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7 Download: 0

미술수업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수업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주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how the effectiveness of art lessons in enhancing skills and self esteem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order to facilitate this study, initial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mindset, their living circumstan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as required. Students ego dictactes how one thinks and solves issues arising from different circustmances and defines person's identity. Having a defined self ego is crucial in in living a positive life. Looking into the multicultural person's life, their living circumstances in Korea is different to what they were used to, hence they struggle to adapt the new environement. The biggest challenge and difference is the physical appearance, difference in the school system and finally the cultural differences. It was identified that due to low level of Korean language, multicultural students achieved lower school grades.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that having postive self ego from young age would result in a better lifestyle when older. Also, if the self ego was developed properly, it assists in preparing better future. Art education is one way of effectively developing ones ego as it expresses ones thoughts freely and allow self reflection. Based on this, study tools and assessement methodology has been developed as part of this thes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eight year 3 students attending "Seoul Song Dong Gu J-social welfare centre" through 8 art lessons. The study tool used was based on Park Ah Chung (1996)'s Self Ego Tool, which is made up of 6 components; self identify, self awareness, confidence, goal setting, leadership and friendliness. As part of this study, alterations were made to the tool. Experiement was analysed using SPSS ver 22.0 and performed a t-test on before and after results. The result indicated that art study used for the experiement had postive impact on self ego. Also, the student's study satisfcation level, study time and assistnace material recieved great feedbacks. However, the study content recieved relativley low mark hence improvement was identified. Furthermore, portfolio assessment was made by looking at the student's work, commenting on it and giving face to face feedback on the result.;오늘날 한국 사회는 정보 통신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달을 바탕으로 정치, 경제, 문화, 예술 등 사회 여러 분야에서 세계화의 흐름에 놓여 있음을 실감하게 한다. 이러한 세계화의 흐름에 발맞춰 우리나라 또한 정보 공유와 사회적 협력을 통해 국제화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현 사회는 다양한 글로벌 네크워크 속에서 이제는 더 이상 국가와 인종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힘든 시기에 놓여 있다. 시 ・ 공간의 공유를 통해서 각 나라의 문화와 인종은 통합되어가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 없이 세계화를 빠르게 받아들이며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교육 분야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를 대상으로 한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제도적 방안이 미흡한 모습을 보인다. 특히, 다양한 교육 분야 가운데 다문화 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주로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으로 언어교육과 문화 교육이 대부분이며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 미술교육은 미비한 실정이다. 다양한 교육 분야 가운데 다문화 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미술교육은 주로 학교 외의 다문화 가족지원 센터에서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대다수의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한국 사회에서 겪는 편견과 차별로 인하여 학교생활의 부적응, 언어 구사의 문제, 문화 적응 및 정체성 혼란 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 상황은 이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교육적 관심과 제도 마련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언어교육과 문화교육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들의 마음을 보살피고 이해하며 이를 바탕으로 그들의 올바른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미술교육이 필요하다. 그들을 위한 다문화 미술교육을 통해 다문화 학생들은 모국문화와 다양한 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경험을 가지며 또한 자기표현과 자기이해를 통해서 올바를 자아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수업이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자아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의 연구내용 및 방법을 살펴보면 서울 성수동 소재 J 복지 지역아동센터에 다니고 있는 다문화 초등학생 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미술수업은 총 8차시 진행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박아청(1996)이 개발한 한국인 자아정체감 척도에서 본 연구와 관련이 없는‘정체감 유예’와‘정체감 혼미’를 제외하고 6개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다. 6개 하위영역은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 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이다. 자아정체감 사전-사후검사 비교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Ver 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나만의 책 만들기’미술수업을 진행하면서 참여관찰 후 성찰일지를 작성하였고 만족도 검사지 및 실기결과물 분석하였다. 또한 자아정체감 하위요소를 바탕으로 제작된 학생면담 목록을 가지고 학생면담을 통하여 질적으로 자아정체성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 실험의 효과성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수업을 다문화 가정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험처치 전과 실험 처치 후의 다문화 학생의 자아 정체감을 비교한 결과 다문화 가정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자아정체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미술수업에 참가한 전반적인 학생의 자아정체감이 모두 상승하였고 6개의 하위 항목인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 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이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실기 결과물 질적 분석을 통한 포트폴리오 평가와 교사 관찰평가를 종합하여 살펴본 결과‘나만의 책 만들기 수업’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고, 8차시 수업을 마무리한 후 실시한 다문화 학생들과의 면담을 통해서 각 학생들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와 미래의 자신에 대한 꿈을 위한 준비와 마음가짐에 대한 변화가 있었음을 질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수업 만족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미술 수업에 대하여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나만의 책’실기결과물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여 다문화 가정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 수업이 다문화 학생들의 높은 만족감과 성취감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나만의 책 만들기’미술수업이 다문화 가정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특정 다문화 지역 아동센터의 소수의 다문화 가정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므로 이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미술수업 연구를 진행한다면 더 큰 효과성을 입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직업체험과 현장학습을 연계하여 다문화 미술수업을 진행한다면 다문화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형성과 미래의 직업탐구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본다. 또한 후속 연구들을 통하여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아표현과 문화적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다문화 미술교육 수업의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가 다문화 미술교육을 통해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올바른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고 자발적으로 꿈을 설계하여 희망적인 미래를 나아가는데 발판을 제공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