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순환성을 적용한 무용창작작품 「극(極)」에 관한 연구

Title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순환성을 적용한 무용창작작품 「극(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reative dance work, 「Geuk(極)」 based on circularity of Yuan Heng Li Zhen(元亨利貞)
Authors
조다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숙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creative dance performance 「Geuk(極)」(2018) which applied the circularity of Yuan Heng Li Zhen(元亨利貞). 「Geuk(極)」 is a performance which embodied circularity of human affairs by using the circularity of Yuan Heng Li Zhen as theoretical found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Mulgeukpilban(物極必反), the performance described the shifts in human affairs that when Gil(吉) energy reaches to its extreme, it turns to Hyung(凶) energy, and conversely, when Hyung(凶) energy reaches to its extreme, it changes to Gil(吉) energy. The title of performance ‘Geuk(極)’ was derived from Mulgeukpilban and conveys a meaning of extreme ad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dance performance 「Geuk(極)」 and related ideologies to identify its validity. Furthermore,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ide foundational perspective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humans and the world by examination of circularity embedded in Yuan Heng Li Zhen. In this sense, the research examined the concepts and circulative characteristics of Yuan Heng Li Zhen, which is the motive of creative dance performance 「Geuk(極)」. In addition,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cases of artworks reflecting the circularity to analyze how circularity has been expressed. This research analyzed the performance systematically,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thereb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topic and contents are the circularity of human affairs and each chapter of performance consists of Yuan Heng Li Zhen’s key components. The first chapter Yuan(元) includes the process of ‘beginning’, second chapter Heng(亨) includes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ird chapter Li(利) includes the process of ‘adversity’, and fourth chapter Zhen(貞) include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adversity and ‘returning’ to the starting point. Second, in terms of dancers’ movements and routes, the energy and use of space are gradually expanded and reduced at the last scene. From the perspective of stage space, the movement is constantly expanded outward with the center of back of the stage as the base point. At the last scene of the performance, the movements are finished at the center of the stage in order to visualize the topic of circularity. Third, regarding the costumes and objects, flexibility·resiliency of materials are used to visualize circularity, which is the crucial concept of the performance. The wrinkles of costumes are changed·recovered repeatedly to demonstrate the circulation of the universe. In addition, a rubber band is used as the object to symbolize the image of circularity. Fourth, the music and scene composition are based on the form of AB(B’)A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Yuan Heng Li Zhen. The shift from the single tune, played by Gayageum and Jeongju to complex tunes combined with sounds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effectively, demonstrates the process reaching the extremity. In the last chapter, the same tunes are used as chapter two, which implies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initial status. The creative dance performance 「Geuk(極)」 attempts to deliver the message of endless circulation of human affairs based on the circularity of Yuan Heng Li Zhe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delivers the message of internal development based on free wills and pursuit of transformation. ;본 연구는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순환성을 적용한 무용창작작품 「극(極)」(2018)에 관한 연구이다. 해당 작품은 본 연구자가 안무한 것으로, 원형이정의 순환성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인간사의 순환성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이는 물극필반(物極必反)의 원리에 따라 인생에서 길(吉)의 기운이 극에 달하면 흉(凶)의 기운으로 전향되고, 반대로 흉(凶)의 기운이 극에 달하면 길(吉)의 기운으로 전향됨을 표현한 것이다. 작품의 제목인 ‘극(極)’은 물극필반에서 착안한 것으로, 극한의 역경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창작작품 「극(極)」과 사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작품의 타당성을 밝히는 데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원형이정의 순환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아울러 이해할 수 있는 근본적인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를 위하여 무용창작작품 「극(極)」의 모티브인 원형이정의 개념과 순환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순환성이 반영된 예술작품 사례를 탐구하여 기존 예술작품의 순환성 표현 방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작품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작품의 주제 및 내용은 인간사의 순환성으로 작품의 각 장은 원형이정의 전개 형식을 반영하여 구성하였다. 1장의 원(元)은 역경의 ‘발단’ 과정, 2장의 형(亨)은 역경의 ‘전개’ 과정, 3장의 이(利)는 역경의 ‘극한’ 과정, 4장의 정(貞)은 역경의 ‘극복’과 삶의 원점으로의 ‘환원’ 과정을 내용으로 담고 있다. 둘째, 무용수의 움직임 및 이동경로는 움직임의 에너지와 공간 사용이 점차적으로 확장되었다가 작품의 마지막 장면에서 감소되는 것이 특징이다. 무대의 공간적 측면에서 보면 무대 뒤 중앙을 작품의 기점으로 하여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는 이동경로가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작품의 마지막 장면에서 다시 무대 뒤 중앙에서 마무리되는 구조를 통해 순환성이라는 작품의 주제를 시각적으로 드러내었다. 셋째, 작품의 의상 및 오브제는 소재의 탄력성·회복성을 활용하여 작품의 핵심 개념인 순환성을 시각화하였다. 작품의 의상은 주름을 소재로 하여 움직임에 따라 변화·회복되는 현상을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만물의 순환 이치를 드러내었다. 또한 작품의 오브제로 탄력적인 고무줄을 사용하여 순환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넷째, 작품의 음악 및 장면구성은 원형이정의 전개 형식에 따라 AB(B’)A의 형식을 적용하였다. 가야금과 정주 소리로만 구성된 단일 선율에서 다양한 악기의 소리가 혼합된 복합 선율로의 변화는 극한에 이르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4장에서는 2장과 동일한 선율을 사용하여 다시 본래의 상태로 환원하는 과정임을 드러내었다. 즉, 무용창작작품 「극(極)」은 원형이정의 순환성을 바탕으로 인간사의 화복(禍福)은 끊임없이 순환하고 있음을 역설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작품의 주제를 토대로 주체적인 의지를 가지고 변화를 추동해나감으로써 내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하였기에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