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0 Download: 0

미술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인식 및 기대

Title
미술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인식 및 기대
Other Titles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 Role of Art Teachers
Authors
윤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In school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are important factors for completing education through intimate interaction, and students’ growth and development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teachers. In particular, art education is a subject in which high learning motiv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plays an pivotal role more than anything else, and thus students’ independence and motivation based on the guidance and interest of art teachers is significantly important.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for art teachers to understand how students perceive their teachers and the art subject as well as what expectations they have toward them. In addition, it is crucial for art teachers to realize art education effectively by reflecting such students' perception and expectation in their teaching methods and attitudes and trying to positively interact with student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role of art teachers and to present the role and direction of art teachers who can satisfy their expectation effectively.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called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role of art teachers' was designed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and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questions, after examining current art teachers’ opinion and related literature.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750 students from 6 middle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Gyeonggi, and Incheon.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only a total of 698 answer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Statistical analysis was implemented using the SPSS Ver. 21.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cquired by conducting χ2 test. In addition, six students who have different preference for art curriculum were selected among the survey subjects to conduct individual interviews o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and the various answers derived from it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expectation regarding the role of art teachers can be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results of perception(opinion) on middle school art teachers', 'Expected results of teaching methods of middle school art teachers', 'Expected results of teach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art teachers'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art teacher who is most preferr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is the teacher who leads the atmosphere to enjoy art itself. Furthermore, the part that students showed the greatest interest to the art teacher was teachers’ inner part. 57.2%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ost interested in art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63.0% of them responded that their immersion in art education class is influenced by the art teachers’ class attitude. Second, one of the most expected par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the current art teachers in terms of the class contents is to create a fun and enjoyable class atmosphere without having to boring. Furthermore, students’ most preferred method when selecting the theme of class, was reflecting students’ opinions, while also allowing them to comprehensively choose to experience a variety of fields.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delivering class contents was the utilization of various multimedia, and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sharing class material was using the form of actual printed materials. In selecting the subject of the lesson, students 'most preferred method was to choose a wide range of experiences that reflect students' opinions so that they can experience various fields. The method of delivery of favorite class contents was various multimedia media, and the method of sharing favorite class materials was real print type. At the same time,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to online sharing was also similarly high. In addition,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the most that art teachers to show step-by-step demonstration using computer tools, while some students preferred practical instruction by group if it is needed. The most preferred feedback method was to give advice about correcting the problem after identifying the problem of the work, and the atmosphere of the class which was thought to be the most effective was the open atmosphere which enable students to contrive free ideas and work. Furthermore, the most satisfactory evaluation method of artwork was an impartial evalu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and boys preferred the self and peer evaluation method. Third, the most effective motiv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expectation about the art teachers’ class attitude is the attitude of actively showing interest and giving compliments to the students’ work. And students responded that through this method, they could elevate confidence and improve work efficiency. The attitude that best foster concentration was to explain the contents interestingly and enjoyably, and the attitude that maximizes self-esteem was the attitude of accepting students’ various thoughts openly. On the other hand, art teachers' attitudes, which are regarded as the most problematic, was shown to be the attitude in which they ignore their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the production of works and with similar proportion, students also responded negatively to the teachers’ attitude of making a result-centered evaluation. In addi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expectation for interaction with art teachers, the most desired communication style of attitude was the attitude which can foster an environment where their opinions are widely accepted and reflected in class. And the attitude that they feel most caring is respect for their work, active encouragement and impartial attitude, which are responded at a similar rate, respectively. The most favorable attitude toward speech and behavior appeared to be the use of honorific expressions in class and the use of intimate and informal verbal speak in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the roles and direction of art teachers who are able to meet the expec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effectively are as follows. First, art teachers should be fully aware of the fact that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teachers are diversified and that their role performance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students' attitudes and achievements in art class. Therefore, art teachers should try to accurately understand various expectations and preferences of students and reflect them in their teaching method and attitude. In particular, recently, students should develop their ‘self’ of the internal aspects on their own which have become their interests and connect them to positive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in order to make students become immersed in art class effectively. Second, art teachers should study and utiliz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that can enhance the students' satisfaction by reflecting students’ various expectations and demand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epare interesting materials and activities in order to make students enjoy interesting class, which is their most anticipated part for art teachers, and it is also important to utilize a variety of media such as multimedia and online platform. In the practical demonstration, students' understanding should be improved effectively by carrying out group instruction as needed. In addition, in terms of the theme of the class, students' opinions should be reflected actively, as well as a wide variety of fields should be included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various things. As for the evaluation method, impartial evaluation without discrimination should be carried out based on the precise chart, and self and peer evaluation should also be accompanied so that students can share opinions and broaden their perspective. Third, art teachers should reflect students’ various expectations and preferences for their class attitudes and develop students' mutual attitude so that each student can improve their own independence and cultivate interactive attitude to communicate with teachers. Teachers should draw positive changes in their students by actively showing their great interest on students’ work and encouraging them and helping students develop their own work through frank and accurate advice rather than giving unconditional compliment. In addition, art teachers should induc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by developing an attitude that can explain class contents interestingly. It is also important to listen to and reflect students’ diverse opinions and try to build a democratic relationship on trust. As students' expectations for role of art teachers are continuously changing, practical research should further continue to understand students' thoughts about art teachers and art education in school. In addi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art teachers will be able to grasp the expectations and demands of students more accurately and achieve creative and progressive art education.;학교 교육에서 교사와 학생은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을 완성시켜 나가는 중요한 요소이며, 학생은 교사를 통해 자신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미술교육은 학생들의 높은 학습동기와 적극적인 참여가 무엇보다 핵심이 되는 과목으로, 미술교사의 지도와 관심을 바탕으로 한 학생들의 주체성과 동기부여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미술교사는 학생들이 자신과 미술교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어떤 기대를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 같은 학생들의 인식과 기대를 자신의 수업 방식과 태도에 반영하고, 학생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해나감으로써 미술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현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교사의 역할에 대해 중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 및 기대를 알아보고, 이들의 기대를 효과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미술교사의 역할과 그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문헌 및 현직 미술교사들의 의견을 고찰하고, 예비조사와 문항의 타당도 검증을 바탕으로 ‘미술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기대’라는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6개 중학교의 학생 7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분류작업을 거친 총 698부만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χ2검정을 실시하여 연구의 결과를 얻었다. 또한 설문 대상 중 미술교과에 대한 선호도가 다른 여섯 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설문 내용에 대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다양한 답변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미술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기대 결과는 크게 세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중학교 미술교사에 대한 인식(의견) 결과’, ‘중학교 미술교사의 수업 방식에 대한 기대결과’, ‘중학교 미술교사의 수업 태도에 대한 기대결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을 순서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이 현재 가장 선호하는 미술교사의 유형은 미술 자체를 즐길 수 있도록 분위기를 이끌어 주시는 선생님이었다. 또 평소 미술교사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는 부분은 내적인 면이었으며, 연구대상인 중학생들의 57.2%가 미술교사의 수업 방식에, 63.0%가 미술교사의 수업 태도로 인해 미술수업 몰입에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중학생들이 현재 미술교사의 수업 내용에 대해 기대하는 점 중 가장 원하는 점은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수업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었다. 또 수업 주제를 선정할 때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방식은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되 다양한 분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폭넓게 고르는 것이었다. 가장 좋아하는 수업 내용의 전달 방식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의 활용이었고, 가장 선호하는 수업 자료의 공유 방식은 실물 프린트 형식이었다. 동시에 온라인 공유방식에 대한 응답 비율도 비슷한 비중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들은 미술교사가 컴퓨터 도구를 이용해 단계적으로 실기 시범을 보이는 수업지도를 가장 선호하였으나, 일부 학생들은 필요에 의한 동일 그룹별 실기 지도를 선호하였다. 가장 원하는 피드백 방식은 작품의 문제점을 찾은 후 고칠 점에 대하여 정확히 조언해주는 것이었으며,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수업의 분위기는 자유로운 아이디어 구성과 작업이 가능한 개방적인 분위기였다. 또 가장 만족하는 작품 평가 방식은 평가 기준표를 바탕으로 한 공정한 평가였으며 남학생의 경우 자기‧동료평가 방식을 더 선호하기도 하였다. 셋째, 중학생들이 현재 미술교사의 수업 태도에 대해 기대하는 것 가운데 가장 효과적인 동기부여는 본인의 작업에 대해 교사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칭찬을 해주는 태도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감과 작업의 능률 또한 향상된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집중이 잘 되는 태도로는 수업 내용을 흥미롭고 재미있게 설명해주는 것이었고, 가장 자존감을 높여주는 태도로는 학생의 다양한 생각을 개방적으로 받아들여주는 태도라고 응답하였다. 반면 가장 문제가 되는 교사의 태도는 작품 제작에 있어 창의성과 개성을 무시하는 태도라고 응답했으며 이와 비슷한 비중으로 결과 중심의 평가를 내리는 태도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중학생들이 현재 미술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해 기대하는 점 중 가장 원하는 의견 소통 태도는 의견에 대해 폭넓게 받아들이며 수업에 반영해주는 태도였고, 가장 배려 받는다고 느끼는 태도는 작업에 대한 존중과 적극적인 격려와 공평하고 차별 없는 태도에 비슷한 비율로 응답하였으며, 가장 선호하는 언행 태도는 수업 중 존댓말 사용, 수업 외 친화적인 반말 사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들의 기대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미술교사의 역할과 그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사는 학생들이 교사에게 갖는 인식과 기대가 다양해지고 있고 자신의 역할수행에 따라 미술수업에서 학생들의 태도와 성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충분히 지각해야 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다양한 기대와 선호 유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수업 방식과 태도에 반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최근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내적인 면에서 스스로를 계발하고, 수업에서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연결하여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미술수업에 몰입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미술교사는 자신의 수업 방식에 학생들의 다양한 기대와 요구를 반영하여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적절한 교수방법과 내용을 연구하고 활용하여야 한다. 특히 학생들이 미술교사에게 가장 기대하고 있는 부분인 재미있는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흥미로운 자료와 활동을 준비하고, 멀티미디어 및 온라인 플랫폼 등의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야 한다. 실기시범에서는 필요에 따라 그룹별 실기지도를 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를 효과적으로 높여야 한다. 또한 수업의 주제에 있어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되, 다양한 분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폭넓게 선택한다. 평가 방식에서는 정확한 기준표를 바탕으로 차별 없는 공정한 평가를 실시하되, 학생들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시야를 넓힐 수 있도록 자기‧동료평가도 병행하도록 한다. 셋째, 미술교사는 자신의 수업 태도에 학생들의 다양한 기대와 성향을 반영하여 학생들이 각자의 주체성을 향상시키고 교사와 소통할 수 있는 상호적인 태도를 계발하여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의 작업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격려해줌으로써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끌어내야 하며, 무조건적인 칭찬이 아닌 솔직하고 정확한 조언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의 작업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수업 내용을 재미있고 흥미롭게 설명해주는 태도를 계발하여 수업에 있어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학생들이 갖고 있는 다양한 의견들을 듣고 반영하여 민주적인 신뢰관계를 쌓아 가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는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으므로, 학교 미술교사 및 미술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교사가 학생들의 기대와 요구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창의적이고 발전적인 미술교육을 이뤄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