitling group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change than the English subtitling group. In addition, comparisons of attitudes about the usefulness of subtitles among the three groups indica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post-open questionnaire on listening and vocabulary learning using subtitles are as follows. On learning in L2 listening comprehension using subtitles, the dual subtitling group answered that the subtitles are fast while learners of Korean subtitles responded that subtitles reduced the tension. This suggests that when it comes to learning listening using subtitles, the dual subtitling group felt burdened by reading two types of subtitles at the same time, and that the Korean subtitling group recognized its advantages for subtitling itself. Regarding vocabulary learning using subtitles, the Korean subtitling group said that subtitles are not helpful in learning spelling of vocabulary, and learners of English subtitling groups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vocabulary they do not know. This suggests that a second language subtitle facilit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aning and form of a wor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ducted on middle school learners are as follows: I think we need to apply a method of using dual subtitles in listening and vocabulary learning. It is also thought that there should be a way to apply not only dual subtitles, but also different kinds of subtitles in listening and vocabulary learning. In addition, although we have not looked at this study, it is likely that more in-depth studies will need to be done on subtitle types, subtitle presentation sequences, and teaching methods depending on the learner's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