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0 Download: 0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to Art Class o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Impact 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Authors
박정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Adolescence is a period of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and experience in this period has a great influence on personality formation, emotion and creativity. Therefore, home and school should provide diverse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develop cognitive ability, emotion and creativity so as to foster an entire human being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experience. However, in most educational fields, education is still focused on fierce college admissions, and the educational climate prevalent in individualism is pushing young people into competition. The unilateral learning approach based on knowledge acquisition causes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creativity of students, egoism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This eventually fosters a learner who is less able to reduce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ducational sites should be aware of these problems and aim to cultivate creative talents that can live with others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young people to learn through collaboration. Therefore, cooperative learning, which overcomes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is used in many aspects of education as a learning model suitable for cultivating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among members. Art expresses the learner's thoughts and feelings creatively through expressive activities using various media about the aesthetic values ​​surrounding life, and exchanges opinions with others for appreciation of works. At this time, expressions and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collaborative learning will lead to more active communication than individual learning, which will enhance the learner's communication ability and induce interest in art, so that it can improv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art subjects are important factors for students to continue learning and to develop the right attitude and cooperation for art. Therefore, the transition to learner-oriented, (Lee, 20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utilize various media actively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art curriculum. Especially, since the print area can produce several works, it is possible to have many success opportunities whe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an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actively through exchange of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t and teaching - learning instruction by applying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the theme of 'Book art made by engraving', and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 have to know. I designed a structured teaching - learning plan using a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so that learners could solve problem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equence. Through collaboration, we planed to achieve higher goals of the whole class and improve learning motivation. In this study, the study was designed assuming that the learner - driven sub - problem selection stage and the exchange of opinions among the group member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er 's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in the class us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search plan, literature and preliminary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theoretically examined, and then the print area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learning through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art contents system and art creation textbook . As a result,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clear and positive role - sharing of members was selected as a model to be applied to the learning topic, and the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were set up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 learning instruction using the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4 students from H high school in Hanam city,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teaching - learning plan, we constructed a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measurement tool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then conducted a pre - test on the subjects. Experimental classes were held from March 14th to April 5th, 2017.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with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with traditional small group learning. After the experiment, post -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were conducted to discuss the effects of teaching - learning instructio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each group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19.0 program. In addition, based on the learner 's self - evaluation, group evaluation, evaluation of class satisfaction, actual results and activities,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was evaluated and the effect of the study was evalu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conclusions were draw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 learning instruction us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motivation of the first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the experimental group (M = 4.28) and the control group (M = 3.62)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 = 3.626, p <. 01).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 in the sub - domain of learning motivation.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e motivation duration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s inquiry and curiosity,' relevance ',' confidence ',' satisfaction 'and' motivat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teaching - learning teaching - learning instruction class apply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the paper - pencil evalu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showed higher achie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applying traditional small group learn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M = 12.33) and the control group (M = 10.81) in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t = 2.608, p <.05). Third,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actual result and the report of the activity place, the experimental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evaluat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ularly, when the evaluation elements of the practical product evaluation tool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art class us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fluenced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freshmen, and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rts instruction us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I hope.;청소년기는 신체적·정신적으로 발달하는 시기로서, 이 시기의 경험은 개인의 인격 형성과 정서 및 창의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는 전인적 인간을 육성할 수 있도록 인지적 능력과 정서·창의성을 고루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실시하며 교육적 경험의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대부분의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치열한 대학 입시 위주의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개인주의가 만연한 교육 풍토는 청소년을 경쟁으로 내몰고 있다. 지식 습득 위주의 일방적 학습 방식은 학생들의 창의성 발달 저하, 타인과의 소통 부재로 인한 이기주의와 같은 심리적 문제를 야기하며, 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한다. 이는 결국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저하시키기 무기력한 학습자를 양성하게 된다. 교육 현장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청소년에게 협동을 통한 학습 기회를 마련하여 타인과 더불어 살 수 있는 창의적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두어야 한다. 따라서 전통적 교육 방법의 단점을 보완한 협동학습은 구성원들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창의성과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고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학습 모형으로서 교육의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미술은 삶을 둘러싼 미적 가치에 대하여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표현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작품 감상을 위해 타인과의 의견 교환을 하게 된다. 이때 협동학습을 적용한 표현 및 감상활동을 하면 개별 학습보다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하게 되어 학습자의 소통능력을 기르고 미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향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미술 과목에 대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는 학생이 배움을 지속해나가며, 미술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함양하고 협력하는 능력을 갖추는데 중요한 요소이므로, 학습자 위주의 주체적인 교육으로의 전환은 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 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이성도, 2010). 따라서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학습자의 미술 교과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매체를 적극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특히 판화 영역은 여러 장의 작품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협동학습 적용 시 여러 번의 성공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작품 교환을 통한 활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판화로 만드는 북 아트’라는 주제를 선정,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미술과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고 실험 수업을 진행하여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학습자가 학습 순서에 따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구조화 된 교수-학습지도안을 설계하였으며, 협동을 통해 학급 전체의 상위 목표를 성취하여 학습동기가 향상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이때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습자 주도의 하위문제 선정 단계와 모둠원간의 의견 교환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계획서를 바탕으로 협동학습과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미술 내용체계와 미술창작 교과서 분석을 통해 판화 영역을 학습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 주제에 적용할 모형으로 구성원의 역할분담이 명확하고 긍정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GI 협동학습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지도안의 개발을 위해 학습 목표 및 내용을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경기도 하남시에 소재한 H고등학교의 1학년 2개 학급, 총 54명을 선정하였다. 설계한 교수-학습지도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측정도구를 제작, 신뢰도를 검증 한 후 연구 대상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은 2017년 3월 14일부터 4월 5일까지 총 12차시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통제집단은 전통적 소집단학습을 이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후에는 사후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교수-학습지도안의 효과를 논의하였다.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학습자의 자기평가, 모둠평가, 수업 만족도 평가와 실기결과물, 활동지 등을 바탕으로 수업의 효과를 질적 분석하여 본 연구의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고 통계 분석 결과와 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지도안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기의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M=4.28), 통제집단(M=3.62)으로 실험집단이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3.626, p<.01). 또한 학습동기의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실험집단의 ‘탐구 및 호기심’,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동기지속’ 전 영역에서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은 ‘만족감’과‘동기지속’이 증가하지 않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12차시에 걸친 판화 수업이 전통적 소집단학습보다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쳐 만족감과 동기지속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지필평가에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교수-학습지도안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소집단학습을 적용한 통제집단보다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실험집단(M=12.33), 통제집단(M=10.81)으로 실험집단이 높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608, p<.05). 셋째,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 등의 보고서 등을 질적 평가한 결과, 실험집단의 발상능력 등이 통제 집단에 비해 우수한 평가를 얻었다. 특히 실기 결과물 평가도구의 평가요소를 성취수준에 따라 나누어 보았을 때 통제 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성취수준정도가 월등히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쳤으며, 실기 결과물 수준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두며 다양한 미술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여 학습자의 내적성장에 바탕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