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환경보존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환경보존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tegrated classes of art and science on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 Focused on the four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uthors
고은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오늘날 우리 사회는 급속한 과학기술 발달로 인해 지식과 정보가 넘쳐나는 지식정보화사회로 이어졌다. 이에 사회는 단순히 하나의 분야의 지식 습득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영역의 학문 간 연계를 통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창의·융합적 사고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 교육환경은 여전히 이론 지향적인 학습만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교육계는 삶과 밀접한 영역의 실제적 지식을 다루어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과 우리 삶의 괴리감을 줄일 수 있는 교육을 실현해야한다고 보았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통합교육을 들 수 있다. 특히 미술 교과는 습득한 지식을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세계를 이해할 수 있으며, 타 교과와의 융합이 비교적 용이한 과목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과학 교과는 과학적인 탐구 능력을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를 이해하는 과목이다. 이 두 교과는 수업 내에서 사회의 여러 문제를 다루고, 이를 통해 자신과 사회를 이해하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을 통해 중요한 사회문제로 자리 잡은 ‘환경문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환경의식·태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선행연구와 문헌을 살펴보고 교과통합, 교육과정, 환경보존의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미술과와 과학과의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통합수업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단원을 선정하였다. 또한, Fogarty의 거미줄형을 적용하여‘멸종위기에 처한 나비를 담은 환경 포스터 제작하기’라는 통합수업 세부주제를 선정한 후, 이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인천에 소재한 S 초등학교 4학년 2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8 차시에 걸쳐 수업을 적용하였다. 설계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환경부에서 고지한 ‘환경교육에 의한 환경의식·태도 변화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 검사 자료는 IBM SPSS 24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양적 연구를 하였다. 또한, 수업결과물에 대한 질적평가. 학생 소감 인터뷰, 수업만족도 조사 등에 관한 질적 분석을 통해 혼합적 접근의 연구를 실행한 후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사전·사후 환경보존의식 검사지로 분석해본 결과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은 환경보존의식 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환경보존의식은 사전 평균 3.0458점에서 사후 평균 3.9875점으로 상승함에 따라 0.9417 증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환경보존의식 성숙도의 하위 영역 요소에 있어, 언어적 영역, 행동적 영역, 정서적 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둘째,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를 분석해 본 결과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실기 결과물의 완성도와 작품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학습자가 창의·융합적 사고를 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학생 소감 인터뷰를 통해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통합수업 내에서 진행한‘멸종위기 나비를 담은 환경 포스터’를 제작하는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멸종위기 나비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높인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또한, 멸종위기 나비에 대한 탐구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연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기회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검증하였다고 볼 수 있다. 즉, 통합수업이 학습자의 환경보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교육현장에서는 통합수업에 대한 실질적인 교수·학습 방법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앞으로 더욱 다양한 학문간 연계를 통해 학습자들의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높여주는 통합수업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Due to the rapid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y today has become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with abundant pool of expertise and information. In this regard, the societ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ability to create new and various knowledge through interdisciplinary of knowledge rather than merely acquiring knowledge of one field. However, the current education environment still focuses only on theoretical learning, which raises the necessity of urgent improvement Therefore, the education system should deal with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area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and embody the education that can mitigate the gap between the knowledge of learning in school and our real life. A concrete method is integrated education which can include a specific method such as integrated education. In particular, the art subject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 world by visually expressing acquired knowledge through their own feelings and thoughts, and it can be considered as a relatively easy subject to converge with other subjects. In addition, science subjects are subjects that cultivate learners to understand individual and society based on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These two subjects deal with various issues of society within the class and have in common in that the two subjects promote understanding themselves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learners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have become crucial social problems by performing integrated classes between the arts and sciences and to understand how they can affect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For this purpo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the study reviewed the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and studied the theoretical review on curriculum integration, curriculum,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udy selected the appropriate units to apply the integrated classes through analysis of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version of art and science department. In addition, by applying Fogarty's spider web model, the study selected the sub topic of‘ Making an Environmental Poster describing Endangered Butterflies' and then designe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it. Twenty students who are the fourth grade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nd a total of 8 classes were applied to them. In order to manifest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program, the pre-test was conducted utilizing the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change inspection test pape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ubsequently, pre- and post-test data for a single group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4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after conducting an integrated approach research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class, students’interview and class satisfaction survey, the study deducted severa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 and post-environmental conservation awareness test,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tegrated classes between art and science subject positively influenced the maturity of environmental awareness. In other words, the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creased from pre-averaging 3.0458 to 3.9875 post-averaging to 0.9417,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linguistic, behavioral and emotional area in the subscale factors of students’ maturity of environmental awareness. Second, by analyzing the actual results and activities log, it was found that the integrated classes between the art and science subjec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mpleteness and quality of the actual works.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tegrated classes between the art and the science subject has been a practical help for the learners in terms of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Third, through student interview, it was revealed that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integrated classes between art and science subject was high.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activity to create 'environmental poster with endangered butterflies' in the integrated class rais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and affection for the endangered butterfly. Furthermore, the quest for the endangered butterfly seems to have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awaken the preciousness of natur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integrated classes between the art and science subject has been verified.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integrated classes pose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environmental awareness. Nonetheless, there is still a lack of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ntegrated classe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order to promote this,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study the integrated classes that can enhance learners'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ability through further interdisciplinary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