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0 Download: 0

영어책 읽기와 독후일지 작성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어휘 습득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영어책 읽기와 독후일지 작성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어휘 습득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eading English Storybooks and Writing Reading Journals on Vocabulary Acquisition and Affective Domain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최희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시영
Abstract
읽기는 한국의 EFL 학습자들에게 부족한 다량의 언어적 입력을 제공하여 어휘 지식의 향상을 포함한 전반적인 언어 능력 발달에 도움이 된다. 학습자의 언어 능력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주된 언어적 입력원은 책과 같은 텍스트이다(Krashen, 1997). 또한 제 2언어 학습에서 읽기와 어휘 학습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Grabe & Stoller, 1997). 즉 읽기를 통해 학습자는 어휘 지식을 향상시키고 그 지식으로 읽기를 하면서 또 새로운 어휘 지식을 얻는다. 그러나 학습자가 읽기 중 접하는 모든 어휘가 습득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읽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어휘를 습득하기 위해, 읽기와 함께 생성 과업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최근 많은 학자들은 읽기와 병행하는 생성 과업이 어휘 습득에 효과적임을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한국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초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목표 어휘를 독후일지 작성 시 사용하도록 하는 생성 과업이 영어책 읽기를 통한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실험은 14주간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8명을 두 실험 집단으로 나눈 후 각 집단별로 과업의 인지적 처리 정도가 다른 줄거리 요약하기와 주인공에게 일어날 일 예상하기 독후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읽기 자료로는 랜덤 하우스 출판사의 “Step into Reading” 3단계 13권이 사용되었다. 매주 한 권의 책을 읽은 후, 책마다 선정된 목표 어휘 4개를 활용하여 독후일지를 영어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독후일지 작성 후 교사의 확인을 받아 독서목록지가 부착된 파일에 보관하도록 하였다. 독후일지 작성이 영어책 읽기를 통한 어휘 습득과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어휘지식척도 검사와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학습자들이 작성한 독후일지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후일지 작성이 영어책 읽기를 통한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어휘지식척도 검사에 대해 집단 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요약하기 독후일지와 예상하기 독후일지 모두 학습자의 어휘 지식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와 병행되는 생성 과업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어휘를 알아차리고 해당 어휘를 새로운 맥락에서 생성하도록 하여, 읽기를 통한 어휘 습득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독후일지 유형에 따라 어휘 습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 어휘지식척도 검사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요약하기 집단과 예상하기 집단 간 점수 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요약하기 독후일지가 예상하기 독후일지보다 어휘 습득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적 처리 수준이 더 높은 예상하기 독후일지가 요약하기 독후일지보다 어휘 습득에 더 효과적이라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대비된다. 이는 학습자들의 낮은 영어 수준이 예상하기 독후일지의 어휘 습득 효과를 상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읽기의 효과와 독후일지의 효과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인지적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 조사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요약하기 집단의 경우 설문 조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한 반면, 예상하기 집단의 경우 설문 조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약하기 독후일지 작성은 읽기의 효과와 독후일지의 효과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나, 예상하기 집단의 경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점을 시사한다. 넷째, 설문 조사에 대해 두 실험 집단이 상반된 결과가 나와, 설문 결과에 대한 상세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설문 영역별 분석을 위해 요약하기 집단과 예상하기 집단 내 사전·사후 영역별 설문 조사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간 사후 영역별 설문에 설문 조사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경우 모두 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설문 영역별로 영어책 읽기와 독후일지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본 연구의 실험 기간이 다소 짧았다고 생각된다. 다섯째, 학습자가 작성한 독후일지를 분석한 결과, 두 독후일지에 사용된 거의 대부분의 목표 어휘는 영어책 속에서 사용되었던 맥락과는 새로운 맥락 속에서 생성되었다. 이는 두 유형의 독후일지 모두 학습자로 하여금 목표 어휘를 새로운 문맥 속에서 사용하도록 하여 어휘 지식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이는 요약하기와 예상하기 독후일지 모두 학습자의 어휘 지식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는 결과에 의해 증명되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읽기와 병행한 독후일지 과업은 학습자의 어휘 지식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요약하기가 예상하기보다 어휘 습득에 더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가 예상하기가 요약하기 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다른 이유는 학습자의 낮은 영어 수준이 예상하기 독후일지 효과를 상쇄시킨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요약하기 독후일지 작성은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반면, 예상하기 독후일지 작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즉 학습자의 현재 영어 수준보다 높은 난이도의 과업은 어휘 학습에 있어 효과가 있을지는 몰라도 어휘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읽기와 함께 요약하기 독후일지와 같은 생성 과업을 학습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읽기를 통한 우연적 학습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보다 성공적인 어휘 습득을 위한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다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자들에게 읽기와 병행하는 생성 과업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읽기를 통한 어휘 습득의 효과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 초등학생에게 어휘 학습을 위한 생성 과업을 제공하는데 있어 학습자의 영어 수준은 교사나 교육 전문가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이다. 둘째, 한국의 EFL 학습자에게 맞는 생성 과업의 형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다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연구가 이루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EFL 학습자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생성 과업이 개발되어 공교육 현장에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영어책 읽기와 독후일지 작성 활동과 같은 읽기와 읽기 후행 활동을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교육 자료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교사와 학생 모두 읽기가 언어 학습에 있어 갖는 가치에 대해 알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한국의 영어 교육과정은 교과서 위주의 읽기에 치중하고 있어 학습자에게 읽기의 기회를 충분하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방대한 양의 독서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의 효과를 학생들이 경험하고, 이러한 어휘 습득의 향상을 돕기 위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Reading provides Korean EFL learners’with much needed language input in large amounts, consequently enhancing vocabulary knowledge and overall development in language skills. Yet for Korean EFL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alone is not sufficient in that only a few amount of new vocabulary is incidentally learned via reading. That is, not all words that a learner meets during reading leads to acquisition. Thus learners should be provided with text-based/reading oriented tasks that make learners generate target vocabulary which enhances the rate of vocabulary acquisition during reading.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generative tasks help learners gain meaningful amounts of vocabulary. Additionally, research shows that tasks differing in the depth of processing results in different gains of vocabulary knowledge. Various research on this topic has been conducted on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very few on Korean elementary studen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ading English storybooks and writing book journals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vocabulary acquisition and their affective domain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28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th grade for 14 week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13 books from the“Step into Reading”series level three books published by Random Hous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read one storybook a week and write a reading journal for each book in English using the four target words from the book. The 28 participants were evenly divided into two experiment groups. Each group was assigned with tasks that differ in depth of processing. One experiment group read English books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summarize the book using the four target words. The other experiment group was asked to predict what would happen to the main character also using the same target words.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Vocabulary Knowledge Scale developed by Paribakht and Wesche(1993) to measure gains in vocabulary knowledge. Pre and post survey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ading English storybooks and writing reading journals on learners' affective domain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4.0 statistics program. Additionally, analysis of reading journal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usage of target words, specifically comparing the context in which target words were used in the book and in reading journals. Also compared the context of target words in summarizing reading journal and predicting reading journal were compa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summarizing and predicting reading journals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s on the growth of learners' vocabulary knowledge. Second, the summarizing reading journal group showed larger gains in vocabulary knowledge than the prediction group. Third, reading English books and writing reading journals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ers’affective domains in the summarizing group, whereas in the prediction group negative effects were found. Fourth, analysis of reading journals revealed that most of the target words were used in newer contexts in the journals compared to the context in the books. This proves that both types of reading journals provided opportunity for learners to generate target words in new contexts, consequently enhancing learners’vocabulary knowledge. Based on these finding the researcher has proposed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 learners should be provided with generation tasks to enhance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reading in the classroom. Especially in the case of Korean EFL learners, teachers should carefully consider in the level of fluency when selecting the type of generation task. Secondly, mo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discovering the most suitable type of generation task for Korean EFL student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a larger group of participants over a period of more than 6 month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Moreover, based of the results of future research, teachers and education experts need to develop generation tasks that suit learner variables and adapt them in Koreans schools. Thirdly, teachers and education experts need to develop curricula and education materials that promote reading and reading based output activities in the classroo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