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7 Download: 0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rt Classes Incorporating the Co-op Co-Op Model on Children’s’ Sociality and Self-Efficacy : With a focus on 4th Grade Elementary School Local Event Advertisement Pamphlet Design Classes
Authors
홍을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Due to the quick-paced changes in the quanti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brought about by today’s advancements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society has come to demand new skills of its students, who will lead their future lives amid such circumstances. Society requires a creative convergent individual, who has the ability to combine and actively apply acquired knowledge to expand the boundaries of one’s capability. In response, the 2015 Education Curriculum Amendment proposes six critical factors to be nurtured in individuals through education, and implements an approach for school education focused on these skills. Although the lecture method in previous institutional education was constituted by teacher-centered lectures with a passive method geared towards conveying knowledge, recent changes show aspects of efforts to improve lecture methods in order to nurture creative convergent individual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society. Similar alternative approaches to promote voluntary and well-rounded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the learner’s capabilities have been emerging, and ‘cooperation learning’ has been on the rise as the representative lecture-acquisition model. Asa model that overcomes and improves on the weaknesses of individual learning and competitive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is a learner-centered lecture method, where heterogeneous constituents in a group teach and learn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on cooperation learning, it stimulates interactions amongst learners that positively impact not only on cognitive development that was the focus of conventional learning methods, but also on affective aspects such as cooperation, positive self-conception, and community spirit. Therefore, cooperation learning has been recognized as a method that can contribute to cultivating sociality in addition to well-rounded development compared to convention all earning methods. In particular, the elementary school phase—the period of childhood analyzed in this research—is when children’s area of activity undergoes a transition from family to school; thus, it is inevitably a period that entails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changes. Furthermore, ‘sociality,’ one of the children’s affective areas formed during this period, and ‘self-efficacy’ exert a long-lasting influence on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future as well as on task achievement and happiness; thus, their significance cannot be neglected. Therefore, elementary education, taking up the majority of the childhood years, plays a distinctively important role in guiding children in the development of adequate sociality through appropriate interactions, while providing the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of self-efficacy by letting children experience successes in tackling big and small tasks. Expanding upon the importance of such education, this study built an art education program incorporating the Co-op Co-op model, which had been in sufficiently researched in connection to the area of art as opposed to other areas of th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 Co-op Co-op-model-incorporated art education program on the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eps follow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s preceding studies on cooperation learning and sociality self-efficacy, and selects the Co-op Co-op model, not studied in-depth in the area of art compared to other models. Specifically,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Curriculum (amended in 2009) and textbooks were analyzed, and ‘The Village of Sharing’ from Bisang Education (Eun Duk Park and 7 others) was chosen as the section to examine. Furthermore, textboo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hapter including the lecture on local event pamphlet design, which is the control variable of the present study. After completing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analyses, the researcher selected 62 students from two fourth-grade classes at ‘S’ elementary school at Gwangjin-gu, Seoul, to form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n, an appropriate lecture-acquisition program was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of the Co-op Co-op model, before selecting examination tools to measure sociality and self-efficacy. For the sociality measuring tool, the current study modified/supplemented the sociality questionnaire adapted by Sung Hyun Lee(1997) based on the one  developed by Bum Mo Jung(1971). For the self-efficacy measuring tool, the current study modified/supplemented the questionnaire modified by Ah Young Kim(1997) based on the one  proposed by Sherer(1982), in order to best fit the subject. An assessment tool was formulated by referring to documentat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2) on achievement standards/ achievement levels with regards to the enforcement of achievement standard-based assessment, and its validity was verified by one education expert and two art teachers. After first verifying that the two selected groups were homogenous, as determined through their sociality and self-efficacy assessments, the main study was implemen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lectures on ‘local event advertisement pamphlet design in Korea’ were administered twice a week for four weeks, amounting to a total of eight sessions; in the control group, the total number of lectures was kept the same, but the traditional small-group learning method was followed. Before-and-after assessments were conducted after each lecture, an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0 Ver. software was used to statistically verify the effect of the Co-op Co-op model on learner’s sociality and self-efficacy using t-tests on matching samples. Practical assessmen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reflection on the assessment output, teacher journals, and learners’ self and peer evaluation, to explain and complement the gap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conducted in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Co-op Co-op-model-incorporated art lecture was found to affect the sociality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ociality assessment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stud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t=-3.637, p<0.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l of the subcategories of sociality ¾ compliance, cooperativeness, sociability, and autonomy ¾ also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sociality. Second, a Co-op Co-op-model-incorporated art lecture was found to affect the self-efficacy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elf-efficacy assessment score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stud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6.482, p<0.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ubcategories of self-efficacy ¾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¾also display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administered with the Co-op Co-op-model-incorporated art lecture, accomplished higher results in practical examination that were qualitatively assessed with reference to the assessment tool and teacher observation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aking into account the change in behavior, based on a self and peer evaluation completed by each stud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ositive changes in behavioral aspects. The aforementioned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the Co-op Co-op-model-incorporated art lecture to foster cooperation among students in order to complete a common task, while simultaneously reminding them of their individual responsibilities within the task, thus allowing learners to actively lead the lecture. In addition, by allowing students to voluntarily accomplish given goals through this lecture method, it may be possible to achieve qualitative improvements in the results in practical examination in addition to a higher lecture satisfac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udents, through the Co-op Co-op-model-incorporated art lecture, are positively influenced with regards to their sociality and self-effic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tituted an art lecture by incorporating the Co-op Co-op model, a previously overlooked model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with the aim of developing an effective lecture-acquisition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self-efficacy,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The author of this study hopes for future research to pay greater attention to the Co-op Co-op model in terms of art education based on this study, and for such efforts to lead to the development of many lecture-acquisition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in actual art education settings, in order to establish high-quality art education that promotes well-rounded development in learners.;오늘날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식과 정보의 양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사회는 이러한 환경 속에서 앞으로 미래의 삶을 주도할 학생들에게 새로운 인재상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다양한 인재상들 중 습득된 지식을 융합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이 할 수 있는 능력을 넓혀 나갈 역량을 지닌 창의융합형 인재상을 새롭게 제시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교육적 인재상에 6가지 핵심 역량의 요소를 제시하며 학교 교육 또한 역량 중심의 교육적 접근을 도입하고 있다. 그간 학교 교육의 수업방식은 교사가 중심이 되는 수업으로 주로 지식 전달을 위한 수동적인 수업방식이 이어져 왔지만, 근래에 들어서 변화하는 사회에 맞춰 창의융합형 인재를 육성시키기 위해 교실 수업방식을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고 인지적, 정의적 성장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가고 있다. 이 양상으로 대안적 교육 방편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교수-학습 모형으로 ‘협동학습(Cooperation learning)’이 대두되고 있다. 협동학습은 개별학습과 경쟁학습의 단점을 보완하고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업모형으로, 이질적인 소집단의 구성원들이 서로 배우고 가르치는 교수체제로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협동학습에 관련된 선행 연구에 따르면, 협동학습은 학습자 간에 긍정적 상호 작용을 촉발하여 기존 학습에서 중점이 되었던 인지적 측면의 발달 이외에도, 정의적 측면인 협동심, 긍정적 자아개념, 공동체의식 등의 발달까지 각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협동학습은 기존 교육 방식에 비해 학생들의 사회성 함양 및 전인적 성장에 상당 부분 기여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본 연구가 중점적으로 다루는 아동기 중 초등학교 시기는 아동들의 활동 범위가 가정에서 학교로 변화하는 시기로, 아동에게는 필수불가결하게도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변화가 수반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더욱이 이 시기에 형성되는 아동의 정의적 영역 중 하나인 ‘사회성’과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훗날 타인과의 관계 및 자신의 과업 성취도와 행복감 부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간과될 수 없다. 그렇기에 아동기 때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초등학교의 교육은 아동이 타인과의 적절한 상호교류를 통해 올바른 사회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역할과 동시에, 크고 작은 과제의 성공 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의 형성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의 중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여타 교과영역에 비해 미술교과에서 다소 연구가 부진했던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모형을 적용한 미술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협동학습,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여러 가지 학습 모형 중 미술교과에서 연구가 많지 않았던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선정하였다. 세부적으로는 2009 개정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 한 후 비상교육(박은덕 외 7인)의 ‘함께하는 마을’ 단원을 학습 단원으로 선정하였으며, 이후 본 연구의 통제변인인 ‘우리나라 지역축제 홍보 팸플릿 디자인 수업’이 포함된 미술 단원에 대하여 교과서 분석 작업을 진행했다.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분석을 마친 뒤, 본 연구자는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광진구에 위치한 사립 S초등학교 4학년 2개의 학급 총 6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후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의 절차에 따라 연구대상에 적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한 뒤 사회성과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한 검사 도구를 선정하였다. 사회성 측정도구는 정범모(1971)가 개발한 사회성 검사지를 이성현(1997)이 번안한 것을 연구대상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는 쉐러(Sherer, 1982)등 이 만든 검사지를 김아영(1997)이 수정한 검자지를 연구대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평가도구는 교육과학기술부(2012) 성취평가제 시행에 따른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 자료를 참고하여 제작하고 교육전문가 1인과 미술교사 2인에게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이후 사전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의 검사로 선택한 두 집단이 동질한 집단임을 검증한 뒤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매주 2차시 총 8차시로 4주간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우리나라 지역축제 홍보 팸플릿 디자인’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8차시의 동일한 수업을 진행하되 전통적 소집단 학습으로 진행하였다. 수업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이 학습자의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0 Ver.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통계처리한 후 분석하였으며, 실기 평가는 실기 결과물, 교사 관찰일지, 학습자의 자기·동료 평가지를 반영하여 질적 분석하여 양적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분석하여 결과를 정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초등학교 4학년 사회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의 사회성 검사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차이를 보였다(t=-3.637, p<0.001). 사회성의 모든 하위영역인 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사회성의 향상을 가져온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초등학교 4학년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검사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차이를 보였다(t=6.482, p<0.001).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 난이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을 가져온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평가도구와 교사의 관찰을 참고하여 질적 평가한 실기 결과물에서 높은 점수를 성취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작성한 자기·동료 평가지를 바탕으로 사전·사후의 태도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태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학생들로 하여금 공동의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협동심을 발휘함과 동시에, 그 안에서 개개인의 책무성을 잊지 않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수업을 이끌어 나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더하여, 이러한 수업방식을 통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주어진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실기 결과물의 질적 향상과 수업에 대한 만족도까지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결과는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통해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미술교과에서 그간 주목하지 않았던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미술수업을 설계하고, 그 방법론을 통해 사회성과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앞으로 후속 연구들이 본 연구를 기반으로 미술 교육 방식에 있어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에 보다 깊이 관심을 기울이고, 실제 미술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로 이어져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촉진하는 양질의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