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6 Download: 0

그릿(Grit)이 비서의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Title
그릿(Grit)이 비서의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Grit on Secretaries’ Career Success :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Support
Authors
정은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애경
Abstract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미래 산업구조와 일자리 지형에 급격한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미래 핵심역량에 대한 논의 활발한 가운데 최근 미국의 교육부에서 21세기 성공을 위한 핵심 역량으로 그릿(Grit)을 명시함에 따라 그릿에 대한 학계와 산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릿은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개인 특성이 장기적인 목표를 향한 열정과 끈기에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개념화한 것으로 최근 10년 간 다수의 해외 연구에서 성과나 성공을 예측하는 선행변수임이 규명된 바 있다. 그러나 그릿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로 주로 학생들의 학업적 성공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룬 반면, 성인의 성공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며 특히,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릿과 경력성공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아직 없다. 비서직의 경우, 최근 인공지능 비서의 등장으로 불확실한 미래전망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서직 종사자가 경력성공을 이루기 위해서는 경력에 관한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유지하는 그릿의 자세가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 예상된다. 한편, 사회인지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에 따르면, 경력성공은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경력성공 요인을 규명함에 있어서 개인특성 외에 환경특성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환경특성으로는 상사지원이 있는데, 비서직의 경우 상사와의 상호교류 빈도가 높은 직무 특성상 그 영향력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상사지원은 변수 자체가 갖는 지원적 성격으로 인해 주로 조절변수로 활용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도 그릿과 경력성공 사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볼 때, 그릿과 상사지원은 비서직 종사자의 경력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지금까지 이들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없다. 더욱이, 경력성공을 객관적 차원과 주관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비서의 객관적,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요인으로 그릿을 선정하고 이들 사이에 영향을 주는 환경특성 요인으로는 상사지원을 선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릿이 비서의 객관적, 주관적 경력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이 비서의 객관적, 주관적 경력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그릿과 비서의 객관적,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자료수집은 2019년 02월 27일부터 03월 11일까지 현직비서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총 17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ANOVA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경력성공에는 그릿의 하위요인 열정이, 주관적 경력성공에는 그릿의 하위요인 끈기가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서직 종사자가 높은 임금을 받는 객관적 경럭성공을 이루기 위해서는 직무에 관한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관심을 지속하는 열정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경력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를 높여 주관적 경력성공을 이루기 위해서는 경력 목표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끈기가 보다 중요하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둘째, 상사지원은 그릿의 하위요인 열정과 객관적 경력성공 사이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서직 종사자가 객관적 경력성공을 이루기 위해서 목표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는 개인차원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상사지원이 그 과정에서 촉매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학문적 의의는 첫째, 본 연구는 그릿의 개념을 비서학 분야에 도입하여 비서학의 연구영역 확장에 기여하였다. 둘째, 경력성공을 측정함에 있어서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경력성공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셋째, 경력성공 요인을 탐색함에 있어서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에 근거하여 개인특성 요인과 환경특성 요인을 모두 고려하였다. 넷째,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릿, 경력성공, 상사지원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메커니즘을 밝혀 비서학의 이론 정립에 기여하였다. 다섯째, 그릿과 상사지원 외에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모두 통제하여 경럭성공의 선행요인의 영향력을 보다 면밀히 검토하였다. 실무적 의의는 첫째, 그릿은 개인의 경력성공 뿐만 아니라 업무 성과나 근속년수 등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가진 변수라는 점에서 비서의 인력 선발시 유용한 준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그릿은 교육을 통해서 개발이 가능한 역량이라는 점에서 비서의 경력개발 및 경력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성과관리 프로그램을 설계시에도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무엇보다 본 연구는 비서의 경력성공을 위한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의 원인 규명을 통해 비서의 경력성공 방안 마련의 단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임금정보를 수집했기 때문에 임금정보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임금 DB와 같은 보다 신뢰성 있는 임금정보를 활용하여 변수 측정에 객관성을 높일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는 객관적 경력성공은 임금, 주관적 경력성공은 경력만족으로 단일적 차원의 측정 준거를 사용하여 경력성공을 측정하였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고용가능성이나 삶의 만족과 같은 다양한 측정 준거를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셋째, 본 연구는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관적 경력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지는 못했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이들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본 연구는 그릿과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해서만 다루었지만, 추후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이나 회복탄력성과 같은 매개,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이질 필요가 있겠다.;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ramatic changes in the future employment circumstances have been heralded. In the midst of an active discussion of the future core competencies needed to preemptively respond to such changes, the US Department of Education has recently identified Grit as the core competency for the success in the 21st century, which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academia and industry. Grit conceptualizes that the comm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people in various fields lie in passion and perseverance towards long-term goals. In recent decades, many overseas studies have identified that Grit is a leading variable to predict performance and success. However, domestic research on Grit is still in its infant stage, mainly on students' academic success, while research on the success of adults is underdeveloped. In particular, there is no research on secretaries with an aim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career success. In the case of secretary, due to the recent appearance of AI secretary, discussions on uncertain future prospects of the job are underway. It is expected that Grit's attitude to establish clear career goals and maintain attention and effort will be an even more critical factor for a secretary to achieve career succes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SCCT), career success is achiev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environment,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identifying career success factors. One of th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career success is the supervisor support. In the case of secretarial staff, it is expected to be more influential due to their high interaction frequency with their supervisors. However, because of the supportive nature of the variable per se, supervisor support is mainly used as a moderating variable thus this study as well carry out the research using it as a moderating variable that indirectly affects between Grit and career success. Presumabl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Grit and supervisor support are deem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areer success of secretary workers, but no research has been substantially investigated this relationship. Moreover, there is no study that examines career success by dividing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dimensions at al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Grit affects the secretary's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o substantially identify the control effects of the supervisor support. To achieve these study goal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Grit effect on secretary’s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does supervisor suppor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objective and subjective success? This research has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the domestic incumbent secretaries in Korea randomly in various fields. Totally, 174 data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with SPSS 25.0. The results an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 objective career success is affected by passion, a subfactor of Grit, while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is affected by perseverance, also a subfactor of Grit. This result suggests that secretary must set clear goals and have a passion to maintain the interest so a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success such as high salary. Furthermore, it also implies that perseverance in striving for career goals matters more importantly in achieving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by increasing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career. Second, the supervisor support has a modulating effect on only between the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passion, a subfactor of Gri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ffort at an individual level must be preceded in order for a secretary to achieve the objective career success but the supervise support acts as a catalyst in the process.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academic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contributed to expand the research area of the secretarial studie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Grit into the field of secretarial studies. Second, in the measurement of career success, we have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career success by taking into account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aspects. Third, in the search for career success factors, bo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actors are considered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Fourth, targeting employees in the secretarial position, it ha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y of the secretarial studies by revealing in-depth mechanism as for the relationship of Grit, career success, and supervisor support. 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it is of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at different career management methods are needed depending upon the type of the career success that he/she pursues, and it offers practical action strategies for them. Second, Grit can be a useful reference for recruiting secretaries since it is a variable with predictability of personal career success as well as work performance and continuous years of service. Third, given that Grit is an ability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base data when designing performance monitoring programs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management of secretaries. Fourth, this study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clues to prepare a career success plan for secretaries through identifying the causes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for the career success of secretar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not able to secure the objectivity about wage information because the wage information was obtained by using questionnaire. In future studie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increase the objectivity by utilizing more reliable sources for wage information such as salary DB. Second, in this study, career success was measured using a single dimensional measurement criterion: salary for the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 career satisfaction for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various measurement criteria such as employment prospect and life satisfaction. Third, although this research has no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career success and subjective career, it is necessary to substantial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futur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