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마르틴 루터의 소명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길」에 대한 연구

Title
마르틴 루터의 소명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길」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Road」 based on Martin Luther’s Theory of Calling
Authors
최솔빛나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오늘날 현대사회는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등 첨단 기술이 널리 활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이 육체적, 정신적 노동을 대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자리의 수가 감소하게 되어 실업자의 수는 증가하게 되었고 이러한 사회적 문제는 현대인들에게 우울증, 불안장애, 불면증 등을 가져다주고 있다. 사람들은 생계유지, 자기 계발, 물질적 풍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직업을 선택하고 그곳에서 일한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직업은 자신의 이익만을 위한 일이 아니라 이웃을 위한 일이어야 하며, 이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하나님의 목적과 계획한 일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이에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는 모든 직업을 곧 하나님의 소명(calling, 부르심)으로 보며 인간의 삶과 직업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였다. 모든 일을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는 일로 본 루터는 그리스도인은 각자가 맡은 자리에서 감사하며 충실할 것을 주장하였고, 개인의 이익 추구에서 그치지 않고 하나님에게 영광 돌리는 일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즉, 소명의식을 가지고 자기 삶의 목적을 찾고 소명 안에서 충실 할 때 누구보다도 거룩한 삶을 살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한 직업적 성공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마르틴 루터의 소명론을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 「길」(2017)을 안무하여 세상 속에서 가지게 되는 직업을 하나님이 주신 소명으로 보고 살아갈 때에 자유의지로 자신과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의미와 행복을 얻을 수 있게 된다는 내용을 전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작품의 내용을 총 3장으로 구성하였고, 각 장면에 따라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과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 오브제와 의상의 의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장은 ‘부름에 대한 외면’의 내용으로 하나님의 부름을 외면한 채 세상을 살아가는 미성숙한 그리스도인인 주체가 사회에서 성공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끝없이 자신의 욕망을 채우려 하는 이기적인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무용수의 공간을 탑 조명과 오브제로 제한하여 자신의 욕망에 집착하는 모습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그 안에 앉아 있는 무용수는 낮은 신체 레벨로 허공에 팔과 다리를 밀어서 뻗었다 수축하는 움직임을 하고, 두 팔로 머리를 감싸는 동작을 하며 자신의 욕구와 이익을 채우기 위해 갈망하지만 그러지 못함으로 인해 느끼는 주체의 좌절감, 자괴감을 표현하였다. 2장은 ‘부름에 대한 갈등’에 관한 내용으로 하나님을 외면한 채 자신의 능력과 노력으로 세속적 욕망을 이루어보고자 하는 주체가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겪는 내면의 갈등을 나타내었다. 도입부에서는 무용수가 자신의 욕망을 더 채우기 위해 길 조명을 따라 오브제를 무겁게 끌며 현실의 세계로 더 깊이 들어가 보려 하지만, 주체는 더 이상 버틸 수 없는 한계 상황에 이르러 오브제를 내팽개치고 상수 앞으로 달려 나와 쓰러진다. 이후 무용수는 길 조명 안에서만 앞뒤, 좌우로 움직이며 혼란스러운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데 머리를 감싸고 돌리는 움직임과 강하게 뻗는 팔과 다리의 동작으로 갈등이 고조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욕망을 상징하는 카디건을 벗으려는 동작들로 주체가 하나님에게 순종하고자 하는 의지가 내면에 잠재되어 있음을 드러내었다. 후반부에는 파란색 조명과 함께 고보 효과를 주어 주체의 괴로움을 극대화시켰고, 끝까지 카디건을 손에서 놓지 못하는 무용수의 모습으로 아직 주체에게 세상을 향한 미련이 남아 있음을 드러내었다. 3장은 ‘부름에 대한 응답’의 내용으로 그동안 세상의 기준을 따라 살았던 자신의 모습을 회개하고 하나님이 인도해주시는 길을 따라 순종해 나아가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조명은 따뜻한 분위기의 노란색 조명을 사용하여 하나님의 용서와 사랑의 부름에 효과를 더해 주었다. 오브제가 놓여 있는 공간에서 무용수는 자신의 욕망을 상징하던 카디건을 떨어트리고 하나님의 부름이 있는 곳을 향해 달려 나가는 움직임으로 주체의 심적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나타내었고, 최대로 높게 상승된 신체 레벨과 위를 향해 뻗은 팔 동작으로 끝까지 자신을 놓지 않으시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감사와 기쁨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에는 다시 상수 앞에서 비춰지는 길 조명을 따라 걸어가지만 믿음의 결단으로 변화된 주체의 움직임은 1장과는 다른 것으로서 이제는 세상의 길이 아닌 하나님이 인도해주신 길로 걸어가겠다는 결단의 의지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길」을 통해 일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직업의 선택이나 모든 일에 있어 세상의 가치관에 기준을 두지 않고 소명 의식을 가지고 일을 한다면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과 그리스도인에게는 하나님에게 영광 돌리는 것이 됨을 알리고자 하였다.;Today in the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unemployed by unemployment crisis is on the rise as the number of jobs decreased due to the cor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ocial issue has brought depression, anxiety disorder, and insomnia to modern people. People select jobs and work there to pay a living, for self-development, and to meet material affluence. However, a job needs to be for neighbors, rather than for their own interest, for Christians, and need to figure out what God’s purpose and plan he hope to accomplish are. Martin Luther regarded every job as God’s calling and attached a greater value on life and career of people. Luther who saw every job as a way of serving God and neighbors insisted for people to be thankful and to be faithful in their own position, and stated that Christians should not only seek profit but attribute glory to God. Meaning, he stated that people can live a holy life than anyone else when they find the purpose of life with a sense of vocation and when they are faithful in the calling, and emphasized that career success through this is desirable. This study intended to introduce content that people can achieve meaning and happiness that can change themselves and society when they consider their career as a calling given by God by choreographing a dance creative work 「Road」(2017) based on Martin Luther’s theory of calling. The researcher composed work contents into 3 chapters, and analyzed by classifying each scene into topic, content, moving path of space usage and movement, and the meaning of objet and costume. Chapter 1 on ‘disregarding the calling’ depicted a selfish image of immature Christians in the world constantly filling their desire by disregarding God’s calling despite their success in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ed to highlight an image of people getting obsessed with their desire by limiting the space of dancers with top lighting and objet. The dancer sitting inside it makes a movement of pushing and stretching out arms and legs in the air in low physical level, and expressed a sense of frustration and shame that people feel by longing to satisfy their desire and benefit but fail to do so through a repetitive movement of wrapping their head with both arms. Chapter 2 on ‘conflict of calling’ expressed inner conflicts that people, who turned away from God and try to satisfy worldly desire through their own ability and effort’ go through in a relationship with God. In the introduction scene, a dancer pulls an objet along the street lighting to satisfy his desire and tries to go deeper into the world of reality, but he throws an objet on the floor, runs toward the front, and falls down. Then, the dancer moves back and forth under the street lighting and expresses a confused stated of mind, and expressed that tension is building up by wrapping and turning his head and stretching out his arms and legs. Also, the subject expressed that his will to obey God is inside him through a movement of taking the cardigan off that symbolizes desire. In the second half, this study maximized the agony by giving gobo effect with blue lighting around the stage, and expressed that there is a lingering affection towards the world with a dancer who does not let the cardigan out of his hands to the end. Chapter 3 on ‘response to calling’ expressed an image of repenting himself who lived after the world and obeying the path that God has guided him to. The lighting in warm orange tone added an effect on God’s forgiveness and love. The dancer drops his cardigan that symbolized his desire in space where an objet was placed in and expressed that there were mental changes through a movement of running towards God’s calling, and expressed his appreciation and heartfelt pleasure for the love of God who does not let go of him to the end through the highest physical level and movement of stretching his arm upward. At the end, the dancer walks along the street lighting but the movement that changed by faith is different from the ones in Chapter 1, and this study expressed will and resolution that he will walk along the path that God has guided him not the way of the world. As said, the researcher intended to let all the working people to know through a dance creative work 「Road」 that working with calling consciousness instead of having values of the world will make positive effect on selecting a job or on everything they do and can be a way for Christians to attribute the glory to G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