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고경력 비서직 종사자의 경력개발과 경력지속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고경력 비서직 종사자의 경력개발과 경력지속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Persistence Factors of Highly Experienced Executive Assistants
Authors
정유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지연
Abstract
본 연구는 15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비서 직무를 시작하여 고경력을 지니기까지의 경력개발과정과 오랜 기간 비서직 경력을 지속할 수 있었던 요인을 탐구함으로써 전문직으로서 비서직 경력을 지속하는데 기여하고, 인적자원개발의 측면에서 조직과 기업에게 비서직 종사자들의 경력개발을 위한 실용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서직 종사자들은 입직하여 고경력을 지니기까지 어떠한 경력개발의 과정을 경험하였는가? 둘째, 고경력 비서직 종사자의 경력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고경력 비서들은 경력지속을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가?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질적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research)를 사용하였으며, 1:1의 밀도 있는 인터뷰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내면의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종합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눈덩이표집방법(snowball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10명이 모집되었고 평균 연령은 44.5세, 평균 비서경력은 19.4년으로 분석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부터 5월까지 연구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1시간 30분 내외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모든 진술은 녹음되었다. 녹음된 진술은 연구자에 의해 전사된 후 연구참여자로부터 내용의 진위여부를 확인 받은 후 체계적인 정리를 위하여 Creswell(2005)의 자료 분석 및 해석의 절차를 반영하여 분석 및 해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해 총 5개의 범주와 17개의 주제묶음이 도출되었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로서의 경력은 우연 또는 비서학을 전공하여 시작되었으며, 체계적인 교육이나 훈련의 경험 없이 업무에 적응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경력개발의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몇 차례 경력전환에 대한 갈등을 겪었으나 끊임없는 학습을 통해 업무영역을 확장시키고 상사로부터 신뢰를 얻음으로써 업무의 자율성이 확대됨에 따라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성장해왔음 알 수 있었다. 더불어 투철한 직업의식과 자아성찰을 통한 성숙과 수용의 과정을 겪으며 경력을 유지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경력지속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끊임없는 학습을 통한 성장, 상사와의 신뢰와 유대관계, 공식적인 인정과 보상, 적응과 현실 직시, 사회적 지지가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15년 이상 경력을 유지해오기까지 다양한 어려움을 직면하였으나 그때마다 배움의 즐거움, 상사와의 신뢰와 유대감 형성으로 높아진 업무의 자율성과 역할에 대한 기대, 공식적인 인정과 보상으로 인한 만족감, 사회적 지지를 통해 위기상황을 극복하였고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성장시켜 나갔기에 고경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고경력자로서 비서직에 대한 인식과 경력유지를 위한 구체적인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이 하는 일이 곧 나를 말해주는 것이라는 생각으로 스스로의 길을 개척하고 평생학습의 차원에서의 끊임없이 성장을 위한 배움의 끈을 놓지 않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비서협회 등 업무관련 유관기관에서 오랜 경험을 통해 얻어진 노하우뿐만 아니라 멘토로서 후배들이 자신들이 겪었던 시행착오를 겪지 않고 전문비서로 성장하는데 기여하고자 활동 중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그 동안 연구가 미비하였던 고경력 비서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평균 비서경력이 19.4년인 비서직 종사자 10명의 생생한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경력개발과정과 비서직을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보다 적극적으로 경력을 지속할 수 있었던 요인을 탐구함으로써 실용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의도하지는 않았으나 기업비서만을 연구대상으로 함으로써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의 고경력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경력개발 과정과 경력지속의 요인을 탐구할 필요가 있으며, 타 직무와 함께 비교연구를 진행함으로서 여성인력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기여하는 바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비서학을 전공하고 전문비서로서 경력을 유지하고 있는 비서직 종사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을 반영하여 고경력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훈련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비서직종사자와 조직에도 실용적인 방안을 수립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path from the beginning of the secretarial work to the highly experienced administrative career and the factors have assisted their administrative career with more than 15 year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 support and career development plan a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erspective for the organiza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 accomplish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career development path have executive assistants experienc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ecretarial work to the highly experienced administrative career? Second, what factors influenced the career persistence of highly experienced executive assistants? Third, what have the highly experienced executive assistants been making efforts to persist their career?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phenomenological method,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conducted, and one-on-one interviews were implemented. The interview results were synthesized and analyzed to explor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internal phenomena experienced by executive assistants. A snowball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10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field of secretarial for over 15 years. The average age of the executive assistants was 44.5 years, and the average secretarial career was 19.4 years.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May in 2019, and one interview usually took for an hour and a half. All statements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The recorded statements were transcribed by the researcher, and after confirming the authenticity of the contents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carried out by reflecting th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dure of Creswell(2005) for systematic theorem.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cretarial career began because of educational backgrounds--college major--or because of accidental opportunities. Since they couldn't get chances to learn secretarial skills or systematic training for developing their career from the company, they experienced a lot of trial and error and solved the problems by themselves. Second, during the course of their care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sometimes experienced conflicts in persisting their career. However,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ir work through continuous learning and expanding the autonomy of their work by gaining the trust from their superiors they have been able to persist their career. In addition, through maturity and acceptance process they could have been developed the occupational identity as a secretary. Third, as a factor influencing the career persistence, continuous growth through learning, trust and ties with supervisors, official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adjustment and reality awareness, and social support were induced. The participants were confronted with various difficulties since they began their careers as a secretary, but they overcame the crisis through pleasure in learning, satisfaction with official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and social support. Hence, they were able to persist their career, and also they are constantly growing themselves to adjust with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Fourth, research participants pioneered their own career by thinking what they are doing is telling themselves. Also, they contribute not only delivering the know-how gained through long experience but also playing as a mentor by sharing their trial and error experi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to understand secretaryship--rarely studied in the past. They present practical data by exploring factors that could persist their career more actively. The study has a limit to generalize as a qualitative research na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path and career persistence for highly experienced executive assistants in various fields. Future study is expected to develop women manpower by conducting comparative research with other job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