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지현-
dc.contributor.authorSANTOS PEREIRA F ROCHA, KATIANE-
dc.creatorSANTOS PEREIRA F ROCHA, KATIANE-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40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40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3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39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760-
dc.description.abstractSouth Korea and Brazil are two countries tightening their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bonds through the past few years. Accordingly, three main needs for a research concern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lations between Brazilians and Koreans are as following: (1) growth in the cooperation between Brazil and Korea; (2) few studies related 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Brazil and Korea; and finally, (3) the fact most scholars focus on the comparisons of what Hall (1976) called High Context culture (HC) and Low Context cultures (LC). However, both countries are said to belong to HC, which bring us to wonder where the differences between Brazil and Korea li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of Brazilians and Koreans inside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companies. The purpose is to identify the factors of cultural discomfort as well as the perceiv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acilitators promoting effective and satisfactory com-munication during the encounters of Brazilians and Koreans. This is a theory building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a modified version of Critical Communication Experience Survey) to collect the stories and perceptions Brazilians and Koreans have of their interactions inside the workplace. The data was collected via interviews with 10 Koreans and 20 Brazilians who are working/have worked in a Korean company located in Brazil, or in companies located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major questionnaire results, answer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for factors of cultural discomfort, six main factors were diagnosed as following: (1) different com-munication styles (differences in th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2) language barrier (problems with English, Korean, and Portuguese skills); (3) different perceptions (of emotions, time, priorities, respect, attitudes, appropriate conversation topics, and refusal); (4) different work habits and law (especially the managerial styles of Koreans and Brazilians); (5) stereotypes; and (6) ethnocentrism (especially on how Koreans strongly retain their own culture and standards over others).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of perceiv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acilitators, it was enumerated three categories describing what Brazilians and Koreans should learn/do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communication, and one related to what Korean companies can provide to allow employees developing their intercultural skills. The facilitators are separated as following: (1) consciousness about respective culture (understanding Brazilian and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2) developing intercultural business competences (IBC) (understanding Brazilian and Korean business styles and general IBC); (3) encouraging language learning (improving the sec-ond language English, and investing on Korean or Portuguese learning); and lastly, (4) perceived company-related facilitators (bringing to company translator/interpreters having expertise in cer-tain field, culture training for both groups). Although both research questions were answered, other interesting results—regarding the perceptions towards Brazilians and Koreans—emerged during data collection, which was col-lected in terms of respective culture and their own cultures. The results for perceptions Brazilians towards Koreans identified that Brazilians perceive Koreans as “not listening to other’s opinions,” and Koreans perceive Koreans as “being afraid of losing face in front of superiors.” However, both Brazilians and Koreans perceive Koreans as “being reserved,” “being conscious about hier-archy,” and “doing things fast.” In contrast, the perceptions towards Brazilians, Koreans perceive Brazilians as “being caring,” and Brazilians perceive Brazilians as “not being conscious about hierarchy.” Similarly, both Koreans and Brazilians perceive Brazilians as “being caring,” “not being conscious about hierarchy,” and “not being straightforward.”;지난 몇 년 동안 한국과 브라질은 경제적·정치적·문화적 경계선을 엄격하게 조절했다. 따라서 한국과 브라질의 문화간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 세 가지 요소와 같다:(1) 한국과 브라질 간의 협력 증가, (2) 한국과 브라질 문화간에 의사소통에 관련된 연구 수가 적음, (3) 그리고 마지막으로 많은 학자들이 주로 Hall(1976)의High Context culture (HC)와 Low Context cultures (LC)을 비교를 해 왔다. 하지만 브라질과 한국은 둘 다 HC에 소속되어 있다고 했으며, 따라서 이 맥락 속에서 한국과 브라질의 차이가 무엇이냐고 하는 문의가 생긴다. 본 연구는 조직 안에서 한국인과 브라질인 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했다.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브라질인간의 문화적 불편함과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잘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족친 요인(facilitator)을 규정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Critical Incident Technique의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이며, 현장에서 한국인과 브라질인의 이야기와 인식을 수집했다. 데이터는 브라질에서 있는 한국 회사와 한국에서 있는 회사에서 근무를 하는(했던) 10명 한국인과 20명 브라질인의 인터뷰를 통해서 수집되었다. 첫 번째로 문화적 불편의 문의 답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7개 요인을 진단되었다: (1)의사소통 방식 차이(구두 및 비 구두의 차이), (2)언어적 한계 (영어, 한국어, 포르투갈어 능력 부족), (3) 인식 차이 (시간, 감정, 운성 순위, 존중감, 대도, 예이 있는 대화 주제, 거절), (4) 일하는 습관 차이 (브라질과 한국의 경영 방식 차이), (5)연판 (부정적, 근정적), (6) 민족 중심주의 (특히 한국인들이 자기 문화와 기준을 타인의 문화보다 더 강하게 유지한다는 것) 두 번째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촉진 요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질문에는 브라질 사람들과 한국 사람들이 의사소통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배워야 하는 것들과, 한국 기업이 의사소통을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직원들에게 제공해야 하는 것들에 대한 기술을 세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촉진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각 문화에 대한 의식 (브라질과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이해), (2)문화간 비즈니스 전문성 전개 (IBC) (브라질과 한국의 비즈니스 스타일 이해와 전체적으로 IBC 이해), 3) 언어 학습 장려 (둘째 외국어로 영어 실력 향상, 한국어 또는 포르투갈어 학습에 대한 투자), (4) 지각 된 회사에 관련된 진행자 (특정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갖춘 통역사 / 통역사를 회사에 초대하기, 두 그룹의 문화 훈련). 두 가지 연구 질문에 모두 답변을 얻게 되었지만 데이터 수집 중에 다른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다. 이 데이터는 한국 사람과 브라질 사람의 서로 인식에 대한 자료이며 수집하는 데에서 각 문화를 존중하게 고려했다. 인식에 대한 결과에 따르면 브라질 사람은 한국 사람들을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지 않는"것으로 인식하며, 한국 사람들은 브라질 사람을 "상사 앞에서 얼굴을 잃을까 봐 두려워하는"것으로 인식한다고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사람들도 브라질사람처럼 한국사람들을 "유보," "위계 질서 의식," "일을 빨리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반대로 한국사람들은 브라질 사람들을 "보살핌"으로 인식하며, 브라질 사람들이 브라질 사람들을 "계층 구조에 대해 의식하지 않는다"고 인식한다. 통합적으로 한국 사람과 브라질 사람은 브라질 사람들을 "보살핌," "계층 구조에 대해 의식하지 않음," "직관적이지 않다"로 인시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A.Needs for the Research 1 B.Research Objectives 5 II. Literature Review 6 A.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search in the International Context 6 B.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search in the Korean Context 8 C.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search in the Brazilian Context 10 III. Research Methods 13 A.Participants 13 B.Research Instruments 14 C.Data Analysis 16 IV. Results and Discussions 18 A.Pilot Study Results 18 B.Major Results 20 C.Comparison of Perceptions Towards Brazilians and Koreans 42 V. Conclusion 48 References 52 Appendices 62 Abstract (in Korean)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77607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Perceiv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acilitators and Factors of Cultural Discomfort in Brazilian-Korean En-counters Inside the Workplace-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104 p.-
dc.contributor.examiner이지연-
dc.contributor.examiner황혜진-
dc.contributor.examiner전지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