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20 Download: 0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 교육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간의 관계

Title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 교육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간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toward play and learning, education fever, and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ndency of parental attitudes toward play and learning, education fever,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ir influence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the tendency of parental attitudes toward play and learning, education fever,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and is there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ge of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parent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toward play and learning, education fever, and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3. What is the effect of parental attitudes toward play and learning, education fever, age of children, and educational backgrounds of parents on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68 primary caregivers(one parent) who have children ages 3 to 5 years in 11 regions of the country, such as Seoul Metropolitan City(District B, District C), Gyeonggi Province(City D), Gangwon Province(City E), Chungcheong Province(City F, City G), Jeolla Province(City H, City I), Gyeongsang Province(City J, City K) and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City L).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parents.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xamine the Pre-school Play and Learning Questionnaire(PPLQ), education fever,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DAC). For data analysi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the parental attitudes toward play and learning, parents regarded their children's play as more valuable and important than learning, and importantly considered the role of parents in play and learning as well.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here early education and prior learning are prevalent, it is desirable for parents to believe that play is more important than learning. The parents' education fever was shown not only in the general education fever but also children's college entrance and the support activities for children's education, getting higher in this order. Since Korean parents are obsessed with success and social status of their children, the fervor for college entrance is high, and it seems that they place great emphasis on their children󰡑s college entrance from the early childhood. The time per week in children's daily life was observed to analyze their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It was 17 hours 18 minutes of playtime, 11 hours 37 minutes of arts and reading books, 9 hours and 13 minutes of watching video and playing games, 3 hours and 22 minutes of learning, and 1 hour and 39 minutes of hands-on activities. This may be used as a basic data to guess the time of Korean children's play and learning. Parental attitudes toward play and learning were examined depending on the age of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parents.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academics is higher as the age of children increases. Also, as the age of children decreases, children spend more time playing at home in their daily life.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learning time,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he age of children, the more time spent learning. The time on watching videos and playing games is increasing with the age of the child. It reflects the reality of the situation that the importance of play is gradually weakened due to the emphasis on learning rather than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children as the age of children increases.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play increases with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parents, whereas the parental attitudes toward the importance of academics and parental role increase as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decreases. Play and learning, hands-on activities in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increases with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parents, whereas watching video and playing games increase as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decreas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fever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parents. This is because education fever is a cultural feature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society, as a concept in relation to child rearing among the cultural phenomena of our society according to parental ethnotheory. Second, the analy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ttitudes toward play and learning, and parents' education fever. It signifies that the higher the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play, the importance of academics, and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 fever. Regarding parental attitudes toward play and learning and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al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play and the time of children's play and learning. This means that as parents regard play as more important, the time of children's play and learning is increased. There i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academics and children's time on learning, watching videos and playing games. This shows that the more important the academics is thought to be, the more time is spent on learning, watching videos and playing games. The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learning time, which means that the more important the role of parents is thought to be, the more time for children to learn.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ducation fever and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describes that parental fervor for educ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time of learning,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ental education fever, the more time of learning in children's daily life.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arental attitudes toward play and learning, parental education fever, the age of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parents on playtime in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explain that the effect of parental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play on playtime in children's daily life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the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academics, the age of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parents. It implies that the most influential parental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play is consistent with the parents' behaviors displayed as the children's play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about influences on the time of learning in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were as follows. The effect of children age on their learning time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parental education feve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parental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academics. The result that children age, which has the greatest influence, i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learning time of children means increasing burden of parents to prepare for basic academic skills of their children, such as literacy and numeracy, as they grow and become closer to 5-year-old, preschool ag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n the time of watching videos and playing games in children's daily life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the educational backgrounds of parents most influence on the time of watching videos and playing games in children's daily life at home. Then, the attitude toward the importance of academics, children age, and parental education fever are followed in order.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 better parents understand the risks of media and control their children's time on watching videos and playing games, and it leads to decrease the time spen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increasing the possibility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y sampling on a large scale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across the countr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variabl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parents in child rearing related to play and learning at home and to establish policies to support parent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licies considering the education fever in the sociocultural aspect.;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 교육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의 경향을 알아보고, 변인들 간의 관계와 그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 교육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경향은 어떠하며, 유아 연령과 부모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 교육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 교육열, 유아 연령, 부모 학력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B구, C구), 경기권(D시), 강원권(E시), 충청권(F시, G시), 전라권(H시, I시), 경상권(J시, K시), 제주특별자치도(L시) 등 전국 11개 지역의 만3세, 만4세, 만5세 자녀를 둔 주 양육자(부모 중 1명) 1,268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모용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질문지는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PPLQ), 교육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DAC)을 알아보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서 부모들이 자녀의 놀이를 학습보다 더 가치 있고 중요한 일이라고 여기고 있었고, 놀이와 학습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조기교육과 선행학습이 만연한 우리나라의 요즘 상황을 고려해본다면, 부모가 학습에 비해 놀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부모 교육열은 일반적 교육열뿐만 아니라 자녀의 대학 진학열, 자녀교육 지원행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부모들이 자녀의 출세와 신분상승에 몰두하기 때문에 대학 진학열이 높을 수밖에 없고, 자녀의 대학 진학에 대해 유아기 때부터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가정에서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에서는 주당 시간을 살펴보았는데, 놀이 시간 17시간 18분, 예술과 책보기 시간 11시간 37분, 영상시청 및 게임 시간 9시간 13분, 학습 시간 3시간 22분, 체험활동 시간 1시간 39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우리나라 유아들의 가정에서 놀이 및 학습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유아 연령과 부모 학력에 따라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살펴보았는데, 부모의 학습 중요성 태도는 유아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의 유아 일상생활 중 놀이는 유아 연령이 낮아질수록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학습 시간의 경우는 유아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습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시청 및 게임의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유아의 바람직한 발달보다는 학습이 강조됨으로 인해 놀이의 중요성이 점차 약화되고 있는 현실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부모의 놀이 중요성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습 중요성 태도와 부모역할 중요성 태도는 부모 학력이 낮을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중에서 놀이와 학습, 체험활동은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상시청 및 게임은 부모 학력이 낮을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연령과 부모 학력에 따라 부모 교육열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교육열이 부모의 문화적 신념체계이론에 따른 우리 사회의 문화 현상 중 자녀 양육과 관련 있는 개념으로 우리 사회의 독특한 특성이 반영된 문화적 특징이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와 부모 교육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는 놀이 중요성 태도, 학습 중요성 태도, 부모역할 중요성 태도가 높을수록 부모 교육열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와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의 관계에서는 부모의 놀이 중요성 태도와 유아의 놀이시간, 학습시간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는 놀이가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놀이시간과 학습시간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의 학습 중요성 태도 또한 유아의 학습시간, 영상시청 및 게임시간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는 학습이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학습시간과 영상시청 및 게임 시간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역할 중요성 태도는 유아의 학습시간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는 부모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유아의 학습 시간이 많아짐을 뜻한다. 부모 교육열과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교육열과 유아의 학습 시간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는 부모교육열이 높을수록 유아 일상생활 중 학습시간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 교육열, 유아 연령, 부모 학력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중 놀이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놀이 중요성 태도가 가정에서의 유아 일상생활 중 놀이 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학습 중요성 태도, 유아 연령, 부모 학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부모의 놀이 중요성 태도가 유아의 놀이 시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부모의 놀이 중요성 태도와 유아의 놀이시간으로 나타난 부모의 행동이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중 학습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연령이 유아의 학습 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부모 교육열, 부모 학력, 부모의 학습 중요성 태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유아 연령이 유아의 학습시간을 가장 유의미하게 예측한다는 것은 연령이 높아져 만5세 취학 전 연령이 되어갈수록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학업을 준비해야 한다는 부모의 부담감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중 영상시청 및 게임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 학력이 가정에서의 유아 일상생활 중 영상시청 및 게임 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학습 중요성 태도, 유아 연령, 부모 교육열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미디어의 위험성을 잘 알고 부모가 자녀의 영상시청 및 게임 시간을 조절하기 때문에 그 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전국의 부모와 그 자녀를 대상으로 한 대단위 표집을 사용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한 자녀 양육에 있어 부모의 태도와 행동을 이해하고 부모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수립을 위해서 다양한 변인을 좀 더 고려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교육열을 고려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