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5 Download: 0

국내 정신건강분야 성인대상 음악치료 현황 및 개선점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

Title
국내 정신건강분야 성인대상 음악치료 현황 및 개선점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
Other Titles
Music Therapists’ Perspective of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Music Therapy Practice in the Adult Mental Health Field in Korea
Authors
배시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진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정신건강분야 성인대상 음악치료의 현황 및 개선점에 관한 치료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최근 3년 이내에 국내에서 정신건강분야 음악치료 서비스를 기관별 4회기 이상 제공한 경험이 있는 전문 음악치료사이다. 설문은 온라인으로 2018년 10월 26일부터 2018년 11월 7일까지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8년 11월 19일부터 26일까지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사)전국음악치료협회 및 (사)한국음악치료학회 공식 전자우편을 통하여 연구 동의서, 연구 안내 설명문, 설문 URL주소를 음악치료사에게 발송하였다. 총 101명이 설문에 참가하였으며, 대상 기준 부적합 및 미완성된 설문지 14부를 제외한 87부에 대해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다중응답분석, Mann-Whitney U 검정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정신건강관련 기관에서 음악치료가 시행되고 있었다. 대다수의 음악치료사들은 파트타임 형태로 근무하고 있었으며, 주 당 근무시간은 평균 4.8시간으로 다른 영역에 비해 약 5.2시간 적었다. 한편, 정신의료기관의 입원일수 축소에도 장기간 동안 음악치료가 연속성 있게 제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분야 음악치료의 개선점 관련 문항에서 참여자들은 고용안정화를 위한 제도변화 및 연구와 교육 지원의 확대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팀 회의 참석, 전문치료기법 훈련 및 수퍼비전 경험 유무에 따른 세션 내·외 어려움 인식에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팀 회의 참석, 전문치료기법, 수퍼비전의 혜택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정신건강분야 성인대상 음악치료 현황 및 개선점에 대한 치료사의 인식을 파악하고 발전방향을 논의함으로 향후 정신건강분야 음악치료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music therapists’ perspective of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music therapy practice in the adult mental health field in Korea. Participants were certificated music therapists who had provided music therapy services in the mental health field in Korea within the past 3 years. The survey was provided online containing a consent form, research guide statement, and URL address for the survey to the music therapists who are member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Music Therapists and the Korea Music Therapy Association via the official association e-mail. A total of 101 responses were received, but 8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using the SPSS Statistics 25 program upon excluding 14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sic therapy was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mental institutions while the most frequently recorded institution type was large general hospital. Secondly, most therapists worked part-time with 4.8 hours per week. This is about 5.2 hours less than other areas. It means that part time positions in the mental health fields offer less per-week hours than most other areas in Korea. Third, Even though days of hospitalizations in the mental institutions have decreased in the recent past, the usual period of the treatment was not limited to only one to two weeks, meaning that many music therapists are able to work semi-long term with their patients. Fourth, the participants felt the need to expand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s for music therapists who specialize in the mental health fields in addition to improvement of job security.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s who attend team meetings, receive advanced training and supervision in terms of their perceived level of difficulty in their clinical work. The study results provide meaningful data that may contribute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in the mental health field in South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