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리듬 큐 유무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양손 건반연주 수행력 비교

Title
리듬 큐 유무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양손 건반연주 수행력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between simultaneous and alternative keyboard performance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ith and without rhythm cueing.
Authors
박은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리듬 큐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동시·교대 양손 건반연주의 수행력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16명으로 서울시 소재 보건분소와 경로당을 이용하는 만 70세 이상 90세 이하의 경도인지장애 노인이다. 각 대상자는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였으며, 기본정보 파악을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한 후 인지검사, 수지기능검사, 양손 건반연주를 수행하였다. 연구에서 진행된 검사와 건반연주는 개별적으로 독립된 공간에서 진행되었으며, 리듬 큐 유무에 따른 실험과제는 양손의 동시 건반연주와 교대 건반 연주이다. 연구에서 건반연주의 수행력은 움직임의 간격, 움직임 간격의 변동성, 동기화 오류, 동기화 오류의 변동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16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리듬 큐를 제공하지 않았을 때 과제 간 움직임의 간격은 교대 건반연주에서 가장 좁게 확인되었으며, 이는 건반연주 시 템포가 가장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움직임 간격의 변동성에서는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과제 사이에 비슷한 수준으로 움직임을 조절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기화의 오류는 교대 건반연주에서 제공한 리듬 큐보다 빠르게 연주하였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동기화 오류의 변동성은 연주 템포가 빠른 교대 건반연주에서 크게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건반 수행력과 인지기능 간에 상관분석결과 우세손의 건반연주의 움직임의 간격이 넓거나, 움직임 간격의 변동성이 적으면 DST-B의 수행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반수행력과 수지기능 간에는 건반연주 시 움직임 간격이 넓으면 수지기능 검사 수행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추후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건반 중재 구성 시 기초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simultaneous and alternating keyboard performance by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elderly according to the rhythm cueing. The study included 16 people, who are aged 70 years and over 90 years old, who use the Seoul-based health center and senior citizens‘ center. Each person was briefed on the research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o identify the basic information, they prepared a questionnaire and performed cognitive tests, a hand function test, and both hand keyboard performance. Tests and keyboard performances conducted in the study were conducted separately in a separate space, and the experimental task with or without rhythm cueing was simultaneous keyboard performance of both hands and alternating keyboard performance. In the study, the performance of keyboard play was analyzed with the variation of inter tap interval, inter tap interval, synchronization error, and variability of synchronization error. Analysis of the data of the 16 participants in the study found that, when the rhythm cueing was not provided, the inter tap interval between tasks was found to be the narrowest in the shifts, which means the tempo is the fastest in the keyboard performance. In the variability of the inter tap interval, it can be seen that no differences have been identified and that movements have been adjusted to a similar level between tasks. It has been found that the synchronization error was performed faster than the rhythm cueing provided for the alternative keyboard performance, and the variability of the synchronization error was significantly found in the fast rotation of the performance tempo,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foundation and the cognitive function showed that DST-B performance time was reduced if there was a wide inter tap interval of the dominant index finger or if the inter tap interval was less variable. It has been shown that the time required for performing the hand function test is increased if the inter tap interval is wide during the keyboard performance and the hand function. Such findings are believed to serve as basic data in the formation of keyboard arbitration for senior citizens with longitud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