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3 Download: 0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감상수업이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감상수업이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Group Investigati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to Art Appreciation Class on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 skills : Focusing on an Alternative High School
Authors
손수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In order to adapt to the needs of rapidly changing societies, it is essential to learn how to think about living together with multiple thoughts. Therefore, education of our country need to emphasized the multi-dimensional value of humanity, the whole growth of human life and the ideal of mankind's common sense, art education is also making students become learners who can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through creative thinking. and it is important. The arts curriculum aims to be an all-inclusive education that stimulates the human sensibility in the whole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nd internalizes the value. Art appreciation class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is based on the volunteer inquiry activity of the learner, Consciousness and sociality, and accumulation of such learning experiences can positively establish the artistic self-recognition. Cooperative learning is a structured and systematic teaching technique in which learners with different learning abilities learn together in order to achieve group common goals. The collaborative structure in school education positively improves learner's high-order thinking, achievement and learner's inter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self-esteem compared to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structure. The GI (Group Investigati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 model in which the learners themselves voluntarily collaborate and discuss in the whole process from selection of learning tasks to learning plans, group composition, sharing of group tasks, group reporting and presentation. Through this process, learners gain the growth of social and academic functions. Alternative schools which have criticize the competitive learning environment of the public education centered on the conventional knowledge pursue education that grows holistically through academic achievement and development of social functions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people. And alternative schools have more flexible lesson management and experiential education than public education, so they can try various studies on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cooperative learning. The art educa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 i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art education rather than the art education under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trying various experimental classes for the learner to express himself as much as possible. Especially, in the alternative school, appreciation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 's emotional aspect through active interaction with small - sized learner and free time. In addition, it runs a variety of emotional learning based on experiences, and cultivates awareness of culture through life-centered art education so that aesthetic values ​​can be applied in life. Therefore, experiential art education of alternative school can be expected to improve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because it makes an whole person learner who enjoys art together with others and makes value judgment in connection with life. In this study, investigate how art appreciation teaching - learning program us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developed and how it affects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of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we tri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additi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was examined and related with cooperative learning. In addition, we will study the alternative schools in relation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conduct art appreci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for art circle class consisting of 1st, 2nd and 3rd graders of alternative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ju si, Gyeongsangbuk-do. Among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s, the Art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Program apply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alyzed the revised art curriculum and textbooks of the revised art education in 2015, and selected the class unit by identifying students' preferences. and I planed a teaching-learning plan with a class theme called 'Going on an expedition to the appreciation of art history with paper toy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learning program, we developed artistic self-recognition, sociality test tool, practical skill and other evaluation tools. The artistic self-recognition Testing Tool used Ryu Hee-ju(2008)'s inspection tool that changed the questions of art appreciation from the artistic self-recognition tool developed by Kim Eun-jin(2003). Sociality test tool was used by modifying the sociability portion, which is a sub-area of the personality test paper developed by Jung Bum-mo(1971)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 high school level. A total of 8 experiments were conducted after a preliminary test on a single group of this study and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heck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learners'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we conducte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analyzed it. And I tried to derive the results with objective and detailed contents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and observation log of practical evaluation results and interviews of learner's testimon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art self concept of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The improvement level of the artistic self-recognition that we learned through the pre- and post-test was increased by 0.86 poin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ee areas of artistic self recognition, 'competence artistic self-recognition, 'social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emotion artistic self-recognition'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Especially, 'emotion artistic self-recognition' is The highest growth rate was observed. Second, the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ity of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pre-post sociality 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pre-testing increased by 0.70 points, resulting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four sub-domains of sociality: 'compliance,' 'cooperation,' 'sociability' , and 'independence'. Among them, 'compliance ' and 'cooperation' are The highest growth rate was observed. Thir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ractical results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 's class,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s of the researchers and the observation log of the researchers showed that effective in post-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And prove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actual education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gra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by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art appreciation area for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I hope that i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art and teaching programs and helps learners improve their 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ity and contribute to various developments in art education.;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에 발맞춰 적응하기 위해서는 융·복합적 사고와 공생하며 살아가는 방법의 학습이 필수적이다. 이에 우리나라 교육은 인격도야와 인간다운 삶의 전인적인 성장 및 인류 공영의 이상이라는 다원적 가치의 이해를 강조하고 있으며, 더불어 미술 교육은 학습자가 삶 속에서 미술을 영위하고 창의적인 사고로 타인과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미술교과는 체험·표현·감상 전반에서 인간의 감수성을 자극해 가치를 내면화하는 전인적인 교육을 목표로 하는데(정문성, 김동일, 1998), 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감상수업은 학습자의 자발적인 탐구활동을 바탕으로 협력적 상호작용과 공동체의식 및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학습경험의 축적은 미술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확립할 수 있도록 한다. 협동학습은 집단의 공동 목표를 성취하고자 학습능력이 각기 다른 학습자들이 함께 학습하는 구조화되고 체계적인 수업기법(Slavin, 1991)으로, 학교 교육에서 협동적 구조는 경쟁적·개인주의적 구조에 비해 학습자의 고차원적 사고, 성취도와 학습자 간의 상호관계, 그리고 심리적 건강과 자존감 등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킨다(Johnson & Johnson, 1989). 이러한 협동학습의 여러 모형 중 GI(Group Investigation) 협동학습모형은 학습 과제의 선정에서부터 학습 계획, 집단 구성, 집단 과제의 분담, 집단 보고 및 발표까지의 전 과정에서 학습자들 스스로 자발적 협동과 논의로 활동이 진행되는 모형으로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사회적·학문적 기능의 성장을 얻게 된다(정문성, 2002). 종래의 지식위주로 편중된 공교육의 경쟁적인 학습 환경을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등장한 대안학교는 학습자가 타인과의 협동을 통해 학문적 성취와 사회적 기능의 발달로 전인적으로 성장하는 교육을 추구하며, 공교육에 비해 유동적인 수업운영과 체험적 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에 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감상수업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대안학교의 미술교육은 공교육 제도하의 미술교육보다 미술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학습자가 마음껏 자신을 표현하도록 하는 여러 실험적인 수업을 시도하고 있다(김가영, 2008). 특히 대안학교의 감상교육은 소규모로 구성된 학습자와 여유 있는 시간으로 개별적 수업이 가능하여 활발한 상호관계를 이루어 학습자의 정서적 측면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더불어, 체험 위주의 다양한 감상학습을 운영하며, 삶 중심의 미술교육으로 문화에 대한 인식을 심어 미적가치가 삶 속에서 응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교육부가 제시한 자주적 생활 능력을 지니고 인류 공영을 실현하는 민주시민이라는 요구에 따라, 대안학교의 체험적 미술교육은 삶과 연결되어 타인과 함께 미술을 향유하고 스스로의 가치판단을 하는 전인적 학습자를 만들기 때문에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감상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을 실시하여 대안고등학교 학생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감상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고찰하고 협동학습과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인 대안학교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H대안고등학교의 1·2·3학년으로 구성된 미술 동아리 학급을 대상으로 협동학습에 의한 미술 감상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협동학습 모형 중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감상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성향을 파악하여 수업 단원을 선정한 후, ‘페이퍼토이와 함께 떠나는 미술사 감상 탐험대’라는 수업주제로 교수-학습지도안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검사도구와 실기 및 기타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미술자아개념 검사도구는 김은진(2003)이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미술자아개념 검사도구를 미술 감상에 대한 내용으로 문항을 변형한 류희주(2008)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사회성 검사도구는 정범모(1971)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인성검사지의 하위 영역인 사회성 부분에 대해 고등학교 수준으로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 후 총 8차시의 실험을 실시하였고, 사후 검사 실시 후에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감상수업이 학습자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결과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실기평가 결과물의 질적 평가 및 관찰일지와 학습자의 수업 소감 인터뷰를 통해 객관적이면서도 보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감상수업이 대안고등학교 학생의 미술자아개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자아개념의 향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미술자아개념이 0.86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미술자아개념의 하위 영역인‘능력미술자아개념’, ‘사회미술자아개념’, ‘정서미술자아개념’의 세 가지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정서미술자아개념’하위 영역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둘째,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감상수업이 대안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사회성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검사에서 사후검사로 0.70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성의 하위 영역인‘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의 네 가지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준법성’과 ‘협동성’ 하위 영역이 비교적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셋째, 실기결과물과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 설문 및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 등을 질적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 미술자아개념 및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교육적 의의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안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미술 감상 영역 안에서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하여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방법을 모색하였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향후 다양한 미술과 교수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여 학습자의 미술자아개념 및 사회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고, 미술 교육의 다양한 발전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