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3 Download: 0

LT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오브제애니메이션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LT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오브제애니메이션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Learning Together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to Object Animation Class on developing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Artistic Self-recognition and Social skills
Authors
박윤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청소년기는 가정에서 학교, 또래 관계 등으로 사회적 관계가 확장됨으로써 새로운 환경과 넓어진 인간관계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이다. 청소년들은 이러한 확장된 사회 속에서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타인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을 기르게 되며, 예비 사회인으로서 갖추어야할 능력인 사회성을 형성하게 된다. 학교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에게 이러한 사회적 역량을 길러주어 공동체 속에서 조화롭게 살아 갈 수 있는 전인적 인간으로써 성장시키는 것에 있다. 이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는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서 협동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협동학습은 소집단을 구성하여 공동의 목적을 성취하게 하고, 학생들 사이에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교수학습방법이다. 미술과에서도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 연구를 통해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소통능력, 협동심과 같은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킴을 증명하고 있다. 또한, 협동학습을 통한 미술 수업은 사회적 능력과 더불어 미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불러일으켜 긍정적인 미술자아개념을 형성시킨다는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중에서도 LT협동학습모형을 미술수업에 활용하여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LT협동학습모형은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된 학생들이 개별적인 책무성을 가지고 상호 의존하며 공동의 과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하는 모형이다.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에 대하여 선행연구의 분석결과, 대부분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어 청소년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였다. 또한 미술 수업의 제재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함과 동시에 일상의 물건으로 작품을 제작하여 미술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오브제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LT협동학습모형, 미술자아개념, 사회성, 오브제애니메이션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오브제 애니메이션과 관련한 단원을 분석 하고 LT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오브제 애니메이션 수업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순창군에 위치한 S고등학교 1학년 2학급 50명이며, 2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수업은 총 8차시로 4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실험 수업 전 후로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검증 하고자 하였다. 측정도구는 김은진(2003)이 개발한 미술자아개념 척도와 정범모(1971)가 개발한 사회성 검사지를 수정 및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평가도구는 2009개정 미술교과서에 제시된 성취 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대한 검사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기결과물에 대해 양적 평가 및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T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오브제 애니메이션 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의 미술자아개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미술자아개념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결과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의 검사결과에서 더 높은 변화가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LT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오브제 애니메이션 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회성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결과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의 검사결과에서 더 높은 변화가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실기결과물의 질적 분석결과, 전통적 모둠학습을 적용한 통제집단에 비하여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실기결과물이 더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LT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오브제 애니메이션 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LT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오브제 애니메이션 수업을 개발 및 실시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오브제 애니메이션 이외에도 다양한 미술 수업 소재들을 활용하여 LT협동학습 모형에 대한 다양한 효과를 검증해볼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가 미술교육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가 되었기를 기대한다.;Adolescence is a time of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change. Especially during this time, one experiences an expansion in social relations, from close family members to peer relationships at school, which characterizes an exposure to new environments and wider human relations. In this extended society, young people develop their abilities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and they form sociality, that is the ability crucial to function as a participant of society. Sociality is a personality factor that is essential to survive in harmony with others, even after becoming an adult. One of the purposes of schoo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develop such social characteristics. Various teaching methods to train sociality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school curriculum. Among them, cooperative learning is a teaching method that assigns students to work in small groups in order to achieve a common purpose, which further creates positive interactions among students. In the art department, it has been prov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mproves social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ability and cooperation of the students through art classes that applied cooperative learning. In addition, art education using cooperative learning not only has a positive effect on developing social skills but also on art itself, by creating a posi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Together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artistic self concept and sociality when the model is applied in art classes.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 model in which different students work interdependently in groups to solve common problems, yet each individual is imbued with a distinct responsibility. The majority of previous research on art classes us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conducted mainly among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us it is necessary to test its effect among adolescent students. In addition, object digital animation task was used to induce interest and interest in art class by allowing students to utilize familiar everyday objects and apply digital media to produce an art piece.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thorough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art self-concept, sociality, and object animation.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chapter related to object animation in the high school textbook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developed an object animation class that applie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0 high school students recruited from two first grade classes in S high school located in Sunchang - gun, Jeollabuk – do. A total of 25 students were allocated in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8 weeks in total for 4 weeks. The change of art self-concept and sociality before and after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class, which applie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examined. A modified and adapted version of the artistic self-recognition scale developed by Kim, Eun – Jin (2003) and the sociality test scale developed by Jeong Bum – mo (1971) was used as measurement tools for this study. In addition, the evaluation tools were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eacher 's guidebooks presented in the 2009 revised art textbooks.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or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er. 21.0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art self - concept and soci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bject animation class which applie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rt self-concept of the first grade in high schoo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the pre- and post- measurement of art self-concept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object animation class which applie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sociability among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the pre- and post- measurement of sociabil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r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ctual results, the actual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were evaluat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using the traditional group learning.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object animation class us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positively influenced high school students’ art self-concept and soci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n object animation class using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not only developed and implemented, but also its educational effect was verified. In addition to object anim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beyond object animation and verify the effects of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using various art teaching material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may positive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